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시장 포모증후군과 회원권 가치

한국뉴스


 

자산시장 포모증후군과 회원권 가치

시사뉴스 0 1302 0 0

누구나 대박을 꿈꾼다. 적어도 요즘 같이 뜨겁게 달아오른 투자의 세계에선 그 꿈이 환상일지라도 말이다. 현금 가치하락을 우려한 기성세대는 각종 투자 자산매입에 나서길 주저하지 않는다. 어린자녀에게 주식거래통장, 청약통장을 만들어 주는 것은 기본이고 2030세대는 각종 대출을 바탕으로 부동산 매입과 주식투자에 나서고 있다.  


a76666e2e96295a8f18996a078efbddf_1617005571_417933.jpg
 


전대미문의 과감하고도 모험적인 재테크 세계가 펼쳐지고 있다. 비단 부동산과 주식 같은 전통적인 자산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이미 시중에는 유동성 자금이 어느 때보다 넘쳐난다. 부동산 시장에 대한 규제가 대폭 강화되면서 투자금의 물꼬가 트여 사방으로 흩어지듯 흐르고 있다. 

넘치는 자금

주식에 문외한이었던 사람들도 새로운 투자처를 찾기 시작했고, 과도한 버블을 우려했던 가상화폐는 불과 1년여 만에 수십 배 이상 시세가 올랐다. 인터넷 카페나 커뮤니티에서는 그 진위여부를 떠나 투자 수익률과 성공비법을 과시하듯 게시하는 사례가 종종 목격된다. 대체자산 투자까지 성행하다 보니 거래 계층은 다르지만, 그중에는 회원권시장도 일부 투자 열풍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코로나19의 여파를 극복하기 위한 불가피한 해법의 부산물이었다. 문제는 시대적 흐름이 과도한 포모증후군(FOMO/Fear Of Missing Out -Syndrome, 흐름을 놓치거나 소외되는 것에서 느끼는 불안 증상)을 양산한다는 데 있다. ‘벼락부자’가 될 거란 기대보다, 지금 당장 투자를 안 하면, 이른바 ‘벼락거지’가 될 것이라는 두려움이 합리적 판단을 배제하도록 하는 모양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전문가들조차도 기존 자산시장의 가치판단 기준이 흔들린다는 우려를 표하고 있다. 심지어 워런 버핏 같은 가치투자의 대가도 코로나19로 큰 손실을 보고 주식을 손절했다는 소식이 들린다. 성장주 투자로 포트폴리오를 넓히면서 기존의 투자관에 변화를 꾀하기도 했다.

자연스레 우리가 알고 있던 기존 가치의 기준과 그 판단에 대한 주체까지 어느덧 갈 길을 잃은 모양새다. 이에 장기적 추세를 전제하거나 ‘블랙스완’에 대처하지는 않고, 시대적 트렌드에 순응하는 게 혼돈의 시대에 살아남는 방법으로 귀결되고 있다.

넘쳐나는 유동성 자금
뜨거워진 회원권시장


회원권시장에도 기대와 두려움이 교차할 정도로 매매의 기준이 변화하고 있다. 금융위기 이후 회원권시장에서는 ‘투자’라는 단어가 터부시되다시피 했지만, 최근 금융권PB 사이에서도 회원권 투자를 적극적으로 추천한다는 소식이 들려온다. 오히려 어느 순간부터 투자 개념에 익숙해지더니 이제 표현에도 부담스럽지 않다는 반응이다.

실제로 지난달 10일 기준 회원권 시세는 국내 코로나19 감염이 본격화되기 이전인 지난해 1월과 비교해 27.7% 상승했다. 금융위기 이후에 처음으로 경험한 두 자릿수 상승세다. 

앞서 거론된 다른 자산에 비해 상승세가 미흡하다 느낄지 모르겠지만, 거래 금액단위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단순 비교해서는 안 될 일이다. 특히 서울시 중위권 아파트 평균가(8억6702만원, 한국부동산원 2020년 11월 발표내역)보다 높은 8억원 이상의 초고가회원권 가격은 같은 기간 63.1% 급등했다. 

결과적으로 비쌀수록 가격 상승률이 높았다고 볼 수 있다. 매물 개체수가 적기에 희소성이 높은 종목일수록 유리한 특성이 상승장에서 부각된 결과다.

하지만 지역별로 보면 회원권 개별종목들의 반응은 자산시장의 포모증후군과는 확연한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다. 현재 골프회원권 시장에서는 수도권의 종목들이 주축으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국내 골프투어가 증가하고 있는 제주권의 상승세가 두드러진다. 반면 골프동호회와 모임이 가장 활발한 영남권은 상대적으로 상승폭이 적거나 주요 종목들이 상승장에서 비켜난 양상이 목도됐다.

1년 전보다 30% 급등
비쌀수록 높았던 상승률


원인을 분석하고자 에이스회원권지수(ACEPI)에서 미국 금융위기 전, 지수가 최고점이던 2008년 3월18일(1715.3P)과 2021년 2월1일(1049.1P)을 기준으로 257개 주요종목들의 시세를 확인해봤다.

전반적으로 과거 최고치에 비해 여전히 30%대 이상 시세가 낮은 상황이나, 유독 영남권은 지속적으로 신고가를 갱신해온 것으로 확인됐다. 과거 영남권은 부울경(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지역 통칭)과 대구광역시 일대의 가파른 부동산 가격 상승시기와 연관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부실 골프장들의 구조조정이 한창이던 2014~2016년 사이, 수도권 회원권 가격의 하락 시기에 오히려 영남권에는 회원권 투자 붐이 일었다. 일례로 경영권을 두고 지분경쟁이 치열하던 파미힐스회원권의 금융위기 전 고점 대비 시세상승률은 216.7%에 이른다.

새 투자처

사용 목적이 분명한 회원권의 새로운 투자 붐이 부각된 최근의 현상 또한 포모증후군의 일환일 수도 있다. 그나마 다행이라면 소비자들의 고점에 대한 인식과 매매종목에 대한 분별력이 과거보다 높아졌고, 그 배경에는 수도권 회원권의 뼈저린 하락 경험이 밑바탕되고 있다는 것이다. 다른 자산시장에서도 한 번쯤 되새겨볼 일이다.

자료제공 : 월간골프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