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0도 생각을 깨라!; 세종대왕 English! 새 한글 talking English! (9)


 

360도 생각을 깨라!; 세종대왕 English! 새 한글 talking English! (9)

talkingenglish 0 1274
1-3. 새 한글 talking English 예문들.

예문 1. (14 + 1 = 26 에 대한 예문.)
((이게 되니 나?) (right/ 바르게 되는 상태.))?
Am I/ right?
((아니게 된다.) (너 이게 된다.) (틀리게 되는 상태.)).
No, you are wrong./ No, you’re/ wrong.

예문 1- 1. (14 + 1 = 25 에 대한 예문.)
((이게 되니 나?) (right/ 바르게 되는 상태.))?
Am I/ right?
((맞게 된다.) (너 이게 된다.)).
Yes, you are.

예문 1-2. ((이게 되니 나?) (beautiful 상태.))? 
Am I/ beautiful? 
((맞게 된다.) (너 이게 된다.)).
Yes, you are.

예문 1-3. ((이게 되니 나? ) (pretty.))? 
Am I pretty? 
((맞게 된다.) (너 이게 된다.)).
Yes, you are.

right; 바르게 되는 어떤 상태/ 맞게 되는 어떤 상태/ 오른쪽이 되는 어떤 상태 
순수한 한글의 바르게 된다. 에 가장 가까운 말이 right 가 된다.

우리 역시도 오른 손을 바른 손이라고 말하게 된다

상대방 you 가 보게 되는 상태의 Am I...? Am I... ? Am I... ? 우리도 자주 자주 사용하면 참 좋게 된다.

English 는 상대방 입장에서 말하는 언어가 된다. Am I pretty? 라고 물으면 No. 상태의 대답을 하면 안 된다. 묻게 된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면 No 상태의 대답을 할 수가 없게 된다.

Handicapper 를 한국에서는 장애인 이라는 한자를 사용하지만 English 들은 hand 에 cap 이 씌어진 상태로 보게 되므로 약간 불편한 상태의 사람을 말하게 된다. 

상대방 입장에서 모든 말을 하므로 Handicapper 의 천국이 New Zealand 및 영어 권 나라가 되는 것은 아닌지?

0 Comments
제목
  • 글이 없습니다.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