⑪대종상 시상식 공정성 논란

Sports/취미


 

<전창걸의 영화로 본 세상> ⑪대종상 시상식 공정성 논란

일요시사 0 5453
▲ 영화 <변호인>

‘막장 결정판’ 된 영화인들의 축제

전창걸 영화칼럼니스트 = 개그맨, 영화인, 영화평론가 등 다양한 옷을 입고 한국 대중문화계를 맛깔나게 했던 전창걸이 돌아왔다. 한동안 대중 곁을 떠나 있었던 그가 <일요시사>의 새 코너 ‘전창걸의 영화로 본 세상’의 영화칼럼니스트로 대중 앞에 돌아온 것이다. 아직도 회자되는 MBC <출발! 비디오여행>의 ‘영화 대 영화’ 코너에서 전창걸식 유머와 속사포 말투로 화제를 모았던 그는 이번에는 말이 아닌 글로써 영화로 보는 세상이야기를 들려줄 예정이다. 그 열한 번째 이야기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영화인들의 축제 대종상 시상식의 공정성 논란이다.

TV에서 각종 시상식이 전해지면서 한 해가 저물어가는 것을 느낀다. 영화, 음악, TV부문에서 앞다투어 특집 편성을 내놓는다. 그런데 영화 시상식 중 가장 오래된 대종상 시상식은 51회를 치루며 언제부터인지 공정성 논란을 사고 있다.

대종상 위상 실추

영화 <명량>이 굵직한 작품상, 남우주연상 등 4개 타이틀을 거머쥐고, <끝까지 간다>가 감독, 촬영, 편집상 등 3개 부문, 작품상 논란의 핵심인 <변호인>은 시나리오, 신인감독상 등 4개 부문, <해적>이 여우주연, 남우조연 2개 부문, 그 밖에 <해무>, <신의 한수>, <군도>, <수상한 그녀>가 1개씩 수상했다.

뭐 솔직히 ‘흥행이 장땡’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영화 시상의 의미는 두고두고 영화 역사에 남겨지는 예술과 대중의 교감을 선도하거나 이끈 작품을 선별하는 것이다. 또 양질의 차세대 작품을 만들라는 의미도 있다.

그러나 매년 대종상 시상식은 공정성에 의심을 사고 있다. 흥행을 기준으로 관객 많은 작품을 수상하려면 집계순서대로 올해의 흥행상 관객 1000만을 넘은 순으로 1등상, 2등상, 3등상 등의 방식으로 수상하면 그만이기 때문이다.

“심사의 공정성은 문제가 없다. 기계적으로 투표를 했고, 심사위원 간의 협의도 일절 없었다. 수상자도 당일 공개되기 전까지는 아무로 몰랐다. 다만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이전의 권위는 없다고 봐야 한다. 달리 위상을 회복할 방법도 없다는 것이 한계다.”

심사위원으로 참여한 한 영화계 인사는 지난달 23일 전화통화에서 올해의 수상 결과를 이렇게 총평했다. 그러나 차세대 배우를 상징하는 신인연기상은 수상자선정에 대한 언론의 야유가 쏟아지고, 표절시비 음악에 음악상을 수상하고 대종상 조직위, 집행부, 심사기준 할 것 없이 ‘막장 시상식 결정판’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대종상의 위상 실추의 결과는 예측된 결과였다. 이규태 대종상 조직위원장은 “올해 대종상은 예년과 달리 국내 극장에서 상영된 상영작을 모두 후보에 올렸다. 보다 폭넓은 투표로 후보작을 선정할 것”이라고 말했지만, 지난 1년 영화를 빛낸 영화를 선발하는 과정에서 실제 출품은 30%를 밑돌았다.

대종상을 운영하는 영화인총연합회는 비리 송사에 휘말리고, 법정소송까지 이어졌었다. 이에 지난 8월 영화인총연합회는 대종상 투명 운영을 약속하는 의미로 ‘산하 8개 소속 단체 이사장들이 집행위원으로 참여 한다’는 협약을 작성했으나 영화원로들에게 대종상 조직위원장을 넘겨받은 기업인 일광그룹 이규태 회장이 협약을 부인하면서 51회 대종상의 논란은 시작됐고 어찌됐건 시상식은 치루자로 봉합된 채 막이 오른 모양이다.

“구조적 한계 권위·위상 회복 방법 없어”
반복되는 의심·신뢰성↘…영광보다 오명?

한 영화평론가는 “영화를 철저히 독재체제 유지의 수단과 통제의 대상으로 봤던 박정희정권 때 만들어진 상으로 영화 현장을 떠난 영화계 원로들의 존재를 증명하는 상”이라고 비판했다. 반복되는 의심과 신뢰성 부족이라면 대종상에서 수상한 작품들은 그야말로 수상한 영화들도 역사에 남지 않겠는가? “저 영화 대종상 받았대” “그래? 그럼 저 작품은 염치가 없구나” “어머 저 배우 대종상 연기상 수상했어” “아 뭐 대종상이니까 받는 구나” 뭐 이런 기분이 생성될 수 있겠다.



  
▲ 영화 <타짜>

소신과 역량을 겸비한 영화인들은 이 의혹투성이 연말잔치를 보이콧하는 용맹성도 보여줘야 하지 않을까? 참여정부시절 본업인 영화일 접어두고 1인 시위하며 스크린쿼터를 사수하려던 불굴의 의지를 보여주면서도 스크린 1600여개를 독점하며 괴물 같은 1700만 흥행의 신화를 쓴 배우는 이토록 불합리적이며 불쾌한 향기가 진동하는 영화 파티에 한마디 진실을 던지지 않는지 모르겠다.

지금부터 내가 생각하는 수상자를 발표하겠다. 신인남자배우상은 <변호인>의 임시완, <족구왕>의 안재홍 둘 중 하나가 받으면 좋겠다 싶다. 신인여우상은 <타짜2> 이하늬, 작품상은 <수상한 그녀>, 시나리오상(작품상이 있는데 굳이 이게 있어야 할까 싶지만 특히 영화 <변호인>에 시나리오상을 준 걸 보고 참 꼼꼼한 장치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니까 <변호인>은 팩트가 아니라는 반증을 보여주고 싶었던 건 아닐까?)은 <제보자>에게 주고 싶다.

편집상, 기획상은 <다이빙벨>, 신인감독상은 <족구왕>, 남우주연상은 송강호(솔직히 <명량>에서 최민식은 그간의 최민식보다 좀 오버라고 생각했다) 등이다. 이는 아무런 이해관계가 없는 상황에서 내린 판단이다. 또 한 부문의 시상이 새로 생겼으면 좋겠다. 시대영화상이다.

모두가 만들기를 꺼려하고 두려워하는 진실의 실체를 다룬 영화에게 주어지는 용맹상이기도 하다. 한류로 인해 해외에서 대한민국 콘텐츠 소비가 그 어느 때보다 활황인 시절. 아이돌 상품의 인기는 끊임없지만 드라마와 영화는 가뭄에 콩 나듯 반응이 영 제자리도 못 지킨다.

그만큼 한국 영화에 대한 신뢰가 구축되지 않았다는 말도 된다. 그 배경의 한 요소로 현장에 없는 영화인이 한 해 영화평가의 주도권을 쥐고, 이권 다툼의 승리자가 한국영화 상을 쥐락펴락하니 상이 아닌 오명일 수 있다고 본다.

작품의 신뢰를 기준할 수 있는 수상이 보는 이들에게도 이해가 될 수 있다면 한국영화의 해외 호응도가 점차 쌓여가지 않겠는가. 그런 의미에서 대종상(대종상뿐이겠는가 마는)은 1년을 쉬고 2년을 쉴지언정 신뢰성을 겸비한 운영위원회로 복귀했으면 하는 바람이며 대종상에 참여하는 현장의 영화인들이 양심의 소리에 귀 기울여 소신을 밝히면 좋겠다.

무자격자 물러나야

무대에서 배우는 관객을 속일 수 없다는 말이 있다. 배우가 진심으로 연기하지 않고 잘 보이려고만 할 때, 노력의 결과가 아닌 임기응변으로 무대에 섰을 때, 배우 자격이 없는 자가 다른 재주와 낙하산으로 무대에 섰을 때, 관객이 공감을 얻지 못한다는 말이다. 무대에 설 자격이 없는 사람은 제발 관객으로 물러나 있으면 좋겠다. 현장에서 뛰는 영화인들의 운영과 투명한 집행으로 공감 넘치는 잔치를 기대해 본다.

<www.전창걸.com>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포토 제목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