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당치킨’ 앞세운 홈플러스 노림수

한국뉴스


 

‘당당치킨’ 앞세운 홈플러스 노림수

시사뉴스 0 358 0 0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홈플러스가 꺼내 든 초저가 치킨이 화제의 중심에 섰다. 저렴한 가격표가 붙자 대중이 칭찬을 쏟아내는 모양새다. 그렇다면 홈플러스는 무엇을 노린 걸까. 일각에서는 당당치킨에서 드러난 홈플러스의 마케팅 전략을 사모펀드의 재매각 의지와 연결 짓는다.

‘당당치킨’은 홈플러스가 물가안정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출시한 저가 치킨이다. 당일 제조해 당일 판매한다는 뜻에서 당당치킨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프라이드 치킨 기준 한 마리 가격은 6990원, 두 마리는 9900원에 판매되고 있다.

문전성시

홈플러스가 당당치킨 가격을 낮게 책정한 건 대량 구매와 함께 중간 유통단계를 생략했기 때문이다. 홈플러스에 따르면 지난 6월30일 판매를 시작한 당당치킨은 한달여 만에 30만마리가 판매됐다. 당초 1일 판매량이 1만마리 근접하는 히트상품으로 자리매김한 셈이다.

당당치킨에 대한 높은 주목도는 2010년 12월 출시됐던 롯데마트의 ‘통큰치킨’ 사례를 떠올리게 한다. 당시 통큰치킨은 5000원이라는 파격적인 가격을 앞세워 출시 직후 소비자들의 호응을 이끌어냈다.

그러나 통큰치킨 열풍은 그리 오래가지 않았다. 곱지 않은 시각을 인지한 롯데마트가 판매 1주일 만에 통큰치킨 판매 중단 결정이 내린 탓이다.


당시 치킨 프랜차이즈 업체들은 대기업이 저가 공세로 영세 자영업자 상권을 죽인다는 취지로 강하게 비판했다. 가맹점주들은 판매 중단 시위와 함께 통큰치킨을 덤핑으로 간주해 공정거래위원회에 고발하겠다고 나서기도 했다.

일단 최근 사회 분위기를 감안하면 당당치킨이 통큰치킨의 전철을 밟을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6.3% 올랐다. 전달에 이어 2개월 연속 6%대를 기록하며, IMF 외환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치킨 프랜차이즈 업체에서 판매하는 치킨 가격이 수년 전부터 급격히 뛰어올랐다는 점도 당당치킨에 대한 여론을 우호적으로 만든 배경이었다. 2010년대 초반만 해도 마리당 1만원대 초중반을 형성했던 해당 업체들의 기본 메뉴 가격은 최근 2만원대 안팎으로 오른 상태다. 당당치킨과 비교하면 두배가량 가격이 높게 책정돼있다.

이런 와중에 치킨 프랜차이즈 업체들은 엄청난 수익성을 확보했다. ‘빅3’로 분류되는 업체들의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bhc 27.1% ▲교촌에프앤비 5.7% ▲제너시스BBQ 16.8% 등으로, 통상 식품업계의 영업이익률이 5%대를 보이는 것과 비교하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남는 것 없는 초대박 장사
‘잘 되는 척’하며 되팔 생각?

눈여겨볼 부분은 당당치킨 열풍을 진두지휘한 이제훈 홈플러스 대표가 그 누구보다 프랜차이즈 업계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는 사실이다. 지난해 5월 홈플러스에 둥지를 튼 이 대표는 식품·유통업계에서 잔뼈가 굵은 인물이다.


2000년부터 피자헛코리아에 몸담으며 ▲최고재무책임자(CFO) ▲최고개발책임자(CDO) ▲최고운영책임자(COO)를 맡았다. 2016년에는 KFC코리아 최고경영자(CEO)를 역임했다.

프랜차이즈 업계에서는 이 대표가 저가 미끼상품인 당당치킨을 내세워 고객 끌어모으기 전략을 취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밀가루, 기름, 닭고기 등 치킨 제조에 필요한 원재료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한 만큼 당당치킨을 통해 이윤을 남기기는 어렵다고 보는 것이다.

당당치킨을 미끼상품이라고 보는 시각은, 남는 게 없더라도 점포로 발길을 오게끔 만들고 이를 통해 표면적인 매출 상승효과를 꾀한다는 뜻과 일맥상통한다. 한발 더 나아가 일각에서는 당당치킨에서 드러난 마케팅 전략을 홈플러스 재매각 카드가 연결 짓는 시각도 존재한다.

2015년 10월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는 7조2000억원을 투자해 홈플러스를 인수했다. 당시 에쿼티는 블라인드 펀드로 조성한 자금은 2조2000억원에 그쳤고, 나머지 5조원은 홈플러스 자산을 담보로 조달했다.

하지만 MBK파트너스는 홈플러스 인수 7년째가 되도록 투자금 회수에 성공하지 못했다. 5년 내 재매각에 나서는 통상적인 사모펀드의 운영방침과 사뭇 다른 양상이자, 사실상 투자 실패로 비춰지는 사안이다.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매각해야 할 시기를 놓쳤고, 투자자금 회수마저 힘들어진 모양새다.

뻔한 수순

실제로 홈플러스는 지난해(2021년 3월~2022년 2월) 코로나19 악재를 감안해도 시장 기대치를 밑도는 실적을 공개한 바 있다. 매출은 전년 대비 4855억원이나 줄어든 6조4807억원에 그쳤고, 영업손실 1335억원을 기록하며 보이며 적자로 돌아섰다. 경쟁사인 이마트가 사상 최대 매출을 올린 것과 대비된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