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라이 정신은 거짓이다 -일본군의 양면성

한국뉴스


 

<기획연재> 사무라이 정신은 거짓이다 -일본군의 양면성

일요시사 0 1303 0 0

잔인하던 일본군, 투항 후엔 '스스로 길거리 청소'

장성훈 작가  |  mi737@ilyosisa.co.kr

올해는 광복 69주년이 되는 해다. 내년이면 벌써 광복 70주년을 맞이하지만 일본의 진정성 있는 사과는 요원하기만 하다. 게다가 고노담화를 부정하고, 위안부 문제를 왜곡하는 등 일본의 역사인식은 과거보다 오히려 퇴보하고 있어 국민들을 분노케 하고 있다. 이러한 때에 일본의 자랑인 ‘사무라이 정신’의 실체를 낱낱이 밝혀내 화제가 되고 있는 책이 있다. 일요시사가 화제의 책 <사무라이 정신은 거짓이다>를 연재한다.

그렇다! 설득하는 일본군이 마음 깊은 곳으로부터 진실과 진심을 담아 설득했기에 바로 오키나와 주민들이 그 말을 진심으로 믿고 자결을 했던 것이다. 마음과 마음이, 진실과 진실이 통했던 것이다. 그렇지 않고는 그 많은 오키나와 주민들의 자결이 설명되지 않는다.

엽기적 자살

오늘날 기록에 남아 있는 당시 오키나와 주민들의 행동을 봐도 그들이 일본군에 설득되어 미군을 야수 같은 인간으로 철석같이 믿었다는 심증을 뒷받침해 준다. 애기를 안고 절벽에서 뛰어내려 죽은 어머니들의 행동이 그렇고, 손녀딸을 데리고 피신하다가 미군을 만나자 손녀를 보호하겠다고 죽창으로 미군들에게 무모하게 대들다 죽은 할아버지의 행동이 그렇다. 

또 딸을 데리고 동굴로 피신한 어머니가 칼로 딸의 목을 쳐 죽이고 자결한 행동 등, 여러 극단적인 행동 등을 보면 당시의 오키나와 주민들은 일본군들에 확실히 설득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하는 또 하나의 믿을 만한 증거로 일본 교과서를 들 수 있다. 일본 문부성은 오키나와 주민들의 강한 반발에도 불구하고, 고등학교 교과서에 “오키나와 주민의 집단 자결에 일본군의 강제성은 없었다”라고 고쳤다. 오키나와 주민들이 자결에 대한 어떠한 설명도 없이……. 

따라서 수천수만의 오키나와 주민들이 일본군의 설득을 받아들여, 미군이 상륙하기도 전에 스스로 죽었다는 것은 바로 설득한 일본군 자신들도 “미군에 포로로 잡히면 처절하게 죽는다”고 마음 깊은 곳으로부터 진심으로 믿었다는 증거이다. 

그러므로 오키나와에서 일본군들은 일본 정부의 선전처럼 ‘명예로운 죽음’을 택해 옥쇄한 것이 아니라, 1) 정신적 공황 상태에 빠진 일본군들은 “미군은 사람의 인육을 먹는다”는 지도부의 거짓 책동에 세뇌되어 있었던 것 같고, 2) 미군의 엄청난 화력 앞에, 그리고 수천수만의 동료가 죽어가는 것을 목격한 일본군은 이미 삶을 포기하고 죽음의 공포에 질려 있었으며, 3) 이왕 죽을 거 미군에 잡혀 처참하게 죽기 싫어, 4) 마음 약한 사람들부터 하나 둘씩 자살하자 군중심리를 이기지 못하고 단체로 자살한 것이라고 믿어진다.

앞서 미군에 점령당한 섬에서 있었던 옥쇄 소식과 ‘전진훈’도 어느 정도의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그러나 더 큰 영향을 준 것은 수많은 동료들이 죽어 가는 것을 보면서 이미 삶을 포기한 정신적 공황 상태와 거기에 더해진 군지도부의 거짓 세뇌인 것으로 믿어진다. 

일본은 막강한 화력을 지닌 미군과 싸움에서 이길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기습 작전 밖에 없다고 믿고 있었다. 한밤중에 여러 방향에서 소리를 지르면서 기습을 하면 미군을 혼란에 빠뜨리면서 큰 타격을 줄 수 있다고 믿었던 것이다. 이 기습 작전은 일본군이 청·일전쟁 이래 구사하던 ‘전가의 보도’와 같은 전술이었다. 하와이의 진주만 공격도 이 같은 기습 작전의 일환이었다.

미군은 이미 많은 일본과의 전투를 통하여 이런 전술을 파악하고 오히려 한밤 중에 자는 척하면서 일본군이 기습 공격하길 기다리고 있었다. 이렇듯 이미 드러난 작전을 구사하는 일본군의 전술은 마치 쳐 놓은 그물 속으로 헤엄쳐 드는 물고기와 같은 어리석은 짓이었다.

일본군은 기습 작전을 펼 때마다 오히려 역습을 당하면서 수많은 인명 피해를 자초했다. 그렇다고 열등한 화력으로 전면전을 할 수도 없는 입장이었다. 그나마 미군을 이길 수 있는 방법은 기습 작전밖에 없다며, 이미 드러난 작전을 계속 반복하며 속절없이 죽어가고 있었다.

석 달 조금 안 되게 계속된 전투에서 연전연패를 하면서 깊은 좌절감에 빠져 있었고, 또 수천수만의 동료들이 죽어가는 것을 보면서 완전히 삶을 포기하는 정신적 공황 상태에 빠져 있었던 것이다. 이런 공황 상태에서 일본 정부의 거짓 교육은 솜 속으로 빨려드는 물기같이 젖어들었던 것이다.

연전연패 속에서도 묻지마 돌진
오키나와 자결과 필리핀 투항

세 번째로는 중국과 동남아시아에서 싸운 일본군들에게서는 옥쇄가 없었다는 점이다. 중국과 동남아시아에서 싸운 일본군은 태평양전쟁에서 미군과 싸웠던 일본군과 달리, 전쟁에서 패했어도 자살이나 단체로 자결을 하지 않고 순순히 항복하고 포로가 되었다는 것이다. 

어떠한 문건에서도 “중국 및 동남아시아 전선에서 전투했던 일본군들이 포로로 잡히는 치욕이 싫어 단체로 옥쇄했다”는 기록은 보지 못했다. 뒤에 얘기할 ‘30년을 나 홀로 투쟁한 일본군’의 내용을 미리 잠깐 살펴보면, 전쟁이 끝났는지도 모르고 30년 동안 필리핀 정글에 숨어 살던 ‘오노다 히로’와 그 일행은, 자기 부대가 패하자 처음에는 4명이 산속 밀림으로 피신을 한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일행 중 1명이 나머지 3명의 반대를 무릅쓰고 투항한다. 이 투항한 1명이 만일 당시 필리핀에 있던 미군과 필리핀의 연합군들이 사람을 잔인하게 죽인다고 생각했었다면 결코 나머지 3명의 반대를 무릅쓰고 밀림을 나와 투항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오노다 히로’의 직속상관이었던 ‘타니구치’ 소령 역시 ‘오노다 히로’를 찾을 당시 도쿄에서 책 판매상을 하고 있었다는 기록으로 보아, 그 역시 순순히 투항하여 포로가 되었다가 전쟁이 끝난 후 일본으로 귀환하였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당시 필리핀 전선을 지휘하던 사령관은 육군중장 ‘무토 아키라(武藤 章)’였다. 이 ‘무토 아키라’ 역시 항복을 하고 포로로 잡혀 있다가, 전쟁이 끝난 후 일본으로 이송되어 전범으로 재판을 받고 처형되었다.

이상의 예로 보아 필리핀 전선에 있던 오노다 히로가 속했던 부대의 대부분은 자신들이 속했던 부대가 연합군에 패한 후에도 옥쇄를 하지 않고, 투항하여 포로가 되었다는 것을 어렵지 않게 추측할 수 있다. 

싱가포르의 초대 총리를 지낸 이광요 총리의 자서전(원제<The Singapore Story>)을 보면 ‘싱가포르를 점령하고 있을 땐 그렇게 난폭하고 잔인하던 일본군들이 일단 전세가 기울어 패색이 짙어지자 뜻밖에 쉽게 투항했고, 또 포로가 된 후로는 고분고분하였고, 수용소 생활도 질서 있게 하면서 스스로 나서서 길거리 청소까지 했다’는 기록이 있다. 당시 싱가포르에서 전쟁을 하던 부대는 제 7방면 군으로 사령관은 ‘이타가키 세이시로(板垣 征四郎)’였다.

30년 숨어살아

영국군을 상대했던 이 부대는 전세가 기울자 순순히 항복했으며, ‘이타가키 세이시로’를 비롯한 군 수뇌부 전원이 영국군에 붙잡혀 현지 감옥에 갇혔다가 전쟁이 끝난 후 일본으로 넘겨져 전범으로 재판을 받았다.

<다음 호에 계속>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