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몰리는 ‘MZ세대’ 보고서

한국뉴스


 

서울 몰리는 ‘MZ세대’ 보고서

시사뉴스 0 1483 0 0

돈보다 워라밸…그래도 도시로 

서울에 MZ세대가 몰리고 있다. MZ세대는 기존 세대인 베이비부머 세대와 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 서울시가 우리 사회에 떠오른 MZ세대 특징과 인식 변화에 대해 살펴봤다. 


1980~2004년생의 MZ세대들이 서울시 전체 인구의 35.5%를 차지하는 가장 큰 세대 집단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성준 기자
▲ 1980~2004년생의 MZ세대들이 서울시 전체 인구의 35.5%를 차지하는 가장 큰 세대 집단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성준 기자

서울시가 서울서베이와 주민등록인구 통계자료를 확인해 최근 사회·문화·경제 변화의 주축으로 떠오른 MZ세대 특징과 경제활동·사회 인식 변화를 처음으로 분석했다. 


가장 큰 
세대집단 


MZ세대는 1980~2004년생(2020년 기준: 16~40세)을 지칭한다. 1980~1994년생(2020년 기준 26~40세)을 일컫는 ‘M세대(밀레니얼 세대)’와 1995~2004년생(2020년 기준: 16~25세)을 뜻하는 ‘Z세대’를 합한 것이다. 서울에 사는 MZ세대 인구는 약 343만명으로, 전체 서울시 인구의 35.5%를 차지하며 서울에서 가장 큰 세대 집단으로 조사됐다. 


전체 서울 인구의 35.5%를 구성하고 있는 MZ세대 중 23.9%(231만명)는 M세대, 11.6%(112만명)는 Z세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에 대한 가치관에 있어 ‘더 좋은 직장이 나오면 언제라도 이직하겠다’ ‘수입을 위해서 일하기보다는 여가시간을 더 갖고 싶다’는 경향이 5년 전보다 더 커졌고 베이비부머 세대보다 더 뚜렷하다.

‘더 좋은 직장이 나타나면 언제라도 옮기는 것이 좋다’는 문항에 MZ세대는 10점 만점 중 7.14점을 매겼다. 이는 서울시민 전체가 준 6.67점을 넘어선 수치다. ‘수입을 위해 일을 더 하기보다는 여가 시간을 갖고 싶다’는 문항에는 6.7점으로 서울시민 전체의 6.36점을 앞섰다. 1955~1963년 출생한 베이비부머 세대는 동일 문항들에 6.11점, 6.23점을 각각 매겼다.


이직 가능성 열어놓는다
수입보다 여가시간 중시


전문가들은 직장생활로 부모 세대와 같은 삶을 담보할 수 없게 되면서 직업 가치관이 변한 결과라고 해석했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과거에는 흙수저로 태어났어도 취업하고 몇 년 일하면 대출받아서 내집 마련에 성공하는 등 직장을 통해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다는 인식이 컸지만 지금은 그렇지 못하다”며 “‘연봉에 따라 공정한 대우를 받는다’는 인식과 ‘근로소득으로 자아를 실현하겠다는 인식이 공존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2015년과 2020년의 세대별 경제활동 참가율
▲ 2015년과 2020년의 세대별 경제활동 참가율

지난해 MZ세대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67.2%로 베이비부머 세대의 경제활동 참가율 66.3%를 추월했다. 이는 베이비부머의 은퇴와 MZ세대 전 연령층의 경제활동 인구 편입이 맞물려 발생한 현상으로 이해된다. 1인 가구 MZ세대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84.1%로 전체 MZ세대의 경제활동 참가율 67.2%보다 높은 수치다.

이는 전체 MZ세대의 학생 비율(22.9%)이 1인 가구 MZ세대(9.8%)보다 높기 때문이다. 


1인 가구
큰 폭 증가 


지난해 MZ세대 직업으로는 사무종사자(36.1%), 학생(22.9%), 서비스종사자(11.3%) 순으로 많았다. M세대의 61.8%는 사무종사자, 전문가 등 화이트칼라 직업, Z세대의 72.6%는 학생의 비중이 높았다.


세대는 전문가·관련 종사자(2015년 3.6%->2020년 11.5%, 7.9%p 증가), 사무종사자(2015년 40.9%->2020년 47.2%, 6.3%p 증가)에서 직업 비중이 증가했으며, Z세대는 사무종사자(2015년 5.0%->2020년 9.4%, 4.4% p증가), 서비스 종사자(2015년 3.0%->2020년 7.1%, 4.1%p증가)에서 직업 비중이 증가했다. 


지난 2015년과 2020년의 세대별 경제활동 참가율 ⓒ서울시
▲ 지난 2015년과 2020년의 세대별 경제활동 참가율 ⓒ서울시

1인 가구 MZ세대의 직업 비중은 사무종사자(44.3%), 전문가·관련 종사자(14.9%), 서비스종사자(12.1%) 순으로 컸다. M세대는 사무종사자(48.4%), 전문가·관련 종사자(16.5%), 서비스종사자(11.8%) 순이었으며, Z세대는 학생(40.4%), 사무종사자(23%), 서비스종사자(13.7%) 순이었다.

MZ세대는 더 좋은 직장이 나오면 언제라도 옮기고 싶어하나 수입을 위해 일을 더하기 보다는 여가 시간을 더 갖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Z세대는 ‘여가 시간을 갖고 싶다’는 의견이 2015년에 비해 2020년에는 더욱 높아졌으며, 1인 가구 MZ세대보다 더 강한 특성을 보이고 있다. 


기존 세대와
다른 가치관


이와는 대조적으로 베이비부머는 MZ세대보다 ‘이직’과 ‘여가 시간’을 선호하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히 1인 가구 베이비부머에서는 2015년에 비해 2020년에는 ‘이직’과 ‘여가 시간’ 선호 경향이 감소했다.

 

MZ세대를 비롯해 서울 시민 전체는 지난 5년간 본인뿐만 아니라 자녀의 사회계층 이동 가능성이 점점 낮아지고 있다고 본다. 특히 지난 5년간 자녀에 대한 사회계층 이동 가능성이 본인보다 더욱 큰 폭으로 하락했다. 또 1인 가구 지속 기간이 길어질수록 세대를 불문하고 본인과 자녀의 사회계층 가능성에 대해 희망도 점점 낮아지는 추세다.


ⓒpixabay
▲ ⓒpixabay

2020년 1인 가구 MZ세대는 자녀의 사회계층 이동 가능성이 본인보다는 긍정적이라는 다른 세대와의 생각과는 달리 자녀의 사회계층 이동 가능성은 본인보다 낮다고 생각하는 특징을 보였다. 


MZ세대는 ‘자녀의 사회계층 이동 가능성’(10점 만점)을 지난해 기준 4.99점으로 평가했다. 이는 2015년(5.98점)보다 1점가량 하락한 수치로, 같은 기간 ‘본인의 계층 이동 가능성’(5.16점→4.74점)보다 낙폭이 컸다.


사회계층 이동가능성 낮아져
결혼·자녀출산 부정적 인식 


이 같은 결과는 매년 9월 서울에 사는 2만 가구 15세 이상 시민 약 4만여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서울서베이를 분석한 것이다. MZ세대 표본은 2015년과 2020년에 각각 1만6649명, 1만6187명이다.


자녀의 사회계층 이동 가능성을 바라보는 시각은 M세대(6.02점→4.91점)가 Z세대(5.86점→5.18점)보다 부정적인 편이다. 경제활동 경험에 따른 차이가 MZ세대 내에서도 차이를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M세대는 2020년 기준 26~40세로 경제활동 참가율은 2015년 76.7%, 2020년 85.5%이었다.


반면 16~25세인 Z세대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2015년 12.4%, 2020년 23.1%로 상대적으로 작다.

세대와 상관없이 서울시민 전체에 계층 이동 가능성을 물은 결과에서도 점수는 2015년 5.91점에서 2020년 4.92점으로 떨어졌다.


MZ세대의 결혼과 출산에 대한 가치관은 베이비부머 세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유로웠다. 결혼과 출산에 긍정적인 베이비부머 세대와는 달리 MZ세대는 ‘결혼은 반드시 해야 한다’는 4.46점, ‘자녀는 반드시 있어야 한다’는 4.22점으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M세대보다는 Z세대에서 부정적 시각이 강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기존 세대와
다른 가치관


박종수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MZ세대는 기존 세대와 다른 생활과 가치관을 갖고 있다”며 “해당 지표가 서울을 이끌 중심 세대인 MZ세대를 더욱 이해하고, MZ세대 특징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요시사 구동환 기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