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흥가 명품녀 논란

한국뉴스


 

<와글와글NET세상> 유흥가 명품녀 논란

일요시사 0 1030 0 0
▲ 한국여성 비하 논란을 일으킨 이완 작가의 '한국여자' 사진 <유튜브 화면 캡처>

명품백 사기 위해 룸살롱 접대부로?

[일요시사 사회팀] 박민우 기자 = 이슈가 되고 있는 사안을 짚어봅니다. 최근 세간의 화제가 되는, 그중에서도 네티즌들이 ‘와글와글’하는 흥미로운 얘깃거리를 꺼냅니다. 이번주는 유흥가 명품녀 논란입니다.

고가 수입브랜드 디올의 전시회를 두고 이른바 ‘유흥가 명품녀’사진이 도마에 올랐다. 이 사진으로 한국 여성을 비하했다는 논란에 시끄러운 상태다.

작가, 업체도 문제

디올은 청담동 플래그십 매장 ‘하우스 오브 디올’에서 올해 레이디 디올의 핸드백을 다양한 작품으로 표현한 ‘레이디 디올 애즈 신 바이-서울’(Lady Dior as Seen by-Seoul) 전시회를 열었다. 지난 2월 개막한 이 전시는 디올이 세계적으로 각광받는 아티스트들에게 의뢰해 제작한 100여점의 ‘레이디 디올’작품 중 일부를 선보이는 순회전이다.

서울 전시에는 이완, 최정화, 황란 등 한국 작가들의 작품이 추가됐다. 이중 문제가 된 작품은 이완 작가의 ‘한국여자’. 광주 충장로에서 여대생을 촬영한 뒤 불 켜진 간판을 합성한 사진은 어깨가 드러나는 검은 원피스를 입고 하이힐을 신은 여성이 레이디 디올 백을 들고 유흥가 앞에 서 있는 모습을 표현했다.

배경엔 ‘룸소주방’ ‘룸비 무료’ ‘파티타운’등의 글귀를 담은 유흥주점 간판이 보인다. 마치 유흥가에서 일하는 여성이 명품백으로 치장한 듯한 인상을 준다. 또 명품백을 사기 위해 유흥업소에 종사하는 여자를 연상하게 한다.


 


▲ 이완 작가

작가는 “치열하게 살아가는 한국 젊은 세대의 초상을 담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디올과의 인터뷰에서는 “사진이 가진 상징적 의미를 드러내기 위해 합성 기법을 사용했다”면서 “크리스찬 디올의 제품은 효율성 위주의 자본주의적 생산방식과는 다른데 이런 것들이 어떤 가치를 지니고 있을지 그리고 한국에서 어떤 의미로 소비되고 있는지에 대해 생각했다”고 말했다.

인터넷에선 이 사진이 한국 여성을 ‘성을 팔아 명품 핸드백을 구입하는 여성’으로 비하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흘러나왔다.

유흥업소 성 팔아 명품 핸드백 구입?
디올 사진 두고 한국여성 비하 지적

‘이완이라는 사진작가가 보는 한국 여인상? 다 술집여자 수준으로 보이는 건가’<goch****> ‘사진작가도 명료하게 해명을 못하네. 번드르르한 단어만 늘어놓고 빙빙 돌리고 있네’<whdk****> ‘어쩌면 작가가 엄청 머리 쓴 걸지도 모른다. 이렇게 이슈화되길 기대하면서…그랬다면 소름’<rkaw****>

다른 네티즌들은 이런 작품을 내놓은 작가뿐 아니라 이를 전시하기로 한 디올의 결정에도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건 작가의 잘못이 아니라 이걸 비즈니스화 하려고 생각한 디올 때문인 거 같다’<june****>

‘디올은 유흥가 여자가 가지고 다니는 명품이라는 콘셉트? 스스로 디스할 줄은…’<sami****> ‘이미 디올의 이미지에 흠집이 생겼다. 왠지 우리나라에서 디올을 든 여자를 보면 저 사진의 이미지를 떠올릴 것 같다’<zoo*****> ‘자기들 브랜드 가치를 스스로 떨어뜨리고 있다’<vinc****>


 


일부 맞다는 반응도 엿보인다. ‘현실 반영이 너무 잘 된 작품이 아닌가’<good***> ‘명품 때문에 몸 파는 걸 대수롭게 여기지 않는 한국 여자들 수준을 제대로 봤다’<9710****> ‘작품 좋다. 김치녀들의 모습을 잘 담았고 잘 표현했다. 잘 꼬집었다’<sunw****> ‘분노를 느끼면서 반성도 같이 해야 한다’<settle*****>

디올은 논란이 일자 해당 사진을 슬그머니 내렸다. 전시를 중단한 것. 그러면서 사과했다.

크리스챤 디올은 지난 12일 보도자료를 통해 “최근 ‘레이디 디올 애즈 신 바이’(Lady Dior as Seen by)에 전시됐던 이완 작가의 작품에 대한 논란으로 본의 아니게 심려를 끼쳐드린 점 깊이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왜? 맞잖아!”

이어 “디올은 여성의 진취성을 강조하고 자존감을 북돋우며 여성에 대한 존경과 권위신장을 위한 철학을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해왔다”며 “예술과 문화를 향유하며 여성의 아름다움과 행복을 지원하는 것이 크리스챤 디올이 추구하는 최고의 가치”라고 덧붙였다. 

<pmw@ilyosisa.co.kr>

 

[이완 작가는?]

올해 37세(1979년생)인 이완 작가는 사진보다 조각가, 설치미술가로 더 유명하다. 2004년 동국대 조소과를 졸업한 이후 국내외 수차례의 개인전과 다수의 단체전을 통해 활발히 활동 중이다.

전시회는 ▲2005년 Riding art (갤러리쌈지, 서울) ▲2008년 A Forbidden Land (미로스페이스, 서울) ▲2009년 삶은 그저 따라 울려 퍼지는 핏빛 물결 (토탈미술관, 서울) ▲2013년 아아, 순정 (대구미술관, 대구) ▲2014년 made in (두산갤러리, 뉴욕) ▲2015년 울고 간 새와 울러 올 새의 적막 사이에서 (313 아트 프로젝트, 서울) 등을 가졌다.

작품으로는 ▲2008년 신의 은총 ▲2008년 Kiss Lonely Good Bye ▲2009년 삶은 그저 따라 울려 퍼지는 핏빛 물결 ▲2010년 다음 생에 꽃이 되어 그대 곁에 등이 있다.

이 작가는 삼성미술관 리움이 2014년 유망한 젊은 작가를 발굴하기 위해 제정한 아트 스펙트럼 작가상을 처음 수상해 이름을 알렸다. 당시 당근 주스에 넣을 설탕 한 숟가락을 만들기 위해 대만 사탕수수밭에서 직접 설탕을 만든 과정, 금 한 조각을 얻기 위해 미얀마 금광에서 작업한 모습을 담은 비디오 작품 ‘메이드 인 이완’연작을 통해 개인의 삶이 세계와 어떻게 관계를 맺고 있는지에 대한 통찰을 담아냈다. 지난해엔 제26회 김세중 청년 조각상을 수상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