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로 향하는 뉴질랜드인들: '인구 변화'인가 '구조적 문제'인가

뉴질랜드 뉴스
홈 > 뉴스/정보 > NZ뉴스
NZ뉴스


 

호주로 향하는 뉴질랜드인들: '인구 변화'인가 '구조적 문제'인가

일요시사 0 118
f078e82a72b27bb4c5c04f09f14470eb_1752539895_098402.jpg
 

호주로 향하는 뉴질랜드인들: '인구 변화'인가 '구조적 문제'인가 


뉴질랜드 시민권자들이 호주로 대거 이주하며 '시민권자 순유출'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는 단순한 개인의 선택을 넘어 뉴질랜드 인구 구조 변화의 주요 상징으로 떠오르고 있다.

뉴질랜드 통계청(Stats NZ)에 따르면, 최근 18개월간 뉴질랜드 시민권자의 해외 이주 규모는 예년보다 크게 증가한 반면, 외국인 순이민자 수는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포메트릭스 수석 경제학자 닉 브런드슨은 현재 고용 성장세가 둔화돼 단기적인 타격은 크지 않지만, 향후 경기 회복 시 심각한 인력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자녀를 동반한 30대 가구의 이탈은 국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민자 유입과 시민권자 유출에 따른 인구 구조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순한 경기 순환 아닌 '구조적 문제' 지적

ANZ 수석 경제학자 샤론 졸너는 이러한 현상이 단순한 경기 사이클이 아닌 '구조적 문제'라고 분석했다.

 호주는 자원 부국으로서 벌어들인 부를 인프라에 재투자해 실질 임금과 생산성을 끌어올렸지만, 뉴질랜드는 숙련 인력을 지켜내기 어려운 실정이라는 지적이다. 

또한, 최근 대규모 이민 유입이 상대적으로 낮은 숙련도의 인력 중심이라는 점을 언급하며, 나가는 인력과 들어오는 인력 간의 '역전 현상'이 국가 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뉴질랜드 시민이 호주로 이주할 때 가장 큰 장점은 ‘트랜스-타스만 협정’ 덕분에 사실상 비자 없이 정착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호주에 입국하는 즉시 특별 카테고리 비자(SCV)가 자동으로 발급돼 취업, 거주, 교육이 모두 합법화된다.

별도의 신청, 기술 심사, 영어 시험 등 복잡한 절차 없이 입국 즉시 합법적인 체류 자격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호주의 공공의료제도인 Medicare 이용이 가능하며, 자녀는 현지 공립학교에서 무상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일부 복지 수당이나 대학 학자금 대출은 제한이 있지만, 장기 체류자를 중심으로 혜택이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2023년 7월부터 호주 정부는 SCV를 소지한 뉴질랜드 시민에게 영주권 취득 절차를 대폭 간소화했다. 

2년 이상 체류하면 기술 심사나 영어 시험 없이 영주권 신청이 가능하며, 1년 뒤에는 시민권 신청 자격도 주어지는 등 기존보다 훨씬 완화된 요건이 적용된다.

 이는 뉴질랜드 시민권자들에게 호주 이주를 더욱 매력적으로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뉴질랜드 시민들의 호주 이주가 단순한 '경기 불황' 때문만은 아니라고 입을 모은다. 

호주의 넓은 기회, 제도적 이점, 높은 임금과 생산성은 뉴질랜드 시민권자에게 매우 강력한 유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뉴질랜드 정부가 고민해야 할 문제는 단순히 인구 수의 증감이 아니라, 떠나는 사람들의 '질'과 들어오는 사람들의 '구성'이다.

 남은 자리를 누가 채우는지가 바로 미래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 될 것이다.

0 Comments
  • 글이 없습니다.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우측마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