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창걸의 영화로 본 세상> ⑦세월호의 진실에 다가간 <다이빙벨>
알려진 참사 진실과 다른 세월호의 기록
전창걸 영화칼럼니스트 = 개그맨, 영화인, 영화평론가 등 다양한 옷을 입고 한국 대중문화계를 맛깔나게 했던 전창걸이 돌아왔다. 한동안 대중 곁을 떠나 있었던 그가 <일요시사>의 새 코너 ‘전창걸의 영화로 본 세상’의 영화칼럼니스트로 대중 앞에 돌아온 것이다. 아직도 회자되는 MBC <출발! 비디오여행>의 ‘영화 대 영화’ 코너에서 전창걸식 유머와 속사포 말투로 화제를 모았던 그는 이번에는 말이 아닌 글로써 영화로 보는 세상이야기를 들려줄 예정이다. 그 일곱 번째 이야기는 알려진 세월호 참사의 진실에 의문을 제기하는 영화 <다이빙벨>이다.
세월호 사건 발생 200일이 지나가도록 오늘까지도 사고경위는 전혀 밝혀지지 않았다. 유가족의 급성 말기암 사망 소식까지 들리고 있지만, 진실규명의 외침과 요구는 책임자들에게 방관·묵살당하고 있다.
책임자들의 외면
다큐멘터리영화 <다이빙벨>은 세월호 침몰 직후 72시간의 골든타임에 이뤄진 국가의 대처에 의문을 품은 이상호 기자의 기획으로 시작되었다. 다이빙벨 투입이라는 상징적인 사건을 통해 국가 또는 정부라는 컨트롤타워가 부재했던 세월호 참사의 본질적 문제를 파고든다.
이 영화는 구조지연 의혹이 일 정도로 부실했던 해경의 구조대응, 엉터리 브리핑을 남발했던 청와대, 각종 오보와 선정적 보도들로 엉터리에 빌붙은 언론까지, 세월호 참사를 둘러싼 다양한 의혹들을 추적한다.
특히 주류언론이 외면하거나 왜곡했던 주요 사항들을 현장의 기록과 인터뷰 영상을 통해서 생생하게 담았다. 불의에 굴하지 않는 대한민국 최고의 탐사기자 이상호의 시선은 시간이 적당히 묻어버릴 진실의 면면을 파헤친다.
<다이빙벨>의 앵글을 통한 세월호의 기록은 기존의 방송보도와 신문을 통해서 보도된 모습과는 전혀 다르다. 세월호 침몰 원인과 세월호 침몰 사고가 발생한 초기 모습에 대해서는 거의 다루지 않는다. 세월호 현장을 지킨 이상호 기자 취재진이 촬영하고 기록한 현장영상과 다이빙벨 투입을 자원한 알파잠수기술공사 이종인 대표를 중심으로 스토리를 전개한다.
영화는 차분하게 시작한다. 호소력으로 설득하려 하기보다는 영화 내내 사실 그대로를 전달하려 노력한다. 하지만 그 차분한 진실은 보는 이의 가슴에 파도가 되고 격랑이 되어 처음에는 당혹해하다가, 분노하고, 끝내는 울음을 터트리게 한다. 부정하고 싶은 죽음이, 차오르는 고통이 느껴져 억울해진다.
진실 알리려는 기자·영화인의 피땀 어린 용기
“타락사회 현실을 보여주는 중요한 영화”
정치는 피폐해지고, 국고는 담합으로 빨리고, 민심은 흉흉해간다. 부패한 정치인들 및 관료들과 거대 기업 간에는 ‘블랙딜’이 노골적으로 횡행한다. 홍콩 정치경제리스크컨설턴시(PERC)의 부패지수에서 우리나라는 중국, 필리핀, 캄보디아,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등에 조금 앞서는 수준이다. ‘부패 적발 시 사법당국 처벌’ ‘민간 기업의 뇌물 통용’ ‘정부의 부정부패 척결 의지’는 꼬리를 감춘지 오래다.
국경 없는 기자회가 발표한 ‘대한민국 언론자유지수’는 2011년 42위, 2012년 44위, 2013년 50위, 2014년 57위를 기록했다. 3년 연속 하락은 물론, 31위를 기록했던 참여정부 이후 무려 26단계나 추락하고 있다. 아프리카 국가 수준이다. 해직기자도 20명이 넘는다. 정치권력과 ‘기레기’라고 조롱받는 언론의 결탁은 더욱 심각하다. 적폐 똥고물에 중독된 것이다.
<다이빙벨>은 세월호 참사를 다룬 다큐멘터리지만 그 안에 이 모든 것들이 들어 있다. 이익과 이기적 부의 축적을 위해서라면 타인의 죽음은 반가울지도 모를 것들의 결합이 느껴진다.
지금까지 세월호 참사를 둘러싼 어느 것 하나도 시원스럽게 밝혀진 것은 없다. 정보도 매우 한정되어 있다. 그저 주류 언론이 공급하는 정보를 통해 듣고 볼 뿐이다. 그것이 진실과 얼마나 멀리 있는지, 진실이 어떻게 왜곡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는 기회는 거의 없다. <다이빙벨>이 더 많은 극장에서 상영되어야 하는 이유다.
이 영화는 ‘구하지 않은 것인가, 구하지 못한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풀어주지 않는다. 다만 국민들이 잘 모르거나 왜곡된 뉴스 공급을 통해 인식되어 온 세월호의 진실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할 뿐이다.
<다이빙벨>은 불리한 환경에서도 대중에게 진실을 알려야 하는 한 기자와 영화인의 피땀 어린 용기다. <토리노의 말>의 감독이자 2012부산국제영화제 심사위원장 등 세계가 인정하는 감독인 벨라 타르는 <다이빙벨>을 이렇게 평가했다.
“우리 사회가 어떤 상태인지, 이 자본주의 체제가 얼마나 타락했는지 보여주고 있는 아주 중요한 영화다. 감독의 노고와 용기, 올곧음에 경의를 표한다.”
<다이빙벨>을 꼭 보시라고 권하고 싶다. 그리고 함께하는 세상, 더 이상 억울한 참극이 탄생하지 않도록 작은 목소리라도 참여했으면 좋겠다.
타락한 사회
세월호 참사로 아들을 잃은 유가족 인병선씨가 지난달 26일 말기암으로 숨졌다. 유경근 세월호 참사 가족대책위 대변인과 세월호 유족들의 말에 따르면, 인병선씨는 최근 암 말기 판정을 받은 뒤 투병하다 이날 오후 10시께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단원고 학생 고 인태범(2학년5반)군의 아버지 인병선씨를 죽음에 이르게 한 암은 세월호 참사 이후 발병한 것으로 알려졌다.
세월호 참사가 나고 부모들이 아이를 찾느라 정신이 없어서, 그 후엔 진상규명을 위해 나서면서 가사도 건강도 제대로 못 챙긴다는 소식이다. 미안한 마음으로 그 분들의 사진 한 장을 띄운다.
<www.전창걸.com>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