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교회 ‘온라인 헌금’ 실태

한국뉴스


 

대형교회 ‘온라인 헌금’ 실태

일요시사 0 1141 0 0

“안 와도 돼…돈만 부치세요”

[일요시사 사회팀] 이광호 기자 = 대형교회를 중심으로 ‘온라인헌금’이 확산되고 있다. 주정헌금, 십일조, 감사헌금, 선교헌금, 장학헌금, 구제헌금 등을 계좌로 이체하는 이들이 늘고 있는 것이다. 시대변화에 따른 헌금방식의 변화로 보는 시각도 있지만, 헌금 행위의 진정성을 의심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온라인헌금 실태의 문제점을 짚어봤다.

교회에 출석하는 성도라면 누구나 예배에 앞서 자신의 이름이 적힌 헌금봉투에 지폐를 담는다. 일반적인 교회의 풍경이다. 그런데 대형교회를 중심으로 헌금 계좌이체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헌금을 계좌로 송금하는 게 편리하다는 것이다. 헌금도 예배의 일부라고 생각하는 이들에게는 불편한 현실이다.

편리해서?

경기도의 한 교회에 출석하는 직장인 신모(27)씨는 모태신앙 기독교인으로 주일 출석은 물론 철야 예배도 빠지지 않는 신앙인이었다. 헌금이 신앙의 척도는 아니지만 신씨는 교회활동을 열심히 하는 만큼 헌금도 착실하게 잘 냈다. 그런데 얼마 전, 교회가 ‘온라인헌금’시스템을 도입한 사실을 알게 됐다. 처음에는 낯설었지만 편리성 측면에서는 그리 나쁘지 않다고 생각했다. 이후 신씨는 다른 신도들처럼 현금이 없을 때 계좌이체를 이용했다.

하지만 신씨는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헌금봉투를 집어 들었다. 온라인헌금을 자신의 편리함에 맞추는 몇몇 행태 때문이다. 교회는 출석하지 않고 집에서 온라인헌금을 하면서 온라인 설교를 보는 사람들이 있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은 것이다.

사실 대형교회에서는 온라인헌금이 상황의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헌금의 한 형태로 자리 잡은지 오래다. 지금은 대형교회 외에도 많은 교회들이 교회 주보나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헌금을 안내하고 있다. 당연히 예금주는 교회다.

일례로 서울 모 대형교회의 주보 하단에는 교회에서 헌금할 수 없는 외국 성도, 출장 중인 성도, 기타 개인적인 사정이 있는 성도들을 위해서 온라인헌금이 마련돼 있다고 설명돼 있다. 인터넷 뱅킹과 무통장입금을 이용할 때에는 이름과 생년월일을 적고, 폰뱅킹 시에는 이름만 적어서 송금해야 한다. 자신의 입금내역은 이메일 또는 전화로 알려야 하며, 성명, 생년월일, 헌금종류, 헌금액, 헌금일자 등을 기입해야한다. 보통 예금주는 교회명과 동일하고 계좌는 헌금 종류에 따라 다르다.

다른 교회도 마찬가지다. 전국의 수많은 교회가 이런 식으로 온라인헌금을 온·오프라인으로 알리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헌금에 대한 입장은 성도마다 엇갈린다. 온라인헌금을 비판하는 이들은 교회가 기업적 마인드로 신도들을 하나의 고객으로, 오로지 돈으로만 생각한다고 말한다. 본질에 어긋나는 행위라는 것이다. 반면 온라인헌금을 옹호하는 이들은 편리성과 함께 교회재정의 투명성을 강조하며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한다.

교회마다 주일 계좌이체 유행처럼 번져
‘예금주:○○교회’ 주보·홈페이지 안내

김애희 교회개혁실천연대 사무국장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성도들의 헌금을 받아내려고 하는 행태는 자명하다”며 “성도들을 관리 감독하는, 발언권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다분하다”고 말했다. 이어 “방식의 문제라기보다는 교회가 성도들을 영적 대상이 아닌 자금 확보를 위한 대상으로 여기는 게 문제”라면서 “헌금을 내지 않으면 교인이 아닌 것처럼 취급되는 관행들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일반적인 헌금의 종류는 이렇다. ▲주일헌금(주일마다 내는 헌금) ▲십일조헌금(소득의 십분의 일 또는 그 이상에 해당하는 헌금) ▲감사헌금(개인적인 감사의 마음을 특별히 표현하는 헌금) ▲선교헌금(선교지, 선교사, 후원대상에게 나누는 헌금) ▲지정헌금(교회공동체 내에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전하는 헌금) 등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헌금이 있다. 특히 ‘임직헌금’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다. 임직헌금은 성도가 집사, 권사, 장로 등의 직분을 받을 때 내는 돈이다. 보통 직분을 받기 직전에 500만원에서 1000만원가량의 돈을 교회에 헌납한다. 금액은 교회마다 차이가 있다. 문제는 임직헌금이 특별계정으로 관리돼 담임목사의 비자금으로 둔갑하는 경우도 있다는 사실이다. 규모가 큰 교회일수록 심각하다고 전해진다.

이 같은 임직헌금에 피해를 입은 사례도 있다. 서울의 한 교회에서 수십 년 동안 신앙생활을 해온 A씨는 지난해 교회를 떠났다. 담임목사가 교회 운영을 이유로 임직자들에게 헌금을 할당하면서 불신이 들어서였다. 담임목사는 생활고에 헌금을 내지 못하는 임직자들에게 교인 중 한 사람을 내세워 이자를 받고 헌금을 대출해주도록 하기도 했다. 당시 김씨는 3000만원에 가까운 빚을 졌다. 이 같은 사례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교회의 ‘헌금공개’도 문제로 지적된다. 공개행위 자체를 비판할 수는 없지만, 목사가 헌금명단과 금액을 공개하는 일이 자칫 성도 간 위화감을 조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헌금의 크기에 따라 발언권 정도가 달라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지금은 십일조를 내는 교인과 그렇지 않은 교인을 구분하는 등 은연중에 헌금을 강요하는 일이 빈번하다. 초대교회에서의 헌금은 교회공동체 내에서 빈자들을 돕기 위한 연보의 개념이었지만 현실은 본질과 멀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목사 ‘특혜 시비’도 꾸준히 오르내린다. 일부 교회에서는 담임목사에게 넓은 집과 자가용 승용차 그리고 자녀들의 해외유학비까지 제공한다. ‘교회 세습’도 문제다. 최소 100곳에 가까운 교회에서 세습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소한의 적합한 절차도 밟지 않은, 심한 경우에는 신학을 전공하지 않은 목사도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북한의 3대 세습은 비판하면서 자신들의 모습은 부끄러워하지 않는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고 있다.

헌금 본질은…

그래서인지 요즘 신학도들 사이에서 우스갯소리로 ‘성골 신학생’ ‘진골 신학생’ ‘6두품 신학생’이라는 말이 나온다. 교회 세습이 가능한 ‘낙하산 (예비)목사’들은 ‘취업걱정’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성도들의 교회 이탈율은 점점 늘어나는 반면 목회자는 꾸준히 배출되고 있는 현실이다.

<khlee@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장로들이 교회 못 떠나는 이유
 
신도시가 완성되면 새 교회도 잇따라 들어선다. 건축경기에 편승해 비교적 큰 규모로 지어지고 있다. 그런데 건축을 하다보면 예상보다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 교회들은 비용이 부족해도 기대감을 품고 과감하게 투자한다. 문제는 건축헌금이 예상보다 저조할 때 나타난다. 헌금이 기대에 못 미치면 자연스레 빚이 늘어나는 것이다.
 
직분이 없는 평신도는 교회를 옮기면 그만이지만 비교적 직분이 높은 성도들은 연대보증인인 경우가 많아 발만 동동 구르게 된다. 지금 신도시에 있는 몇몇 교회들은 텅 비어 있다. 경매처분 되는 등 도산 위기에 처해진 것이다. <광>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