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별통계] 미혼남녀 연애 횟수는?

한국뉴스


 

[별별통계] 미혼남녀 연애 횟수는?

일요시사 0 1265 0 0

사랑도 빈익빈 부익부…수입 많으면 애인도 많다

[일요시사=사회팀] 초등학생도 연애를 하는 시대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남의시선보다 자신의 감정을 중요시하는 사람이 증가하면서 연애의 폭은 더욱 다양하고 넓어졌다. 반면 30세가 넘도록 연애 한번 못해본 모태솔로족도 있다. 대한민국 미혼남녀의 평균 연애횟수는 과연 얼마나 될까.

잘생기거나 예쁘지 않아도 카사노바 못지않게 연애 빈도수가 많고 잘 사귀는 사람이 있는 반면, 아무리 외모가 출중해도 제대로 된 연애 한번 못해본 사람도 있다. 이처럼 쉬울 것 같으면서도 풀리지 않는 수학공식처럼 어려운 게 연애다. 심지어 젊은층에서는 “있는 사람은 계속 있고 없는 사람은 끝까지 없다”라는 우스갯소리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왜 사람마다 연애횟수에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일까. 그 이유를 알아봤다.

연수입=연애 횟수

최근 대한민국 미혼남녀의 최대 궁금증인 이색연애 설문조사가 실시돼 많은 이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과연 나의 연애 경험은 ‘미달’일까 ‘평균’일까.

국내 대표 결혼정보회사 듀오와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최인철 교수가 공동 운영하는 듀오휴먼라이프연구소에서 ‘2012년 결혼 리서치’ 조사결과를 토대로 ‘대한민국 2030 미혼남녀 연애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온솔커뮤니케이션과 함께 전국의 20세 이상 39세 이하 미혼남녀 1000명(남성 509명, 여성 491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 분석 결과다.

전국 미혼남녀의 이성 교제 횟수를 조사한 결과 남성 ‘4.7회’, 여성 ‘4.3회’로 남녀평균 약 5명 남짓의 이성과 교제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성 교제 횟수에 대해 남녀 모두 ‘1∼3회’라는 답변이 각각 남성 44.2%, 여성 51.7%로 집계돼 평균 47.9%의 비율을 차지하며 가장 많은 횟수를 기록했다. 반면 ‘교제 경험이 없다’는 답변도 13.3%(남 13.4%, 여 13.2%)로 10명 중 1명은 연애 경험이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10회 이상’이라는 답변도 8.3%(남 9.4%, 여 7.1%)로 예상보다 높게 나타나 앞서 말했듯 ‘있는 사람은 계속 있다’는 설에 힘을 싣는 결과로 이어졌다.

직장인 여성 임모(27)씨는 “현재 기혼녀인 친한 친구는 결혼 전 손가락, 발가락을 다 합쳐도 모자랄 만큼 수많은 남성들과 교제한 바람둥이였다. 심한 남성편력에도 불구하고 그 친구는 또래 친구들보다 시집을 제일 잘 갔다”며 “솔직히 그 친구가 그렇게 예쁘거나 몸매가 좋은 편은 아니었지만 연애를 잘 하는 사람은 뭔가 다른 매력이 있는 것 같다. 그래서 시집도 잘 갈 수 있었던 게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남녀 연애 수는 특히 응답자의 소득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는데, 연소득 1000만원 미만은 ‘3.2회’, 1000만∼2000만원은 ‘4.3회’, 2000만∼3000만원은 ‘4.6회’, 3000만∼4000만원은 ‘4.9회’, 4000만원 이상은 ‘5.2회’로 나타나 연소득이 높을수록 이성 교제 경험도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현재 교제 여부를 묻자, 응답자의 과반인 554명, 즉 55.4%가 교제 중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60.3%(334명)는 결혼을 전제로 교제 중이라고 답했다.

30대 회사원 강모(32)씨는 “솔직히 말해 돈 없으면 아무것도 못하는 세상 아닌가. 연애도 마찬가지다. 돈 없으면 여자 만나기 힘들다는 것은 대한민국 남자라면 다 아는 사실이다. 과거에 연애할 때 자금사정 안 좋은 날에는 여자친구한테 몸이 아파서 못 나가겠다고 거짓말 한 적도 있다”며 “연봉이 높거나 집안 자체에 돈이 많은 사람은 여자를 데리고 좋은 차로 드라이브도 하고, 고급 레스토랑에도 아무렇지 않게 데리고 갈 수 있으니 어느 여자가 싫다고 거절하겠나”고 토로했다. 

2030 결혼 전 이성교제 남 4.7회 여 4.3회  
보통 1∼3회…10명 중 1명 연애 경험 전무

미혼남녀들이 갖는 혼전 성관계에 대한 설문도 함께 실시됐다. 대한민국 남성은 혼전 성관계에 ‘긍정적(52.6%)’, 여성은 ‘보통(39.1%)’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혼전 성관계시기에 대해서는 남성의 경우 ‘1개월 이내도 무방하다’는 의견이 ‘34.2%(174명)’로 가장 많았지만 여성은 ‘결혼 결심 이후(교제 시간과 무관)’라는 응답이 20.2%(99명)로 가장 높아 남녀 간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이어 미혼남녀에게 ‘연애, 결혼, 출산 중 가장 크게 기대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묻자 남녀 모두 ‘결혼(남 47.2%, 여 47.7%)’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고, 그 이유에 대해서는 ‘심리적으로 안정적일 것 같아서(47.6%)’가 1위의 기염을 토했다. 2위는 ‘막연한 기대감 때문에(19.8%)’ ‘경제적으로 안정될 것 같아서’가 13.3%로 3위에 올랐다.

‘연애, 결혼, 출산 중 가장 어렵게 느껴지는 것’에 대해 남성은 ‘결혼(51.9%)’, 여성은 ‘출산(45.8%)’이라고 답해 남녀 차이를 보였다. 어렵다고 느끼는 이유에 대해 남성은 ‘경제적 부담 때문에(31.8%)’ ‘책임감 때문에(29.9%)’가 상위권에 들었고, 여성은 ‘책임감 때문에(28.1%)’ ‘심리적 준비가 덜 돼서(24.8%)’라고 차례로 답했다.

김승호 듀오 홍보팀장은 “인연을 만나는 데 있어 중요한 것은 연애 경험의 유무가 아닌 상대를 이해하고 포용할 수 있는 마음의 자세다. 솔로탈출을 꿈꾼다면 좋은 인연을 기다리기만 할 것이 아니라 본인도 누군가의 이상형이 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해하고 포용해야

‘연애가 꼭 필요할까’라고 묻는 사람이 있다. 어쩌면 연애는 할 땐 귀찮고 부담스러운 일이면서도 안 할 때는 사막에서 오아시스 찾듯 갈구하고픈 요소가 되기도 한다. ‘연애경험 많은 사람이 결혼도 잘 한다’는 말도 있지만, 무차별적으로 아무나 쉽게 만나고 헤어지는 것은 되레 서로에게 상처만 남기고 역효과만 불러올 뿐이다.
진정한 연애는 돈에 따라, 횟수에 따라 판가름되는 것이 아닌 가치관을 공유하고 조건 없이 상대방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앞서 언급했듯 좋은 인연을 이어가려면 스스로 최선의 노력을 다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김지선 기자 <jisun86@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