전 세계 한인학자의 축제, ‘세계한인학술대회’ 개최

알림마당


 

전 세계 한인학자의 축제, ‘세계한인학술대회’ 개최

일요시사 0 1864

- 27일부터 3일간 서울서 개최, 17개국 150여명 재외동포 연구자 참가

- 재외동포재단 창립 20주년 기념, 최대 규모의 재외동포 학술대회

- 재외동포 외연확대 방안·동북아 시대 재외동포의 역할 등 집중 논의 예정


□ 대한민국과 전 세계 720만 재외동포사회의 공동 발전을 위해 전 세계 한인학자들이 한 자리에 모인다.


□ 재외동포재단(이사장 주철기, 이하 재단)은 오는 27일부터 29일까지 3일간 서울 롯데호텔에서 ‘2017 세계한인학술대회’를 개최한다.


□ 재외동포재단과 재외한인학회가 공동 주최하는 ‘2017 세계한인학술대회’는 재외동포재단의 창립 20주년을 계기로 마련된 국내 최대 규모의 재외동포 학술 행사다.


□ 국내외 재외동포 학자 및 NPO 활동가들이 글로벌 동포사회의 현황을 진단하고,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머리를 맞댄다. 신기욱 미국 스탠퍼드 대학 아시아태평양연구소 소장, 김 게르만 카자흐스탄 국립대 교수, 권오정 일본 류코쿠대 명예교수, 송창주 뉴질랜드 오클랜드대학 교수 등 17개국 150명의 한인학자가 참석한다.


□ 첫날인 27일에는 개회식과 기조강연, 기획세션Ⅰ·Ⅱ, 외교부 장관 주최 만찬이 진행될 예정이다.


□ 기획세션Ⅰ은 서울대 한경구 교수의 진행으로 <동북아 시대의 재외동포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며, 이어지는 기획세션Ⅱ에서는 동포사회의 세대교체 현상에 대해 알아본다.


- 특히, 기획세션Ⅰ에 신기욱 스탠포드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와 김강일 연변대 동북아연구원 원장, 김 게르만 카자흐스탄 국립대 교수가 각각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을 위한 재외동포의 역할’, ‘동북아 개발협력 실천방안’,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재외동포의 역할’에 대해 발제한다.


□ 대회 2일차에는 기획세션Ⅲ·Ⅳ와 지역세션Ⅰ이 진행된다. 기획세션Ⅲ에서는 꾸준히 증가하는 국내 거주 동포의 실태와 이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방해하는 제도적 차별을 살펴본다.


□ 동포정책의 개선방안에 대해서는 기획세션Ⅳ에서 다뤄질 전망이다. 특히, 재외동포의 역할이 중요해짐에 따라 새로운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재외동포의 외연 확대 방안에 집중한다. 20만 명에 달하는 입양한인과 34만으로 추산되는 귀화 재일동포, 전 세계에 퍼진 조선족 등을 재외동포로 받아들이는 것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과 국가적 지원 방안에 대해 전문가들이 폭넓은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 지역세션은 북미와 중국, 일본, 러시아·CIS, 중남미·동남아, 유럽·오세아니아 등 총 6개 분과로 나눠 28일부터 이틀 동안 진행된다. 지역 세션을 통해 지역별 동포학자와 학술단체, NPO전문가들이 재외한인 학술네트워크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 29일에는 폐회식에 앞서 분과별 결과 발표 시간을 갖는다. 이 자리에서 새 정부의 재외동포정책 방향에 대한 제언도 함께 이뤄질 전망이다.



□ 주철기 이사장은 “재단 창립 20주년을 맞아, 세계 한인학자와 NPO 활동가들이 한 자리에 모여 동포사회와 모국의 상생 발전을 위한 깊이 있는 의견을 나누게 돼 매우 뜻 깊게 생각한다”며, “국내외 재외동포 연구자들의 심도 있는 토론을 통해, 글로벌 한민족 공동체 발전방안을 모색하고, 재외동포의 외연확대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0 Comments
포토 제목

6edb594ce1519039f4d5a23436b144f1_1586488850_99366.gif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