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를 잇는 축제, 문화 교류의 새로운 장을 열다
12월의 오클랜드는 한국의 색채로 물든다. 오는 6일 Eventfinda Stadium에서 개최되는 '2025 한인의 날(KOREAN DAY)'은 단순한 문화 행사의 차원을 넘어 뉴질랜드 사회 속 한인 커뮤니티의 정체성을 재확인하고 다문화 공존의 가치를 실현하는 상징적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올해 슬로건은 '함께하는 우리(Together as One)'. 홍승필 오클랜드 한인회장은 이 짧은 문구에 깊은 뜻을 담았다. "뉴질랜드 사회 속에서 한인 커뮤니티가 함께 성장하고, 한국 문화를 통해 세대와 문화를 잇는다"는 것. 단순히 한인들만의 잔치가 아닌, 우리 모두가 하나로 연결되는 공동체의 장을 만들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글로벌 엔터테인먼트와 만난 한인의 날
올해 한인의 날의 가장 큰 변화는 한국의 대형 연예기획사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가 공식 후원사로 참여한다는 점이다. K-팝 댄스 & 랩 & 노래 콘테스트는 단순한 경연이 아니라 플레디스의 공식 오디션 무대가 되며, 수상자에게는 한국 진출의 기회가 주어진다. 한인 사회의 문화 축제에 세계적 엔터테인먼트 기업이 동참한다는 것, 그 자체만으로도 의미는 남다르다.
홍 회장은 이번 협업이 "한국 문화의 세계적 확산에 기여하고자 하는 취지와 뉴질랜드 내 한인 사회의 문화적 교류 확대라는 방향성이 맞아떨어진 결과"라고 설명한다. 실제로 이 협업은 현지인들을 포함한 젊은 세대의 관심을 끌어올리고, 행사 전체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향후 K-팝 아티스트나 관계자들이 직접 참여하는 문화 교류 프로그램으로 발전할 가능성까지 내다보고 있다.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무대
오전 10시, 행복누리 사물놀이단의 흥겨운 길놀이로 시작되는 한인의 날은 하루 종일 끊임없는 문화의 향연이 펼쳐질 예정이다. 대금과 가야금 등 전통악기 연주부터 한인여성회의 부채춤, 예명원의 장구난타까지 한국 전통 예술의 정수가 무대 위에 오른다. 동시에 플레디스에서 준비한 K-팝 댄스 공연, 심포니 오케스트라, 울림 어린이합창단, 오클랜드 한인합창단의 무대가 이어지며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의 조화로운 만남을 선사한다.
올해 새롭게 선보이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테마존은 젊은 세대를 겨냥한 이색적인 시도다. 케데헌 주인공들처럼 코스튬을 한 모델들과 함께 사진을 찍고, 무대에서 댄스의 열기를 느낄 수 있다. K-컬처 붐이 일고 있는 지금, 이러한 체험형 콘텐츠는 방문객들에게 색다른 즐거움을 안길 것이다.
미각으로 느끼는 한국
음식은 문화를 이해하는 가장 직접적인 통로다. 올해 한인의 날은 그 어느 때보다 풍성한 먹거리로 방문객을 맞이한다. 떡볶이, 어묵, 붕어빵, 치킨, 핫도그부터 약과와 떡케이크 같은 한국식 퓨전 디저트, 라면, 컵빙수까지 다양한 음식 부스가 마련된다.
특히 눈여겨볼 것은 지역 특산품 전시다. 전주시에서는 순수 배즙을 숙성시켜 만든 배즙식혜와 전주 햅쌀, 현미누룽지를 선보인다 홍 회장은 "수확 후 이틀 만에 도정을 마치고, 일주일 내로 뉴질랜드까지 배송된 햅쌀"이라며 "신선도가 그대로 유지된 최상의 상태"라고 전주쌀의 품질을 강조했다. 보령시의 조미김은 캔 진공포장으로 아삭함을 유지해, 한국에서 갓 구운 듯한 맛을 재현한다. 영화나 드라마를 통해 한식에 관심을 갖게 된 현지인들에게 이는 실제 한국의 맛을 경험할 수 있는 귀한 기회가 될 것이다.
체험, 문화를 이해하는 열쇠
한인의 날은 보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김치 만들기 체험 부스는 매년 가장 큰 인기를 끈다. 직접 담가보고 시식하며 구매까지 가능한 이 프로그램은 한국 문화를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생생한 창구다. 차 시음, 한복 입어보기, 서예, 투호와 활쏘기, 제기차기, 공기놀이 등 전통 체험 프로그램은 아이들에게는 새로운 놀이터가 되고 어른들에게는 한국의 정서를 이해하는 통로가 된다.
홍 회장은 " K-문화 위상이 높아진 요즘, 한인의 날은 실제로 한국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고 강조한다. 단순히 한인들만의 잔치가 아니라 한인과 비한인, 나아가 다양한 민족이 함께 어우러져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진정한 다문화 축제의 모델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교류의 장, VIP 리셉션
당일 행사에는 초청인사들을 위한 자리가 마련된다. 후원사와 지역사회 인사, 문화기관 관계자들을 초대하는 VIP 리셉션이다. 무엇보다 각국의 외교관들이 참석할 예정인 이 자리는 한인 사회의 노력을 공유하고 향후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장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홍 회장은 "각국 대표들이 가까이서 우리 문화를 접할 수 있는 이런 기회가 그들에게 한국의 정서를 전하는 데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말한다. 특히 올해는 플레디스 관계자들도 함께하기 때문에 한국과 뉴질랜드의 문화 교류 가능성을 엿보는 뜻깊은 자리가 될 전망이다. 공식 행사의 틀을 넘어, 실질적인 문화 외교의 장으로 기능할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
비영리의 숙명, 그리고 연대의 필요성
화려한 무대 뒤에는 보이지 않는 노력이 있다. 한인회가 비영리단체다 보니 재정 문제는 늘 숙제다. 홍 회장은 몇 년 전 김진표 국회의장이 방문했을 때를 떠올린다. 당시 김 국회의장은 한인회의 어려움을 듣고 지상사협의회에 도움을 요청했고, 현지 진출 기업들과의 소통 부재가 개선되는 계기가 됐다. 하지만 여전히 현실적인 어려움은 남아 있다.
"도움이 절실한 때입니다. 어려울 때일수록 오클랜드 한인들을 대표하는 한인회에 도움을 주시길 바랍니다." 홍 회장의 호소는 단순한 재정 지원을 넘어, 공동체의 연대를 바라는 간절함이 담겨 있다. 올해 한인의 날은 재외동포청, 부산광역시, 사)세계한인경제무역협회 OKTA Auckland, 오뚜기, 대한항공, Winger Motors, KB치킨, 홍길동 투어, Auckland Council, Ethnic Communities 등 다수 후원사의 지원으로 가능했다. 이는 여러 단체와 기업들의 후원과 교민들의 열정이 어우러진 결과물이다.
2만 명이 모이는 축제
지난해 15,000명 이상이 방문한 한인의 날. 올해는 K-컬처 붐과 플레디스 후원 효과로 20,000명 이상의 방문객이 예상된다. 정오의 공식 개막식과 오후의 메인 공연은 전통 공연과 현대 K-팝 무대가 조화를 이루는, 세대와 문화를 잇는 순간이 될 것이다.
홍 회장은 "한인의 날은 한국인만의 축제가 아니라, 모든 오클랜드 시민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열린 문화의 장"이라고 강조한다. 음식, 공연, 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 문화를 체험하고, 서로 다른 문화가 어우러지는 아름다움을 느끼길 바란다는 의미다.
"흥과 멋과 즐거움이 있는 곳입니다. 한인의 날은 우리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축제입니다." 홍 회장의 말처럼, 이번 행사는 한인 이민 사회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보여주는 상징적 자리가 될 것이다. 12월 6일, Eventfinda Stadium에서 가족과 친구, 이웃과 함께 한국의 멋과 따뜻한 공동체의 힘을 느껴보길 바란다.
글 박성인 기자
2025 한인의 날
일시: 2025년 12월 6일(토) 오전 10시 ~ 오후 6시
장소: Eventfinda Stadium (17 Silverfield, Wairau Valley, Auckland)
주요 프로그램
공연 | 사물놀이, K-팝 댄스, 전통악기 연주, 부채춤, 심포니 오케스트라, 오클랜드한인합창단
체험 | 김치 만들기, 차 시음, 한복 입어보기, 서예, 투호, 활쏘기, 제기차기, 공기놀이
푸드존 | 떡볶이, 어묵, 붕어빵, 치킨, 한국 퓨전 디저트, 라면, 컵빙수
특별 이벤트 | 플레디스 K-팝 댄스 & 랩 & 노래 콘테스트, 케데헌 테마존, 전주시/보령시 특산품 전시
관련 정보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AucklandKoreansociety
인스타그램: aucklandkorean.nz
한인회 홈페이지: https://nz.korean.net
후원 재외동포청, 부산광역시, 사)세계한인경제무역협회 OKTA Auckland, 대한항공, Winger Motors, 오뚜기, KB치킨, 홍길동 투어, Auckland Council, Ethnic Commun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