⑥장예모 감독의

Sports/취미


 

<전창걸의 영화로 본 세상> ⑥장예모 감독의 <5일의 마중>

일요시사 0 4859

“그녀는 곁에 있는 나를 기다립니다”



일요시사 전창걸 영화칼럼니스트 = 개그맨, 영화인, 영화평론가 등 다양한 옷을 입고 한국 대중문화계를 맛깔나게 했던 전창걸이 돌아왔다. 한동안 대중 곁을 떠나 있었던 그가 <일요시사>의 새 코너 ‘전창걸의 영화로 본 세상’의 영화칼럼니스트로 대중 앞에 돌아온 것이다. 아직도 회자되는 MBC <출발! 비디오여행>의 ‘영화 대 영화’ 코너에서 전창걸식 유머와 속사포 말투로 화제를 모았던 그는 이번에는 말이 아닌 글로써 영화로 보는 세상이야기를 들려줄 예정이다. 그 여섯 번째 이야기는 부산국제영화제 갈라 초청작 <5일의 마중>이다. 

2014년 제65회 칸국제영화제 비경쟁 초청, 제39회 토론토국제영화제 갈라 초청,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 갈라 초청작 <5일의 마중>은 중국 5세대를 대표하는 장예모 감독의 20번째 작품이다. 원작은 상하이의 옛 지식인 류엔스의 일생을 그린 여류소설가 옌거링의 <육범언식>. 문화대혁명 시기 한 가정이 개인으로 부서진 아픔을 그린 베스트셀러 소설이다.

비극 속 사랑

남편 루옌스와 가슴 아픈 이별을 두 차례나 겪은 펑완위의 남편을 향한 그리움. 기다림으로 시작하여 국가 정책이 가족에 미치는 비극. 그 비극의 고통 속에서 지켜내는 사랑을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다.

문화대혁명 당시 교수였던 루옌스가 반동분자로 몰린 이후 그의 집은 풍비박산이 난다. 어린 시절 아버지 루옌스와 헤어져 얼굴조차 기억나지 않는 딸 단단은 뛰어난 무용 실력에도 정치범 아버지를 두었다는 이유로 원하는 배역을 맡지 못하는 현실이다. 루옌스의 부인 펑완위는 남편이 집에 돌아오길 묵묵히 기다린다. 세월이 지나 그렇게 기다리던 남편이 그녀 곁으로 돌아와 있는데….

문화대혁명 당시 수많은 지식인과 문화예술 인사들이 사상운동이라는 미명하에 강제노역과 탄압을 받았다. 문화대혁명은 1966년부터 1976년까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벌어졌던 사회적, 정치적 격동으로, 이 기간 동안 전국적인 혁명의 기운과 혼돈 및 경제적 침체를 일으켰으며 대개의 중국인들이나 외부인 심지어는 중국 공산당 내에서도 국가적 재난이라고 간주되고 있다. 문혁의 공과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지만, 중국 공산당은 1981년에 이를 ‘마오의 과오’라고 공식적으로 발표하였다.

1969년 마오는 공식적으로 문혁이 끝났다고 선언하였으나, 사실상 1976년 마오쩌둥의 죽음과 사인방의 체포까지 벌어졌던 여러 혼돈과 변혁을 통틀어 문혁기간이라고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중국에서는 이 기간을 십년동란(十年動亂)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그 입장에 따라 비판의 측면은 약간 다르며, 최근에는 중국에서 빈부의 격차가 극심해지자 문혁을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도 나타나고 있다. 문혁 기간동안 수백만명의 중국인들이 인권을 유린당하는 참사가 일어났다. 자본주의의 ‘첩자’ ‘주구(走狗)’ ‘수정주의자’로 몰린 인사는 감금, 강간, 심문, 고문 등을 당하는 것이 예사였다. 재산을 몰수당하고 사회적으로 매장당한 수십만명 또는 그 이상의 인사들이 처형되거나, 굶어 죽거나, 중노동으로 죽음에 이르렀다.

가장 아름다운 순애보
러브스토리가 전부 아냐

또한 수백만명이 강제 이주를 당했다. 어떤 사람은 구타와 폭행을 견디다 못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문혁 기간 동안 벌어진 사상자의 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1966년~1969년의 문화 대혁명의 혼란이 극도에 달했을 시기에, 50만명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그러나 많은 죽음이 보고되지 않았고, 경찰이나 지방 당국이 숨겼기 때문에 정확한 수치는 알 수 없다. 또한 중국 당국은 이를 위한 본격적인 연구에 들어가는 것을 꺼려왔다. 광시성의 어떤 지역에서는 이런 폭력이 극단적으로 변하여 ‘계급투쟁’과 ‘정치혁명’의 이름으로 식인행위까지 일어났다고 한다. 당의 고위 역사가들조차도 문혁 기간 동안 어떤 곳에서는 "반혁명세력"을 학살 후 소화기관과 살점을 익혀먹었다고 인정하고 있다.) 

 

장예모 감독은 2000년대 이전 <붉은 수수밭>을 시작으로 <홍등> <인생> 등 민중의 소박한 삶을 그리며 획일적 국가주의의 비판을 작품 속에 녹여내 세계적인 호평을 받으며 거장의 반열에 올랐다. 2000년에 들어서며 중국의 위상과 권력에 발을 맞추는 작품 경향으로 돌아 선다. 2002년 대표작 <영웅-천하의 시작>은 세계적인 호응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가 자본에 적응했음을 알리는 신호탄이 되었다. (무력으로 통일된 국가의 수장을 암살하려던 살수가 강력한 중국(국가)를 위해 비록 독재자일지라도 그를 죽이면 안 되며, 잘 받들어야 한다는 내용이다.)

그 후 장예모는 색깔과 스케일에 빠져 그의 장기인 개인의 마음 들여다보기를 멈춘 듯했다. 그런 의미에서 영화 <5일의 마중>은 2000년 이후 장예모의 관점의 전환 일수도 있겠다. 문화대혁명은 권력이 주도하는 획일적 정책의 일으키는 비극의 대표이다. 비극의 결과물은 사회가 아닌 개인이 모두 떠안는다.

비극의 탄생은 개인의 희생을 당연시 하면서 시작된다. 비극의 발단은 정책의 횡포에서 시작됐다. 권력을 구성한 다수의 신음과 고통을 외면하고 오로지 권력을 유지하려는 술수와 권력집단의 이기에서 출발한다. 그 권력의 떡고물을 핥는 자들이 공포를 조장하며 명분을 가공하고 공급한다. 개인의 가치는 권력에 대한 일방적 동조인양, 국가의 주인이 따로 있고 그 억지가 국민의 주인이 된다는 논리다.

펑안위의 기다림

펑안위는 루옌스가 수용소에서 보내온, '5일에 집에 돌아온다'는 편지만을 믿고 매월 5일이면 기차역에 가서 남편을 기다린다. 펑안위가 기다리는 남편은 곁에서 자신을 알아보지 못하는 아내를 지켜준다. 펑안위가 기다리는 것은 무엇일까? 아직 돌아오지 않은 것. 그것은 평화로운 개인으로 살아간 가족 아닐까? 오랜만에 돌아온 공리의 연기가 반갑고 장예모의 다음 작품이 궁금하다.



 <www.전창걸.com>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포토 제목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