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재계' 한숨부터 나오는 이유

한국뉴스


 

'2015년 재계' 한숨부터 나오는 이유

일요시사 0 1083 0 0


얇아지는 월급봉투 보너스 꿈도 못꾼다

[일요시사 경제1팀] 한종해 기자 = 달성한 성과에 따라 보상을 차등적으로 지급하는 보수제도. 즉, 성과급은 옛말이 된지 오래다. 구조조정이 몰아치더니 성과급은커녕 임금 동결에 삭감까지 이어지고 있다. 두둑한 월급봉투를 기대했던 직장인들은 온통 풀이 죽었다. 재계가 우중충한 분위기에서 새해를 맞고 있다.

재계 1위 삼성그룹이 국내 경제계에 미치는 영향은 막대하다. 삼성이 지난 2013년 올린 380조원의 매출은 한국 국내총생산(GDP) 1428조원의 26.6%에 달한다. 또한 지난해 매출 상위 100개 기업이 고용한 직원은 1만7669명으로 삼성의 3대 계열사인 삼성전자와 삼성물산, 삼성전기 등 3곳에서만 6448명(36.4%)을 충원했다.

"해고만 제발…"

삼성그룹 상장사들의 시가총액은 국내 증시 전체의 약 30%에 달하며 삼성DL 2013년 달성한 1572억달러의 수출액은 한국 전체 수출액 6171억달러의 25%에 해당한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쓰러지고 삼성전자 매출액이 내리막길을 걸으면서 삼성그룹은 물론, 한국경제가 '긴장'상태에 빠진 이유다.

최근 재계에 불고 있는 '임금 한파'도 삼성그룹으로부터 시작됐다. 연말만 되면 다른 직장인들의 부러움을 샀던 삼성그룹 직원들의 성과급 봉투가 대폭 줄어들었다. 

지난달 22일 삼성그룹은 자사의 대표적 성과급 제도인 TAI(생산성목표인센티브) 지급 규모를 발표했다. 최고 성과급을 자랑하던 삼성의 무선사업부는 지난해 100%에 비해 절반 이상 줄어든 37.5%의 TAI를 받게 됐다. 실적이 부진한 일부 계열사는 아예 TAI 지급 대상에서 제외됐다.

삼성그룹의 콘트롤타워인 미래전략실 임원들의 TAI는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경영지원 직군도 50%를 지급받는 데 그쳤다.

삼성그룹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인 지난 2009년 전 직원의 임금을 동결한 이래 처음으로 2015년 임원 2000여명의 임금을 동결시키기로 했다. 직원 10%도 임금이 동결되거나 삭감된다. 물가상승률 등을 감안하면 임금 동결은 사실상 삭감이나 마찬가지다. 그룹 차원의 신년 행사도 올해는 진행하지 않는다. 사장단들은 합숙은 물론, 겨울 휴가 대신 주말 출근에 나서고 있는 실정이다.

삼성그룹의 움직임은 다른 기업으로 그 영향력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임금 동결·삭감…대기업 연쇄 후폭풍
새해 경제 상황 적신호 "앞이 어둡다"

유가 하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정유업계가 대표적이다. SK그룹의 주력 사업 역할을 해 왔던 SK이노베이션은 노사 합의를 통해 올해 임금을 동결하기로 했다. 지난해 7월에는 임원들이 연봉 10∼15%를 자진반납했다. SK이노베이션은 37년만에 적자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9월말 대비 배러당 약 35달러 하락한 유가로 인해 4000억원 이상의 재고평가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평가된다.

GS칼텍스는 지난 6월 임원수를 15% 축소한데 이어 석유화학사업본부와 윤활유사업본부를 1개 본부로 통합하고 경영지원본부를 폐지하는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사업본부 조직은 7개에서 5개로 줄었다. 2012년 2013년에 이어 2014년 성과급도 지급하지 않기로 했다. 지난 해 초 각각 350%와 500%의 성과급을 지급했던 에쓰오일과 현대오일뱅크도 성과급 지급이 불투명한 상황.


 



조선업계 역시 올해 실적 유지에 성공한 대우조선해양만이 최근 100%를 성과급으로 받은 것을 제외하고 성과급 지급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장기간 임단협을 진행 중인 현대중공업은 기준과 시기, 범위를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임원들은 지난해 6월 급여의 30%가량을 반납했으며 지난해 11월에는 권오갑 현대중공업 사장이 경영이 정상화될 때까지 급여를 받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앞서 지난해 10월 현대중공업은 그룹 조선 3사인 현대중공업, 현대삼호중공업, 현대미포조선 임원 262명에게 일괄 사표를 제출받았다. 현대미포조선과 삼호중공업도 임단협에 난항을 겪고 있다.

현대중공업과 마찬가지로 임단협을 마무리짓지 못하고 있는 삼성중공업도 성과급 지급이 불투명하다.

포스코는 지난해 하반기 자회사인 포스화인, 포스코-우루과이, LNG 터미널 등 3개 자회사 동시 매각 작업을 시작한 데 이어 권오준 포스코 회장과 임원들이 임금 30%를 반납했다.

한화생명은 지난해 12월1일부터 노사 합의에 따라 두 번째 희망퇴직을 단행하고 임금을 동결했다. 한화생명은 지난해 5월 이미 임직원 300명을 줄인 바 있다. 이번 구조조정에서는 700명 수준이 정리될 것으로 보인다. '구조조정 전문가'로 통하는 김연배 부회장이 취임한 지난해 11월 이후 한화생명은 12본부 50팀이던 조직을 3부문 7본부로 41팀으로 축소하고 전무 6명 중 4명을 보직 해제했다. 금호석유화학도 최근 노조와 임금 동결에 합의했다. 워크아웃을 졸업한 금호타이어는 노사 임단협이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다. 여기에 파업 사태까지 해를 넘기며 이어지고 있다.

잇단 임단협 파행

현재까지는 아무런 움직임이 없는 LG전자도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타 그룹에 비해 임금이 낮은 수준이긴 하지만 구본무 회장이 지난해 위기론을 강조해 오고 있고 지난해 하반기에 들어서면서부터 주력 계열사 실적이 떨어지고 있어 임금 조정이 없을 것이라는 보장이 없다.

노사 합의가 필수적인 현대자동차그룹은 임금 동결·삭감에 대한 계획은 없지만 대규모의 인건비 부담이 추가될 수 있는 대규모 소송을 진행 중이다. 현대차 노조 조합원 윤모씨 등 23명은 사측을 상대로 '상여금과 휴가비 등 6개 항목을 통상임금에 포함해 달라'며 소송을 냈다. 현대차 노사는 이번 소송 결과에 따라 근로자들의 임금을 재산정하기로 합의한 상황. 이번 소송에서 현대차가 패소한다면 4만7000여명의 근로자에게 총 5조3000억원의 추가 임금을 지급해야 하며, 그룹 전체로 대상을 확대할 경우 인건비 부담은 13조원에 이를 예정이다.

<han1028@ilyosisa.co.kr>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