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올리스트 조아람

시사인터뷰


 

비올리스트 조아람

일요시사 0 2,609

"클래식, 절대 어렵지 않아요"

 '클래식은 어렵다?' 독일 유학파 출신 비올리스트 조아람(27)은 클래식이 대중에게 좀 더 쉽게 다가가야 한다고 말한다. 예술의 전당의 고고함보다는 일상으로 초대된 친근함을 말하는 그에게서 한국 클래식의 미래가 엿보였다.

독일 뒤셀도르프. 젊은 예술가들이 모여드는 이곳에 한 한국인 비올리스트가 있었다. 귀국 후 또 다른 도전을 준비하고 있는 비올리스트 조아람을 <일요시사>가 만났다.

-먼저 소개를 부탁드릴게요.
▲ 안녕하세요. 13살 때 처음 비올라를 시작해 지금까지 인연을 맺고 있는 비올리스트 조아람입니다.

-13살이면 또래에 비해 늦게 음악을 시작하신 거죠.
▲ 네. 클래식은 보통 5∼7살에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제 경우에는 사촌오빠가 비올라 전공인데 그 오빠에게 배우다가…. 이게 너무 재밌는 거예요. 원래 전공까지 할 생각은 아니었는데 욕심이 좀 생겼죠.

-그럼 중학교 입학할 때 이미 비올라 전공을 선택하신 거네요.
▲ 안 그래도 부모님이 반대를 좀 하셨어요. 그냥 피아노를 치는 게 어떻겠냐고. 하지만 전 비올라가 더 좋았어요. 그때는 '예중에 가야지' 이런 생각보다 비올라를 연주하는 게 좋았던 것 같아요.

- 좋아서 그랬는지 고등학교까지 쭉 수석이셨네요.
▲ 네. 실기 우수자를 계속했는데…. 수석이었죠. 민망하군요(웃음). 보통 한국 학생은 '난 어디 대학을 갈 거야' 이런 목표를 잡는데 저는 늦게 시작한 만큼 무대에서 경험을 많이 쌓는 게 목표였거든요. 콩쿠르도 많이 하고요. 거기서 실력이 좀 늘지 않았나 싶어요.

- 국내 여러 대학의 스카우트 제의도 있었을 텐데 갑자기 왜 독일 유학을 떠났습니까.
▲ 아무래도 유학은 언어 장벽이 가장 힘들거든요. 10대 때 유학을 가야 언어습득이 빠르다는 생각도 있었고요. 당시 제가 17살이었는데 유학 초반 의사소통이 어려워서 보디랭귀지를 했던 기억도 나네요. 하지만 그런 어려움보다 독일 고전주의 음악을 경험하고 싶다는 욕심이 더 컸어요.

- 하지만 학비가 만만치 않잖아요. 클래식은 돈도 많이 들고요.
▲ 네. 많은 분들이 잘못 알고 계시는 게 독일이 학비가 없다든지 그런 건 아니에요. 물론 미국에 비해서는 싸요. 하지만 모든 물건에 세금이 19%가 붙고요. 유로화도 비싸고요. 유럽 유학은 만만히 보시면 안 돼요. 유학 온 한국 친구들 중에는 정말 훌륭한 재능이 있는데 집안 형편이 안 돼서 학비 때문에 아르바이트하는 유학생도 많아요. 접시 닦고, 서빙도 하고.

- 클래식 연주자가 접시를 닦아요? 왠지 다 부유한 집안에서 자랐을 것만 같은데요.
▲ 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아요. 저는 (경제수준이) 중간인데 집 난방비가 비싸서 점퍼 걸치고 리포트 쓰고 그랬거든요. 보통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과는 달라요.

- 그런데 유학 생활 도중 독일 필하모니 베스트팔렌 오케스트라의 정식 단원이 되셨죠.
▲ 운이 좀 좋았죠. 학교 실습실에서 한밤중에 연습을 하고 있었어요. 창밖을 보면서. 그런데 마침 그곳을 지나던 한 교수님이 비올라 소리를 듣고는 저보고 오디션을 보러 오라는 거예요. 그래서 시험에 참가했죠. 특이했던 건 독일은 악단 멤버 전원이 오디션 참가자를 평가해요. 들어갈 때는 좀 무서웠지만 나중에 보니 팀워크가 좋은 이유가 있던 거죠.

- 단원으로 활동하면서 기억나는 에피소드 하나만 얘기해주세요.
▲ 일단 참 좋았던 점이 공연 가격이 한국과 많이 달라요. 무료 공연도 많고, 5유로(약 7000원) 공연도 있고요. 그래서인지 할아버지가 손자들과 함께 가족 단위로 공연장을 찾기도 해요. 관람료가 낮은 만큼 관객층이 넓다는 것도 한국과는 다르죠.

접시 닦고 서빙하면서 유학 생활
"한국은 생계 때문에…독일은 자기가 좋아서"

- 독일의 음악과 한국의 음악, 또 어떤 점이 다른가요.
▲ 우선 한국은 굉장히 절도가 있어요. 하지만 독일은 즐기면서 재미있게 하는 음악이 많아요. 실내악은 율동도 섞어서 하고요. 제 생각에 한국은 (연주자의) 생계랑 맞닿은 부분이 많아서 (음악이) 딱딱해질 수밖에 없어요. 반면 독일은 돈과 상관없이 자기가 좋아서 음악하시는 분들이 많아요. 독일에서는 내가 연주를 하든 농사를 짓든 서로 큰 차이 없이 돈을 벌 수 있거든요. 그만큼 생계에서는 자유로운 편이죠.

- 꼭 돈을 벌려고만 음악 하는 건 아니잖아요.
▲ 그렇지만 우리나라는 이게 현실이죠. 음악가가 돈을 벌 수 있는 조건이 많이 제한돼 있어요. 기회도 많지 않고요. 더 슬픈 건 음악에 재능 있는 친구들도 예중·예고를 다니다가 중간에 나가요. 왜냐면 그 돈은 부모님이 해주고 싶어도 너무 부담이 크니까. 독일에 있을 때도 금전적인 문제로 유학을 포기하는 한국 친구들 많이 봤어요. 하지만 독일인 중에서는 경제적인 이유로 음악 그만둔다는 사람 보지 못했어요. 씁쓸한 현실이죠.

- 요즘 한류 얘기가 많은데 클래식도 한류 열풍이 불면 시장이 좀 넓어지지 않을까요.
▲ 우리나라 천재들을 놓고 보면 정말 가능성이 많아요. 문제는 그게 끝이죠. 저는 아직 멀었다고 봐요. 먼저 교육이나 공연 인프라 문제가 크죠. 특히 티켓 값이 너무 비싸요. 예를 들어 정명훈씨가 서울시향에 계시잖아요. 그런데 정명훈씨에게 돈을 많이 주면서 티켓 값도 그만큼 올라갔죠. 그런데 또 특별한 계층만 클래식을 듣는 건 아니잖아요. 참 답답하죠.

- 그런데 클래식 애호가들은 클래식 대중화에 반대하지 않나요.
▲ 아니요. 제 생각에는 뉴에이지 이런 것도 클래식의 한 범주라고 생각해요. 집에서 만돌린 음악을 듣는 것도 클래식을 즐기는 거구요. 취향이잖아요. 다만 고전적인 클래식이 있는 거고 현대적인 클래식도 있는 거고요. 대중적이라고 해서 나쁜 게 아니잖아요. 그리고 클래식도 대중적으로 알려야죠. 제 음악만 고집할 게 아니라 대중이 아는 곡들로 먼저 다가가서 친근하게 활동하고 싶어요.

- 앞으로의 계획은 뭡니까.
▲ 공연 끝나고 단원들과 같이 내려오면서 "수고했어"라고 말하는 이때가 너무 좋아요. 독주회도 지금 준비는 하고 있지만 실내악이든 오케스트라든 대중화된 음악을 동료들과 함께 선보이는 그런 비올리스트가 되고 싶어요. 그래서 '비올라하면 조아람' 이렇게 제가 떠오를 수 있다면 더 좋겠어요. 이거 너무 꿈이 큰가요?

강현석 기자 <angeli@ilyosisa.co.kr>

 

 

<조아람은?>

▲2003 선화예고 입학
▲2003 만하임음대 주최 GMI 국제 콩쿠르 최우수 외 다수
▲2004 wuppertaler kurrende Knabenchor 현악 4중주 협연 외 다수
▲2009 동양인 최연소 neue philharmonie westfalen 오케스트라 정단원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