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전두환 비자금 계열사 11곳 압수수색
[일요시사=온라인팀] 2일, 서울중앙지검 전두환 일가 미납 추징금 특별환수팀(팀장 김형준 부장검사)은 비자금 유입 의혹 등을 받고 있는 제분·사료업체 동아원과 계열사, 자택 등 11곳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이날 오전 9시께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동아원 회장 집무실과 용산구 한남동 신원플라자 등에 검사와 수사관 60여명을 보내 컴퓨터 하드디스크, 회계자료, 내부 보고·결재서류 등을 확보했다.
검찰은 전 전 대통령의 삼남 재만씨의 장인이자 이희상 회장이 오너인 동아원 그룹이 운영하는 '다나 에스테이트'의 설립·운영자금으로 전 전 대통령의 비자금이 유입된 정황을 포착, 압수수색을 단행했다.
다나 에스테이트는 동아원 그룹이 2005년 부동산 투자회사 '고도(KODO)'를 통해 설립한 곳으로, 동아원은 총 780억여원을 포도밭 구입과 와이너리 사업 투자금으로 썼다. 고도는 이 회장이 운영하는 운산그룹의 계열사 동아원의 자회사다.
검찰은 미국의 일반적인 와이너리 사업과는 달리 동아원이 융자나 대출없이 전액 자기자본으로 구입자금을 마련한 것을 놓고 전 전 대통령 비자금이 흘러들어갔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특히 재만씨가 미국 캘리포니아주 내파밸리에서 운영 중인 1000억원대 와이너리(와인양조장)의 실소유주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와이너리 사업·투자 과정과 자금거래내역 등을 면밀히 살펴보고 있다.
검찰은 이와 함께 이 회장이 비자금을 차명으로 관리해주거나 불법재산을 숨겨주는 등 비자금 운용에 깊이 관여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관련 자금의 흐름을 쫓고 있다.
일부에서는 재만씨가 이희상 회장한테서 결혼축하금 명목으로 받은 160억원 규모의 채권과 서울 용산구 한남동 일대에 보유한 100억원대 빌딩 매입자금의 출처도 비자금과 연관됐을 것이라는 의혹이 일고 있다.
검찰은 1995년 채권 경로를 추적한 끝에 114억원의 실소유주가 전 전 대통령인 사실을 확인했지만 법원은 입증 부족을 이유로 검찰측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재만씨는 한남동 빌딩을 1996년 11월 준공, 1997년 1월 등기를 마쳤고 이듬해 1월 매각했다가 2002년에 다시 매입했다. 재만씨는 이 회장으로부터 증여받은 빌딩이라고 주장하지만 빌딩 처분·재취득 과정에 수상한 점이 적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 재만씨는 2007년 7월말 고도의 명의로 구입한 나파밸리의 시가 50억원 상당의 고급 주택의 매입 자금 출처도 비자금 의심을 받고 있다. 재만씨 측은 지난 3월 이 주택을 급매물로 내놓아 추징금 환수에 앞서 서둘러 재산을 처분하려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이밖에 재만씨의 부인 이윤혜씨는 서울 종로구 가회동에 소재한 시가 25억원 상당의 빌라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 4월에는 전 전 대통령 내외가 머물고 있는 연희동 사저의 별채를 12억원에 본인 명의로 사들였다.
검찰은 동아원 등에서 확보한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대로 회사 관계자들을 차례로 소환해 비자금 유입 여부 등을 추궁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이 회장을 출국금지하고 재만씨에 대해서도 입국시 통보 조치를 해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아울러 미 사법당국에도 재만씨가 보유한 미국 와이너리, 주택 등에 대한 매입자금 출처에 관한 조사 협조를 요청, 전 전 대통령 비자금과의 관련성 유무나 국외재산도피 혐의 등을 살펴볼 계획이다.
검찰 관계자는 "비자금 유입 의혹 규명 등을 위해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동아원과 관련해서 일부는 소환했지만 핵심 관계자들은 (아직) 소환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한편 검찰은 전 전 대통령의 장남 전재국씨가 경기도 연천 허브빌리지 일대에 소유한 전체 48개 필지(약 19만8000㎡) 중 시가 150억원 상당의 33개 필지(약 13만2000㎡)와 일부 건물을 압류했다.
일각에서는 전 전 대통령의 차남 재용씨가 수십억원 이상의 차명주식을 보유한 의혹이 제기됐다.
재용씨가 2007년 무렵부터 IT관련 종목을 매입했으며 관련 거래사실을 숨기기 위해 지인을 통해 주식을 차명으로 매매하며 자금이 필요할때 마다 주식을 매각해 현금을 마련했다는 것이다.
검찰 관계자는 "재용씨의 주식 차명 보유 등은 수사대상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전 대통령 자녀의 소환 시점에 대해서는 "아직 조율하지 않고 있다. 가정을 전제로 답변할 상황은 아니지만 수사는 원칙대로 간다"고 전했다.
김해웅 기자 <haewoo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