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생 골절수술 사망사고 전말

한국뉴스


 

<기막힌 스토리> 초등생 골절수술 사망사고 전말

일요시사 0 1777 0 0














8살 지유는 영영 깨어나지 못했다

[일요시사=사회팀] 이광호 기자 = 체육활동 시간에 놀이터 구름사다리에 매달려 놀다가 떨어져 왼쪽 팔이 부러진 서지유(8)양. 당시 서양의 부모는 담당 교사를 원망하지 않았다. 놀다보면 다칠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오히려 “괜찮다”며 교사를 안심시켰다. 그리고 아이의 수술 일정을 잡았다. 수술 날, 담당 집도의는 “수술을 잘 마쳤다”고 말했다. 그런데 아이는 전신마취에서 깨어나지 못한 채 가족들과 이별했다. 이후 병원과 관련된 문제점들이 속속 드러났다.

  
 
 
지난 5월19일, 충남 천안의 B정형외과에서 팔 골절 수술을 위해 전신마취를 받았던 서지유(8)양이 마취에서 깨어나지 못한 채 숨졌다. 끔찍이 아꼈던 딸의 죽음에 유가족은 망연자실했다. 유가족들에 따르면 서양은 지난 5월16일 초등학교에서 체육활동으로 구름사다리 놀이를 하던 중 바닥으로 떨어졌다. 이 사고로 서양은 왼쪽 팔이 부러졌다. 당시 서양의 담임교사는 서양의 부상이 심각한 줄 몰랐으나 서양의 계속되는 고통 호소에 결국 B정형외과를 찾았고 학부모에게 연락을 취했다.

의문점 투성이
 
B정형외과 측은 엑스레이 촬영으로 골절 사실을 확인했다. 서양은 병원에 3일 간 입원하게 됐다. 그런데 서양은 입원 기간 동안 몸에 열을 내며 코피를 흘렸다. 가족들은 담당의에게 이를 알렸지만 “아동용 약(해열제)이 없으니 필요하면 집에서 가져다 먹여라”는 대답을 들었다. 아동골절을 전문으로 하는 곳이었지만 입원실에 가습기를 가져다 놓은 게 전부였다.
 
수술 당일, 마취전문의는 전신마취를 해야 한다고 했다. 서양의 아버지 서동균씨는 “부분마취를 하면 안 되냐”고 물었지만 담당의사는 “그러면 아이 아파서 죽어요”라며 너스레를 떨었다. 9시20분으로 예정된 수술을 앞두고 서양은 수술실 침대에 누웠다. 서양의 어머니는 걱정되는 마음을 숨기지 못하며 “마취하는 거예요?”라고 물었고 “네”라는 대답을 들었다. 마취하는 장면을 그대로 목격한 것이다.
 
2시간 뒤인 11시20분. 집도의는 수술을 잘 마쳤다고 전했다. 그러나 서양은 회복실로 옮겨지지 않았다. 오후 2시가 되도록 깨어나지 않자 서양의 부모는 걱정됐다. 마취담당의는 “아이의 체력이 약해 좀 늦어지는 것 같다”며 부모를 안심시켰다.
 
시간은 계속 흘렀고 불안한 마음에 서양의 부모는 인근 대학병원인 순천향대학병원으로 이송을 요구했지만 병원 측은 “기다려보자”는 말만 되풀이 했다. 오후 4시가 지나자 서양의 맥박과 혈압이 점점 떨어져만 갔다. 그리고 5시, 서양의 부모는 부작용이나 후유증을 우려했지만 의료진은 괜찮다고 답했다. 그리고 30분 뒤, 의료진이 다급히 수술실로 부모를 불렀다.
 
이내 서양의 어머니는 쓰러졌다. 아이의 심장에 제세동기를 이용, 심폐소생술을 하고 있던 것. 병원 측은 그제야 “대학병원에 이송요청을 했다”고 말했다. 서양은 인근 순천향대학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오후 8시48분 끝내 세상을 떠났다.
 
왼쪽 팔 부러져 정형외과서 수술
전신마취 깨어나지 못한 채 사망
 
유가족은 서양의 장례를 치른 뒤 병원에 가서 진료기록 등을 확보한 후 검토에 들어갔다. 이 과정에서 충격적인 사실들을 발견하고 지난 5월29일부터 천안 고속버스터미널과 인근 백화점 앞에서 매일 피켓시위를 벌였다. 진실규명과 함께 이 정형외과의 실태를 시민들에게 알리기 위해서였다.
 
B정형외과는 소아병원을 표방하면서 ‘소아용 진통제’를 구비하지 않았다. 또한 법정 간호사가 5명 이상이 돼야 하지만, 정식 간호사는 단 한 명도 없었다.
 
서양에게 마취약을 투여한 것은 의사나 간호사가 아닌 무자격자 ‘간호조무사’였다. 그리고 서양에게 사용된 마취제는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이었다. 수술 전 서양이 고열과 코피를 쏟는 등 몸 상태가 좋지 않은 상태에서 수술을 강행했다. 
 
  
 
 
수술 후 서양이 깨어나지 않자 부모는 대학병원으로 이송을 요구했으나 병원 측은 5시간 이상 방치했다. 서양에게 투여한 마취주사와 마취약 등은 기록돼 있지 않았다. 수술 전 발열과 코피가 난 사실도 차트에 기록하지 않았다. 수술 후 맥박, 호흡, 심박수 등이 정상으로 표시돼 있는 등 조작도 의심스럽다. B정형외과는 서양 사망에 대한 의료 과실을 인정하지 않았다. 진심어린 사과도 없었다.
 
그러던 중 지난달 9일 충격적인 소식을 접했다. B정형외과 마취전문의 김모(49)씨가 유서를 남긴 채 자살한 것이었다. 경찰은 김씨가 컴퓨터를 이용해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유서 추정 문서를 확보했으나 자세한 내용은 알리지 않고 있다. 김씨는 서양 사고와 관련해 경찰 조사를 앞두고 있었다. 이후 서양의 유가족은 피켓시위를 중단했다.
 
코피·고열에도 수술 강행
깨어나지 않는데 5시간 방치
조무사가 마취약 투여 의혹
 
지난 1일 기자는 천안 B정형외과를 찾았다. 서양 수술과 관련된 문제를 언급하자 B정형외과 수술실장 임모씨는 “절차상 문제가 없었다”는 짧은 대답만 건넸다. 논란이 지속됐지만 병원은 평온했다. 주차장엔 차량이 가득했다. 사고와 무관하게 영업은 버젓이 이뤄지고 있었다. 그러나 B정형외과는 마취제 유효기간 문제로 보건소 차원의 행정처분을 받아 8월3일까지 마취와 관련된 업무가 정지될 예정이다. 때문에 병원 측이 절차상 문제가 없었다고 말 하는 건 어불성설.
 
<일요시사> 취재에 앞서 한 방송사가 이 사건을 취재했다. 그러나 병원 측은 직접적인 취재를 거부하고 변호사가 대신 취재에 응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고는 서면으로 인터뷰를 하겠다며 태도를 바꿨다. 이후 방송금지 가처분 신청을 내면서 지난달 마지막 주에 방송될 예정이었던 방송분이 보류상태로 남아있다고 전해졌다.
 
서양의 아버지 서동균(36)씨는 <일요시사>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아이가 수술 전 코피도 났고 고열도 났다. 근데 간호 차트를 확인해보니 아무런 기재가 없었다. 한마디로 개판이었다”고 울분을 토했다. 서씨는 “사고 후 불과 며칠뒤인 6월4일부터 버젓이 영업을 하고 있었다. 그래서 다음 날인 6월5일 쫓아가서 따지려고 수차례 병원을 갔으나, 병원장은 진료실에서 문을 잠그고 나오지 않았다”며 “공식적인 사과 한마디도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후 서씨 가족들은 처참한 하루하루를 보냈다. 서씨 부부는 서양이 숨진 이후 건강이 악화돼 정신과 치료를 받았다. 서씨는 “사고 이후 단 하루도 악몽을 안 꾼 날이 없고, 단 하루도 잠을 편히 자본 적이 없다”고 토로했다. 서씨의 아내는 아이의 모습이 보이고 환청이 들린다며 매일 괴로워했다. 이를 지겨보던 서씨는 결국 아내와 장모 그리고 어린 두 딸을 서양의 흔적이 덜한 미국으로 보냈다.
 
혼자 남은 서씨는 지금 외로운 싸움을 이어 가고 있다. 잘못된 것을 바로잡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한편, 최근 B정형외과에서 혹을 제거하려던 한 환자가 멀쩡한 부위에 부분마취를 잘못 받았다는 소식도 전해졌다.

사과 없이 뻔뻔
 
기자는 서양이 다니던 W초등학교를 찾았다. 마침 하교 시간이었다. 몇몇 학부모들은 실내화 주머니를 들고 나오는 아이들의 손을 잡고 교문 밖으로 나갔다. 운동장과 놀이터에는 인적이 없었다. 서양이 매달려 놀던 구름사다리는 철거된 상태였다. 놀이터엔 놀이 기구가 없었다. 놀이 ‘터’만 덩그러니 남아 있었을 뿐. W초등학교 관계자는 “서양 사고 이후 안전 문제를 이유로 철거했다”고 말했다.
 
천안=이광호 기자 <khlee@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간호사 vs 간호조무사] 비교해 보니…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간한 ‘2013 노인장기요양보험통계연보’에 따르면 2013년말 기준 65세 이상 노인 619만명 중 11.1%인 68만6000명이 장기요양신청을 했고, 이중 54만여명의 판정을 진행해 37만8000명이 등급내 인정(1∼3등급)을 받았다.
 
간호조무사는 7552명으로 전년대비 15.1% 증가하는 등 전체적으로는 인력이 늘어나는 추세다. 반면 간호사는 2009년부터 매년 종사인력이 줄어들고 있다. <광>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