셧다운제 합헌 "새벽시간, 청소년에 인터넷게임 금지는 적절"

한국뉴스


 

셧다운제 합헌 "새벽시간, 청소년에 인터넷게임 금지는 적절"

일요시사 0 1278 0 0
 
▲ 셧다운제 합헌 결정 <사진=뉴시스>

[일요시사=사회2팀] 김해웅 기자 = 셧다운제 합헌 "청소년에 인터넷게임 금지는 적절"

자정부터 오전 6시까지는 16세 미만 청소년들의 온라인 게임을 금지하도록 한 이른바 '강제적 셧다운' 제도가 헌법에 어긋나지 않는다는 헌법재판소 결정이 내려졌다.

헌재는 전날(24일) "강제로 게임을 금지하는 것은 기본권을 침해하는 것"이라며 학생과 학부모, 온라인게임 사업자가 등이 제기한 헌법소원심판 사건에서 재판관 7(합헌) 대 2(위헌) 의견으로 합헌 결정을 내렸다.

청소년보호법 23조와 51조에 따르면 게임물 제공자는 16세 미만 청소년에게 자정부터 오전 6시까지 인터넷게임을 제공할 수 없고, 이를 어길 경우 징역 2년 이하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재판소는 "해당 조항은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과 발달, 인터넷게임 중독을 예방하려는 것으로 그 입법목적이 정당하다. 이를 위해 일정 시간대에 16세 미만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을 일률적으로 금지하는 것은 적절한 수단"이라고 봤다.

이어 "우리나라 청소년의 높은 인터넷게임 이용률과 중독의 폐해, 자발적 중단이 어려운 특성 등을 감안하면 과도한 규제라고 보기 어렵다"며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과 중독 예방이라는 공익적 중대성을 고려하면 법익 균형도 유지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김창종·조용호 재판관은 "입법목적 중 '청소년 수면시간 확보'가 이들의 기본권을 제한할 만한 사유인지 의심스럽다. 뿐만 아니라 기본적으로 인터넷게임을 유해하고 무가치한 것으로 보는 시각을 전제로 하고 있어 적절한 수단이라고 보기 어렵다"며 반대의견을 냈다.

여성가족부는 인터넷 게임 중독 또는 과몰입 증상을 보인 청소년이 자살하거나 부모를 살해한 사건 등 사회적으로 문제가 발생하자 인터넷 중독 예방 및 치유를 위한 방안으로 '셧다운제'를 시행했다.

이에 학생과 학부모, 인터넷게임 사업자는 "국가권력이 과도하게 개입하는 것"이라고 반발하며 헌법소원을 제기했었다.


< haewoong@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