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먹어도…’ 소화불량의 속사정

한국뉴스

‘안 먹어도…’ 소화불량의 속사정

일요시사 0 1178 0 0

밥 먹지 않아도 속이 더부룩~

cedcc840b9e74cef7985ee74c04891b6_1542058677_24.jpg
소화불량이란 식사 여부와 관계없이 주로 상복부 중앙부위에 느끼는 통증이나 불편감이 주된 증상을 말한다. 쓰림, 팽만감, 조기 포만감, 식후 만복감, 구역, 식욕부진, 역류,  트림과 같은 다양한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르면, ‘소화불량’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2012년 68만명서 2016년 60만명으로 감소했다가 2017년 61만6000명으로 증가했다.  

62만명 진료

2017년 기준 총 진료인원은 남성 24만6000명, 여성 37만명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1.5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분석한 결과 여성은 인구 10만명 당 1458명, 남성은 인구 10만명당 963명으로 인구수를 고려해도 여성이 남성 보다 1.5배 많았다.

2017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60대(9만7000명, 15.8%)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 70대 이상(9만명, 14.6%), 50대(8만1000명, 13.1%)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70대 이상(3만6000명, 14.6%)이 가장 많았고, 60대(3만6000명, 14.5%), 50대(3만1000명, 12.6%) 순이며, 여성은 60대(6만1000명, 16.6%) 가 가장 많았고, 70대 이상(5만4000명, 14.6%), 50대(5만명, 13.5%) 순으로 나타났다.   

2017년 기준, 연령별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은 70대 여성이 2594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60대 1921명, 50대 1476명 순으로 나타났다. 

쓰림, 팽만감, 구역, 역류, 트림…
식사 관계없이 상복부 통증·불편


원선영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남성보다 여성 환자가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일반적으로는 대부분의 연구에서 남녀 차이는 없다고 알려져 있다. 일부 연구에서 여성이 조금 많은 것으로 보고 되고 있으며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아마도 통증의 역치가 여성이 남성에 비해 낮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소화불량 질환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 시 문제에 대해 “소화불량증은 생명을 위협하거나 다른 질환으로 진행되는 질환은 아니다. 하지만 이러한 증상으로 환자가 느끼는 삶의 질이 낮아지므로 적절한 방법으로 해소하는 것이 좋다. 또 위험한 경고 증상을 기능성 소화불량으로 간과해 기질적 질환의 진단 시기를 놓쳐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소화불량 질환의 발생원인은 아직까지 잘 모르고 있다. 일반적인 검사로 다른 뚜렷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경우이기 때문에 아직은 명확한 질환의 병태생리를 모르는 비균질성 질환으로 생각되고 있다. 

현재로는 위 저부의 적응장애, 위 내장 감각의 비정상적인 예민성, 정신 사회적 요소, 산분비과다, 십이지장의 기능 이상 등 다양한 원인들이 유력한 발생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불안, 우울, 건강염려증 등의 정신 심리적인 장애가 높으나 아직 원인인지는 불확실하다. 정신적인 장애나 심리적 장애, 만성적인 스트레스가 위장관 증상을 증가시킬 수 있다.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여러 가지 다양한 병태생리가 관여돼 다양한 증상양상을 보이는 이질적인 질환이다. 따라서 아직까지는 이 모든 병태생리에 효과적인 약제는 없으므로 증상에 관련해 여러 약물들을 조합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1.5배 많아
음식 천천히 그리고 꼭꼭 씹어야


위산분비 억제제, 위운동 촉진제, 위저부 이완제 등의 약제들의 조합으로 사용하며 이런 치료에 호전이 없거나 불안, 우울 등이 동반된 경우 정신적인 치료 약물의 사용이 효과적일 수 있다.

소화불량증 환자들의 대부분은 증상이 음식과 관련이 있다고 호소하며 기름지거나 자극적인 음식을 섭취하면 증상이 나빠진다고 한다.

고지방음식은 위 배출기능을 떨어뜨리므로 소화불량을 주로 호소하는 환자는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카페인 음료나 알코올, 맵고 짠 자극적인 음식에 대한 제한이 치료에 도움이 될 수도 있으며 식이섬유는 위 내용물의 배출을 느리게 하므로 소화력이 많이 떨어져있는 환자는 제한하는 것이 좋다.

이 밖에 식생활 습관의 교정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불규칙한 식생활은 장기간의 결식으로 인한 위장 점막의 위축이나 위산에 의한 손상을 일으키며 그 후 과식에 의한 소화불량의 증상의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밤늦은 식사는 밤에 생리적인 위배출기능 저하로 인해 소화불량 증상이 악화되고, 식후의 과격한 운동도 위배출기능 저하, 위식도 역류에 의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습관이 중요

즐겁지 않은 식사도 역시 위 배출기능을 떨어뜨리며 급한 식사습관도 위의 이완기능을 활용하지 못해 트림, 복부팽만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음식을 천천히 씹은 후 식사하는 습관도 중요하다.
 

출처 : 일요시사(http://www.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