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산되는 ‘건대 괴질’ 공포
‘유령 바이러스’ 메르스는 새발의 피?
[일요시사 사회팀] 박호민 기자 = 메르스 공포가 사라진 지 반년도 지나지 않아 또다른 전염병 공포가 엄습했다. 이번에는 질병원인을 모른다. 건국대학교에서 발병했다고 해서 ‘건대 괴질’로 명명돼 사람들의 공포심을 유발하고 있다. ‘공포유발자’ 건대 괴질의 세 가지 가능성을 정리했다.
서울 광진구 건국대학교(이하 건국대)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괴질이 발생했다. 건국대에 따르면 지난달26일 오전부터 이 건물 4층과 5층에 위치한 동물영양실험실 소속 석·박사 16명이 집단적으로 감기몸살과 폐렴 유사 증상을 보였다.
세가지 가능성
건국대는 일반적인 폐렴보다 전염속도가 빠르다고 판단해 지난달 28일 오전 9시 건물 전체를 소독하고 오전 11시에는 폐쇄조치를 내렸다. 학교 측은 질병의 원인을 발견하지 못했다. 방역당국이 환자 및 건물내 환경 검체를 채취해 실시한 15종의 감염병 검사에서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다.
‘호흡기 세균’ 마이코플라즈마, 클라미디아, 백일해, 디프테리아를 염두에 둔 PCR 검사에서 모두 음성이 나왔다. ‘호흡기 바이러스’로 분류되는 메르스, 아데노바이러스, RS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메타뉴모바이러스, 보카바이러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등의 검사에서도 모두 음성으로 판명됐다.
특히, 감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꼽힌 브루셀라와 큐열, 레지오넬라 검사에서도 모두 음성으로 나오면서 전염성 강한 원인불명 바이러스가 등장하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고조됐다. 바이러스는 확산 추세다. 지난달 29일 기준 환자수가 31명으로 늘어난 것.
이들은 모두 건대 동물생명과학관 건물에서 근무하던 사람들이다. 감염증상은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을 보이며 최근 1주일 사이에 집중적으로 발병했다. 감염 경로가 뚜렷하다는 점은 위안이지만 폐렴치고 감염 속도가 빠르다는 점이 우려스럽다. 지난달 25일 해당 건물에서 SK그룹이 공개채용을 실시한 사실이 확인되면서 우려는 고조됐다. 능동감시 대상자 수는 전날보다 500여명 늘어 총 1350여 명이다.
능동감시 대상자는 정상 생활을 하면서 몸에 이상 징후가 생기면 보건당국에 신고해야 한다. 질병 당국은 500명의 대상자에게 이상 증상이 생기면 질본 콜센터(109)에 신고하도록 SK그룹에 요청했다.
전문가들은 일단 신중한 모습이다.
다만, 현재까지의 15종 검사에서 모두 음성판정을 받은 검사 결과만 놓고 보면 화학물질에 의한 폐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화학물질에 의한 폐손상환자는 폐렴과 비슷한 증세를 보일 수는 있지만 전염성이 없다. 따라서 환자가 늘지 않아 완전 종결로 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실 출입 사람들 집단적 폐렴 증세
정체·원인불명…전염력도 확인 안돼
해당 바이러스가 동물성 인플루엔자로 판명날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 전염 가능성 낮지만, 전염성이 없다고 장담할 수 없다. 건국대는 처음 보건당국에 질병 신고를 할 때 동물성 인풀루엔자에 의한 인체감염증이 의심된다고 밝혔다. 동물영양실험실에서 활동하던 집단에서 단체로 폐렴증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동물성인플루엔자가 원인이라면 두 가지 종류의 바이러스가 후보군으로 지목된다.
후보군 바이러는 H7N9, H5N1으로 두 바이러스 모두 중증질환을 일으킨다. H7N9는 작년 중국에서 처음 발병했다. 치사율이 25~30% 수준이며, 현재까지 발병한 환자는 약 260여명이다. 다만, H7N9은 동물에게서 사람으로 옮아가지만, 사람간의 추가적인 변이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H5N1의 경우 동남아 지역에서의 치사율이 50∼60% 정도로 수준으로 H7N9보다 높다. H5N1 역시 사람간의 전염성이 낮다.
화학물질 손상이나 동물성 인풀루엔자에 의한 감염 모두 전염성이 낮아 우려스러운 수준은 아니지만 발병환자의 병이 중증으로 발전하면 위기감이 고조될 수 있다. 여기에 추가적인 환자까지 발생하면 원인균도 모른 채 속수무책으로 전염병이 확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다른 시나리오는 원인을 모른 채 질병상황이 종결될 가능성이다. 원인불명 폐렴으로 확인된 31명의 환자 가운데 상태가 중증으로 발전한 환자는 아직까지 없기 때문이다. 현재 입원 환자 23명은 국립중앙의료원(15명)을 중심으로 국가지정 격리병상에서 치료를 받고 있지만 산소호흡기 착용 등 환자 상태가 위중할 때 시행되는 시술을 받고 있는 환자는 없다. 실제 폐렴의 경우 원인 불명으로 자연 치유되는 경우도 꽤 많다.
보건당국은 최악의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가능성을 염두해 두고 재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김영택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감시과장은 “동물 관련 실험실 특성상 화학물질이나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했을 수도 있다”며 “병원체뿐 아니라 환경이나 화학물질의 관련 가능성도 조사 중”이라고 전했다.
무서운 국민들
한편, 국민들도 건대 괴질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높다. 한 네티즌은 “메르스 때 안일한 대처로 전염이 확산됐는데 이번에는 철저한 방역으로 건대 괴질이 확산되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네티즌은 “원인이 밝혀지지도 않은 상황이라 여전히 불안한 것은 사실이라면서 건국대 근처는 유동인구가 많아 불안감이 증폭된다”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