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나경원 신 밀월시대

한국뉴스


 

<정가 덮친 7·30쓰나미> 김무성-나경원 신 밀월시대

일요시사 0 2154 0 0













비박 남녀의 절묘한 결합…"달리는 말(김무성)에 날개(나경원) 달았다"

[일요시사=정치팀] 허주렬 기자 = 전국 15개 지역에서 열린 역대 최대급 7·30재보선이 새누리당의 압승으로 막을 내렸다. 당초 불리할 것이라는 예상을 깨고 11대4로 대승을 거둔 것이다. 이로써 7·14전당대회를 통해 갓 출범한 '김무성호'는 순항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비주류 친이(친이명박)계의 대표적 여성정치인 나경원 의원이 최대격전지로 분류됐던 서울 동작을에서 살아 돌아온 것도 비주류 비박(비박근혜)의 좌장격인 김무성 대표에게는 상당한 호재다. 일각에서는 비주류를 대표하는 남녀 정치인인 김무성-나경원이 새로운 '밀월시대'를 열며 친박(친박근혜) 중심 당 재편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새누리당의 압승으로 끝난 7·30재보선으로 김무성 대표가 비주류 대표라는 부담을 떨쳐내고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할 기반을 마련했다. 당초 '4석도 얻기 힘들다'는 암울한 전망을 깨고 당대표 취임 보름 만에 열린 재보선에서 11석을 얻는 대승을 거둔 것은 김 대표의 공이 크다는 것이 정치권의 대체적 평가다. 특히 나경원 의원의 당선은 김 대표의 어깨에 날개를 달아준 격이라는 분석이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나경원 '화려한 재기'
김무성 '날개 단 격'

나 의원은 이번 재보선에서 가장 큰 관심을 모았던 서울 동작을에서 새정치민주연합 기동민 후보와 단일화를 이룬 정의당 노회찬 후보를 접전 끝에 물리치고 당선됐다. 표차가 929표(1.21%p)에 불과할 정도로 가까스로 승리했지만, 정치인은 선거로 말하고 선거에는 승자와 패자만 있을 뿐이다.

승자가 된 나 의원은 지난 2011년 10·26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박원순 현 서울시장에게 패배한 이후 약 3년간의 정치적 공백기를 거쳐 3선의원으로 제도권 정치권에 화려하게 복귀했다. 새누리당 현역 여성의원 중 3선 이상 중진급 의원은 나 의원이 유일하다.

앞서 나 의원은 17~18대 국회에서 한나라당(현 새누리당) 대변인과 최고위원을 지냈고, 한나라당 후보로 서울시장 보궐선거에도 출마했다. 이번 재보선 승리로 한층 체급을 올린 그는 높은 대중적 인지도와 그간의 정치적 경험을 바탕으로 박근혜 대통령의 뒤를 잇는 차세대 여성 지도자로서의 입지를 굳혔다는 평가가 나온다. 일부에서는 차기 대선주자급 반열에 오르는 것 아니냐는 섣부른 관측까지 나온다.

김무성, 당 장악·차기 대권행보 탄력
나경원, 여성 현역 최다선 '화려한 복귀'

정치권에서는 7·14전당대회에서 비주류의 구심점 역할을 해온 김 대표가 새누리당의 새 수장으로 선출되는 등 친박에서 비주류로 당권 이동이 이뤄진 가운데 친이계의 대표적 여성정치인인 나 의원이 국회에 입성하며 당의 친박 색채가 더욱 옅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특히 전당대회 압승에 이어 재보선까지 대승을 거두며 입지가 탄탄해진 김 대표와 나 의원이 손을 잡을 경우 친박계의 입지는 더욱 위축될 수밖에 없다.

이와 관련해 김 대표는 동작을 야권단일화 이후 선거 막판에 사흘 연속 이 지역을 방문해 "나 후보를 박 대통령의 뒤를 잇는 여성지도자로 키워야 한다"며 힘을 실어줬다. 3년여 만에 당에 복귀하는 나 의원도 김 대표와 손잡을 경우 단기간에 당내 기반을 다지고 정치적 위상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나 의원은 새로 출범한 김무성 대표 체제 지도부와 원만한 관계를 이어갈 것"이라며 "19대 국회의원 임기가 2년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차기 총선 공천권을 행사할 김 대표와 손을 잡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대중적 인기와 정치적 상징성까지 두루 갖춘 이들의 결합은 당내 역학구도 변화의 최대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비주류 남녀 대표주자 결합…최상의 윈윈 전략?
체급 키운 '김-나' 친박 주도 당 재편 나설 듯

김 대표도 재보선 지원유세 과정에서 독자적 정치행보를 할 가능성을 종종 내비쳤다. 그는 지난달 24일 전라남도 나주시 삼도동 목사고을시장에서 열린 김종우 후보 지원연설에서는 "그동안 새누리당은 집권여당으로서 정부의 잘못을 자꾸 보호하고 감추려고 했는데 이제 새누리당 지도부는 그러지 않겠다"며 "국민 여러분 앞에 잘못된 것은 확실히 명명백백하게 밝히고 사과할 것은 빨리 사과드리고 책임자는 엄벌에 처할 것을 대통령께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세월호 사고와 관련해 정부의 무능을 감싸기보다는 앞장서서 책임자 엄벌을 요구하겠다며 현 정권과 선긋기를 할 수도 있다는 의사를 내비친 것이다.

게다가 김 대표는 앞선 선거까지 새누리당이 '박근혜 마케팅'에만 의존했던 선거전략에서 벗어나 '혁신' '경제살리기' '지역일꾼론' 등을 전면에 내세우면서도 대승을 이끌어내 김무성 스타일 정치도 통한다는 것을 증명해냈다.

이와 관련해 친박계 일각에서는 김무성 체제가 힘을 받을수록 2인자를 두지 않는 박 대통령 스타일상 당·청 관계는 더욱 나빠질 것이라는 우려 섞인 전망도 나온다.

김무성-이정현
관계설정 주목

한편 김 대표와 친박 핵심인사로 '호남의 기적'을 일군 이정현 의원과의 관계설정도 주목된다. '박근혜의 입' '박근혜의 복심' 등으로 통하는 이 의원은 당직자 출신으로 김 대표와도 인연이 깊은 것으로 알려진다. 즉, 박 대통령과 수평적이면서도 원만한 관계를 이어나가야 하는 과제를 가진 김 대표에게 이 의원은 매개체가 될 수도 있다는 얘기다.

특히 차기 대권을 꿈꾸는 김 대표 입장에서 보수정당 후보로는 26년 만에 처음으로 호남에 자리를 잡은 이 의원의 확장성은 큰 힘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김 대표는 이 의원과도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자신의 영역을 넓혀갈 것으로 보인다.

 

<carpediem@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