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는통계] 새해 가장 듣고 싶은 소식은?

한국뉴스


 

[재미있는통계] 새해 가장 듣고 싶은 소식은?

일요시사 0 986 0 0

첫째도 둘째도 경제 "경기 살아야"

[일요시사=사회팀] 2013년 흑사의 해, 계사년을 맞이해 직장인들이 새해 소망을 밝혔다. 내년에도 경기 악화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직장인들의 공통 소망은 한 가지로 축소됐다. 직장인들이 꼽은 새해에 가장 듣고 싶은 소식을 들여다봤다.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2012년이 지나가고 흑사띠의 해 2013년이 밝았다. 그러나 좀처럼 풀리지 않는 경기상황과 물가상승 때문에 서민들은 이루 말할 수 없는 고충에 시달리고 있다. 지난달 대선을 치르고 새 대통령이 당선된 후 90% 이상의 국민은 경제난 회복에 목소리를 높였다. 직장인들도 이와 다르지 않게 경기회복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경기회복은 공통바람

잡코리아가 남녀직장인 1009명을 대상으로 ‘새해 듣고 싶은 소식’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경기회복’이 응답률 74.5%로 압도적인 지지율을 차지했다. 이는 세계적 경제난에 제일 손해를 많이 본 일반 직장인과 중산층 몰락에 따른 당연한 결과였다.

직장인 고모(38)씨는 “대선 후 경기가 나아질까 기대했지만 물가상승은 좀처럼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대선 직후 밀가루와 소주 값이 인상되는 등 대기업만 배불리고 서민들은 등골 빠지는 현상이 이어지고 있어 심히 염려 된다”고 하소연했다.

기혼 직장인 여성 안모(31)씨는 “아이가 있어 일하지 않을 수 없는 처지인데 연봉은 매해 같은 수를 찍고 경기는 계속 불황으로 이어지니 아이 키우는 엄마로서 살기가 너무 힘들다”며 “호황은 아니더라도 불황은 더 이상 지속되지 않았으면 한다. 새 대통령이 이것만은 꼭 지켜줬으면 좋겠다”고 바람을 내비쳤다.

이어 ‘연봉인상’이 53.0%, ‘이직 성공 소식’이 49.9%로 베스트 2, 3위에 올랐다. 이어 ‘대한민국 문화산업 해외 대거 진출(22.7%)’, ‘한반도 평화(17.6%)’, ‘정치권 여야화합(16.6%)’, ‘불우이웃 돕기 기부자 급증(14.2%)’, ‘기타(0.7%)’ 순이었다.

이와 함께 진행된 ‘내년에 잘됐으면 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역시 ‘경제’가 전체 응답률 82.4%를 차지하며 온 국민의 염원으로 단정 지어졌다. 다음으로는 ‘사회(31.0%)’, ‘정치(27.7%)’, ‘교육(8.0%)’, ‘문화(7.0%)’, ‘기타(0.2%)’ 순이었다.

신년계획 중 가장 이루고 싶은 1순위 계획은 조사결과 ‘승진과 이직’이 전체 응답률 40.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승진과 이직은 직장인들이 꼽은 설문조사에서 매해 상위권을 웃돌았던 부분이다. 아무리 조건이 좋은 곳이라고 해도 소속돼있는 회사에서의 고충은 개인마다 있기 마련이다. 승진과 이직에 대한 중점적인 원인에는 일한만큼 보상받기 바라는 보상심리와 반복된 일상에 대한 매너리즘 등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대적인 취업난에도 이직은 결코 빠질 수 없는 새해 목표 중 하나로 부상한 것이다.

다음으로 ‘다이어트 및 건강관리(34.8%)’, ‘외국어 실력향상(30.7%)’, ‘연애결혼(25.2%)’, ‘자격증 취득(22.5%)’, ‘저축(22.4%)’, ‘취미생활·운동·여행·음악 등(21.4%)’, ‘내 집 마련(13.2%)’, ‘절주·금연(7.7%)’, ‘임신출산(3.1%)’, ‘기타(0.5%)’ 순이었다.

직장인 2013년 소망 경기회복·연봉인상 압도적
경제난 관측에 “자기계발보다 무조건 근검절약”

내년 경기가 더욱 어려울 것이란 전망 속에 직장인들의 대처방안을 묻는 설문에서는 이례적으로 ‘무조건 근검절약 한다’가 전체 29.8% 비율로 가장 높게 조사됐다.

대기업에 종사하는 30대 중반 윤모(36)씨는 “요즘 회사 동료들과 술 한 잔 마시기도 부담이 된다. 웬만하면 일찍 귀가해서 가족들과 조촐한 저녁식사와 반주로 대신 한다”며 “여유가 있다면 남들처럼 여가도 즐기고 자기계발에 힘쓰고 싶지만 그럴만한 여유가 없는 게 사실이다. 무조건 절약하고 덜 쓰는 게 경제난을 헤쳐 나가는 길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자기계발에 더욱 힘을 쏟는다(27.6%)’가 2위를, ‘어떻게 해서든지 현 직장에 붙어 있는다(23.9%)’ ‘이직 한다(18.3%)’ ‘기타(0.4%)’ 등이 차례를 이었다.

김화수 잡코리아 사장은 “누구보다 빠르게 경기악화를 체감하는 사람들이 직장인”이라며 “기업과 직장인 모두 경기악화의 불안감을 떨쳐 낼 수 있도록 빠른 경기회복을 희망해 본다”고 말했다.

부가 설문으로는 새해 목표 달성률에 관한 것이다. 취업포털 커리어가 올해 목표를 세운 542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 새해 목표 달성률은 평균 32.3%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1∼20%’가 26.6%로 가장 많았으며 ‘41∼60%’ 25.8%, ‘21∼40%’ 23.4%가 뒤를 이었다. 새해 목표를 실천하지 못한 이유는 ‘게으름과 나태함’이 55.2%로 1위를 차지했다.

20대 직장인 이모(28)씨는 지난해 목표달성 실패에 대해 “외국어 공부, 해외연수 등 다양한 계획을 세웠지만 게으름 탓에 어느 것 하나 제대로 이루지 못한 점은 정말 후회된다”며 “이번에는 신년을 맞이해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서 일과 공부, 두 마리 토끼를 잡아볼 생각”이라고 결심했다.

이어 ‘시간부족(41.3%)’, ‘목표의식 부재(35.4%)’, ‘과도한 업무량(34.9%)’, ‘경제적 어려움(21.4%)’, ‘건강상태(10.1%)’, ‘지인들의 유혹(6.3%)’, ‘정보와 인맥부족(3.5%)’ 순이었다.

여유 찾고 삶 즐겨야

새해 소망에 대한 설문결과를 정리해보면 직장인뿐 아니라 모든 국민의 염원은 경제난을 극복하는 것이었다. 어쩌면 먹고 살기 힘든 때에 자기계발과 여가생활 등은 일반 서민들에겐 사치로 다가올 수 있다. 그러나 돈을 벌기 위해 혹은 먹고 살기 위해서 여가와 건강을 포기하고 푸념만 하는 것은 삶을 낭비하는 것과 같다. 앞만 보고 달리는 바쁜 사회 속에서 가끔 자신을 돌아보며 여유를 찾고 삶을 즐기려는 태도가 절실한 때이다. 

김지선 기자 <jisun86@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