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0도 생각을 깨라!; 세종대왕 English! 새 한글 talking English! (1)


 

360도 생각을 깨라!; 세종대왕 English! 새 한글 talking English! (1)

talkingenglish 0 1907
 

1. 세종대왕 그리고 세종대왕 English 에 대하여...

Sejong (1397- 1450) is best known for his development of Hangeul.
Encyclopedia Britannica 사전에 올라가 있는 세종대왕의 한글에 대한 글입니다.

어쩌면 대한민국 5.000 년 역사에 불 가능이라는 역사에 도전하여 가능이라는 두 글자를 대한민국 역사에 처음 새기신 분이 세종대왕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칼과 행동이 아닌 말과 글로서 다스리는 새 세상을 꿈꾸신 세종대왕!
대한민국 역사에 “ 뿌리 깊은 나무 한 그루” 를 이미 심으셨습니다.
이 “뿌리 깊은 나무 한 그루” 가 전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말과 글!
소리 글자 “한글” 입니다.

어쩌면?
우리 대한민국 영어 권 모두가 약 50년 동안 English 의 길을 찾지 못하는 첫 번째가 한자를 한국어 화 시킨 “영어 영문 학/ 영어 영문 학과/ 영어 영문 학 박사/ 영한 사전/ 영어 교과서/ 영어 영문법/ 영어 회화” 에 있을 가능성은 매우 높게 됩니다.

한문 사고, 사대부 사고의 대한민국 영어 영문 학 박사들이 대한민국 English 의 대문에 한문 사고의 빗장을 치고 지금의 어린 세대와 학생들 그리고 talking English 를 해야만 하는 대한민국 모든 사람들 그리고 NZ 에 살아 가는 우리의 길을 막고 있지는 않는지 생각에 생각을 해 보아야만 하는 아주 중요한 문제입니다.

대한민국 영어 역사 약 50년 세월!
전 세계 영어 권을 제외한 말 못하는 국가 순위 157 개국 중에 121위를 만든 첫 번째가 대한민국 영어 권의 한문 사고, 한자가 아니면 죽어도 학문이 안 된다는 사고에 있을 가능성은 매우 높습니다.

세계로 나아 가야 할 길은 멀기만 한데 그 길을 대한민국 영어 권이 철통같이 막고 있지는 않는지?

누구 한 사람 121위에 대한 책임은 내가 지겠다고 나서는 사람이 대한민국 영어 권에 한 사람도 없는 것은 아닌지?

내 잘못은 없고 모든 잘못을 남 에게 밀어 부치는 것은 아닌지?

훈민정음의 글귀를 다시 한번 새겨 보면 어떨까 생각해 봅니다.

1. 우리나라 말은 중국과 다르다.
2. 중국과는 서로 잘 통하지 않는다.
이미 조선 시대에 소리 글자 한글은 뜻 글자 한자와는 다를 뿐만 아니라 잘 통 할래 야 통 할 수가 없다는 세종대왕의 말씀은 아닌지요?

한국 사람이 없는 남 섬의 산 마을 Mossburn 에 들어 온 지가 10년을 넘어 갑니다.
10년 동안 쉬지 않고 찾아 간 길이 세종 대왕 English! 새 한글 talking English! 입니다.
소리 글자 English 는 소리 글자 한글로 보는 게 가장 빠른 길 입니다.

한글은 소리 글자입니다.
전 세계 소리 글자 중에서 가장 완벽한 소리 글자 입니다.
소리 글자는 소리 글자로 통합니다.
그러므로 소리 글자 English 는 소리 글자 Han-geul 하나로 통합니다.
소리 글자인 한글이 뜻 글자 한자로 가면 모든 게 복잡해 집니다. 뇌 속이 simple 하지 않게 됩니다.
뇌 속이 복잡하면 모든 게 복잡해 집니다. 참신한 생각이 떠 오르기가 어렵습니다.

 

지금의 대한민국 영어 권이 복잡하게 얽히게 된 주 원인은 한문 사고에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우리 모두가 New Zealand 에 와 몇 년 도는 몇 십 년 살아 가면서도 English 를 머리에서 내리지 못하고 머리에 이고 다니면서 죽어라고 외워야만 된다는 생각의 첫 번째 역시 도 이미 학교에서 배운 한문 사고의 English 가 그 시작이 될 수도 있습니다.

대한민국 한문 사고의 영어권과 끊임없이 싸움을 해야만 하는 세종 대왕 English! 새 한글 talking English! 로 가는 길은 험하고도 먼 길입니다.
이 길을 함께 가실 많은 분들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이 길은 영어 권의 선구자로 New Zealand 에 살아 가는 우리 모두가 함께 풀어 가야 할 길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어쩌면?
닫힌 사고, fix 되는 사고의 한문 사고를 넘어 외우는 게 첫 번째가 되지 않는 열린 사고 세종대왕의 한글 사고로 가는 길은 매우 중요합니다.

지금의 개발도상국이라는 어정쩡한 자리를 넘어 선진국을 넘어 세계에서 가장 잘 사는 나라로 가는 가장 빠른 길이 세종대왕의 한글 사고에 있을 가능성도 매우 높습니다.

 

2-------------

이 나무 한 그루가 “뿌리 깊은 나무” 입니다.

어쩌면?
정 도전, 정 도 광, 정 기준 그리고 한문 사고가 기다리는 미래의 정 도 령으로 이어지는 성리학의 한문 사고와 세종 대왕 이 도 의 한글 사고!

사극 “뿌리 깊은 나무” 에 나오는 사고의 전쟁 만이 아니라 약 500년 세월이 흐른 지금에도 대한민국이라는 한국 사람들 속에서 끊임 없는 사고의 싸움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닌지요?
대한민국 모든 역사의 한 매듭 매듭이 한문 사고와 한글 사고의 전쟁으로 얼룩지는 것은 아닌지요?
모든 것에서 닫힌 사고, fix 되는 사고, 외우는 게 첫 번째가 되는 한문 사고의 English 를 버리고 모든 것에서 열린 사고 생각이 먼저 되는 사고 외우는 게 마지막이 되는 한글 사고의 English!

360 도 생각을 깨라!
세종대왕 English! 새 한글 talking English!

세종 대왕의 한글 속에 살아 숨 쉬는 English!
우리 다 함께 이 길을 가장 먼저 New Zealand 에서 같이 가 보시면 어떠실지 요?

2. 새 한글
talking English 에 대하여...

우리는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말과 글인 한글을 English 를 잘 하기 위해 발전 시키기 보다는 English 를 잘 하려면 반드시 한자를 써야만 된다는 생각이 모든 것에 앞서는 것은 아닌지요?

새 한글 talking English 는?
말의 순서와 사물을 보는 모든 관점이 우리와 다른 영어 권 사람들 생각을 우리 생각으로  바꾸려면 우리와는 생각이 많이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말의 순서와 생각이 다르다는 것은 말하거나 표현하는 방법이 우리와 다르다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가 평상시에 잘 쓰지 않는 말을 English 를 쉽게 하기 위해 새로운 한글의 개발이 필요함을  새 한글이라는 말로 사용합니다.
영어 권 사람들이 사용하는 말은 기독교를 근본 바탕으로 만들어진 언어입니다. 그러므로 그들이  사용하는 단어에는 “있다.” “없다” “모른다.” 라는 말 자체가 없는 말을 사용합니다.
모든 표현에서 be (am/ is/ are) 는 “이게 된다.” 라는 새 한글로 생각하고 말하고 사용하게 됩니다. 우리가 평상시에 잘 쓰지 않는 “이게 된다.” 는 새로운 한글입니다. 그러므로
Yes = 맞게 된다. 또는 맞게 되는 어떤 상태.
No = 아니게 된다. 또는 아니게 되는 어떤 상태
I don’t / know = ((나 하게 되는 거 아니게 된다.) (알게 되는 상태)
등으로 표현합니다.

English 단어 하나 하나를 다 표현 하는 게 talking English 의 생각이라는 측면에서는 매우 중요합니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English 단어가 뜻하는 의미와 한글이 뜻하는 의미가 다를 뿐만 아니라 모든 것을 외워야만 되는 시작이 됩니다.
English 단어 하나하나의 의미를 한글로 다 표현하는 것을 새 한글이라 말합니다.
영어 권 사람들 생각의 talking English 는 단어를 보는 생각이 우리와는 처음부터  다르다는 것을 말 합니다.

사람은 누구나 말하고 보고 듣고 살아 갑니다.
이 말하고 듣고 보는 방법을 우리 처럼 하나로 가지 않고 표현하는 방법을 몇 가지로 나누어 생각하고 단어를 만들어 가는 사람들이 영어 권 사람들 입니다.
이 생각의 차이를 알고 넘어 가야만 외우지 않고 말을 할 수가 있게 됩니다.

1. 말하는 방법 speak/ talk 2 가지;

1-1. speak ; 말을 주고 받지 않는 상태에서 “말하게 되는 어떤 상태 = speak” 라고 말합니다.

선생님이 한 시간 내내 혼자서 일방적으로 자기 생각을 말하고 학생은 듣게 만 되었다면 선생님은 한 시간 내내 speaking 을 한 것입니다.
주입식 교육이 대표적이 예문이 될 수 있습니다.

1-2. talk ; I 와 you 가 말을 주고 받는 상태에서 “말하게 되는 어떤 상태 = talk” 를 사용합니다.

선생님이 학생들과 말을 주고 받는 상태에서 수업을 한 시간 하였다면 서로가 talking 을 한 것입니다.
영어 권 또는 선진국 형 수업입니다.

2. 보는 방법 see/ look/ watch 3 가지:

2-1. see ; 눈을 마주 보는 상태에서 “보게 되는 어떤 상태 = see” 를 사용합니다.

다음에 계속..

0 Comments
제목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