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현실 신드롬

한국뉴스


 

가상현실 신드롬

일요시사 0 1386 0 0
   
▲ VT 기기 <본 사진은 특정기사와 관련없음>

파트너 내맘대로 골라 ‘엔조이’

[일요시사 취재1팀] 김태일 기자 = 영화 <데몰리션맨>에는 가상현실 장치를 이용해 사랑을 나누는 장면이 나온다. 물론 영화 속 얘기지만 최근 가상현실(VR)이 생활 깊숙이 파고들면서 성인 콘텐츠에도 널리 활용될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멋진 이성과의 ‘사이버섹스’는 그리 멀지 않았다. 

영화에서만 만날 수 있었던 가상현실 시대가 다가왔다. 스마트폰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른 지금 새로운 VR시장이 열리면서 정체기를 맞고 있던 글로벌 IT 기업들이 속속 VR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가상현실이란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컴퓨터로 만들어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마치 실제 주변 상황·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하는 것이다.

성인산업이 주도

이런 흐름에 맞춰 성인 콘텐츠를 제작하는 업체들이 속속 VR산업에 뛰어들고 있어 대중화를 이끌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국의 한 성인 콘텐츠 업체에서는 여성의 신체를 본 뜬 기구와 VR헤드셋을 연결한 서비스 ‘트워킹 버트 패키지’를 출시했다. 이 서비스는 영상과 VR헤드셋을 연결해 이용자의 움직임에 반응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업체 측은 “VR을 적용해 실제에 가까운 환경을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성인 산업은 그동안 최첨단 기술의 대중화를 이끌어 왔다. 업계 관계자들은 차기 의사소통 도구로 급부상하고 있는 VR의 선두주자로 성인 콘텐츠 업체들이 거론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입을 모은다.

게임업계에도 성인코드가 하나 둘씩 들어와 ‘VR 성인게임’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일본의 3D 성인게임 제작사도 VR에 뛰어든다는 계획이다. 일본의 3D 성인게임 제작사는 자사의 3D 게임을 VR로 제작한 콘텐츠를 공개하기도 했다. 삼성전자의 기어VR을 착용하면 성인 여배우가 등장해 줄넘기를 뛰는 VR영상을 볼 수 있다.

지난 해에는 오큘러스를 착용하고 여성 캐릭터의 가슴을 만질 수 있는 ‘가상인형’이라는 킥스타터 프로그램이 화제가 된 바 있다. 실제 인형과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약 500만원에 판다는 내용이었는데 이 프로젝트는 무참히 실패했다.

프로젝트에 ‘라이브게임’이라는 태그를 달았지만 인형의 퀄리티와 프로그램 자체가 기대 이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네티즌들은 이 프로젝트를 시도한 개발자의 과감함에 격려를 아끼지 않는 분위기로, 훗날 괜찮은 퀄리티로 다시 태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초의 오큘러스 리프트 지원 멀티플레이어 온라인 3D 성인게임도 등장했다. 해외게임이지만 한글채팅도 지원한다는 이 게임은 소수의 한국인 유저도 플레이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온라인 가상현실 섹스게임을 표방하고 있는 이 게임은 클럽 등에서 유저들끼리 즉석 만남을 가진 후 성인 콘텐츠를 즐기는 방식으로 국내에서도 결제만 하면 바로 즐길 수가 있어 상당한 파장이 일고 있다.

남성용 성인용품과 가상현실 비디오게임을 접목시킨 제품을 개발한 해외 제작사의 제품은 출시 전부터 주문이 폭주해 영업을 중단하고 생산라인을 확보하는 작업에 나섰다는 소식이다.

이 제품은 가상현실용 헬멧을 착용하고 실물 제품을 이용해 게임 속 가상 인물과 성관계를 맺는 듯한 경험을 제공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2016년을 기점으로 성인용 게임 시장이 후끈 달아오른 느낌”이라며 “주위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 때문에 VR성인게임은 다른 콘텐츠보다 가장 앞서 VR 콘텐츠 시장을 선점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영화가 현실로…VR 대중화 임박
30년 후 가상 성관계 가능 예측

가상현실을 통한 성생활도 언급됐다. 즉 3D 세계를 창조하는 헤드셋을 통해 성관계가 가능해진다는 설명이다. 이미 상대방의 심장소리가 나는 소형 스피커를 베개 아래에 두고 원격으로 조종하는 상품은 개발됐고, 나아가 젤 형태의 섹스 토이가 등장할 것이란 전망도 제기됐다. 젤에는 미세한 로봇이 들어 있고 이 로봇은 인터넷을 통해 원격 조종된다.

제작자들은 미래에 가상 성생활이 더 광범위하게 퍼질 거라고 예측했다. 30년 후면 나노로봇이나 가상현실을 이용한 혁신적인 성관계가 가능해질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

한 전문가는 “미래에는 홀로그램과 데이트하거나 가상 윈도 화면을 통해 남자친구의 방으로 들어가는 것이 가능해진다”면서 “이런 방식으로 서로에게 기쁨을 주는 방법도 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이런 변화로 인해 기계가 인간관계를 대체하는 수준까지 이를 것이라 내다보기도 했다.

한편 이런 혁신적 발전에 윤리나 도덕적 논란이 따라올 것이라고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기술발전이 인간의 욕망에 점점 더 부합될수록 사람들이 인간관계를 맺는 데 더 어려움을 겪게 된다는 것. 가상현실 성생활이 일상화되면 소아성애증상이나 스토킹 같은 잠재적 범죄가 함께 증가할 수 있다는 점도 우려스러운 부분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콘텐츠에 매혹돼 현실과 가상을 구분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실제 사물에 대한 인지에 혼란이 올 수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 이에 대비해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 장비를 착용하고 이동하거나 의식하지 못한 상황에서 범위를 벗어날 때는 경고를 하는 등의 장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 개인 정보 노출 가능성 등의 문제도 가상현실과 관련된 부작용으로 지적되고 있다. 상대방의 의사와 무관하게 카메라로 개인 정보가 쉽게 노출된다면 그로 인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 이후 차세대 플랫폼의 자리를 꿰찰 후보는 VR밖에 없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플랫폼 확장 양상도 스마트폰과 비슷할 것이라며, VR 플랫폼의 성공을 점치는 이들은 대부분 비교 대상으로 스마트폰을 꼽는다.

가능성과 불안감

이미 업계의 기대는 정점에 올랐다. 이제 VR 기기를 만들고, 콘텐츠를 개발하는 종사자들에게 남은 숙제는, VR이 다양한 놀잇거리와 경험, 그리고 이로움까지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받아들여지도록 충분히 준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열쇠는 여느 플랫폼이 그랬듯이 ‘콘텐츠’에 있다. VR 기기라는 생소한 제품이 생활 필수품으로 느껴지도록 삶 전반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들이 쏟아져나와야만 차세대 플랫폼으로 완전히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ktikti@ilyosisa.co.kr>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