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때면 등장하는 연예인은 누구?

한국뉴스


 

대선 때면 등장하는 연예인은 누구?

일요시사 0 954 0 0

선거판 철새는 연예계에도 있다

[일요시사=정치팀] 직접선거가 도입된 지난 1987년부터 올해까지, 대선시즌이 되면 분주히 움직이는 비정치권 진영의 인사들이 있다. 바로 연예인이다. 어느 정도 얼굴이 알려진 이들의 ‘친숙함’은 어느새 선거판의 ‘감초’가 됐다. 때로는 연예인의 한 마디가 선거판을 좌지우지하는 이슈를 만들기도 한다. 18대 대선이 목전에 다다른 시점에서 <일요시사>가 대선과 연예인의 오랜 역사를 되짚어 봤다.

중견배우 강만희의 발언이 화제다. 박근혜 새누리당 대통령후보의 연예인 홍보단 소속의 일원인 그는 안철수 전 무소속 대통령후보를 겨냥했다. 강만희는 박 후보 지지연설을 하면서 “사극에는 간신이 많이 나온다. 간신은 어떻게 해야 하나? 죽어버려야 한다”라고 다소 과격한 말을 했다. 안 전 후보가 ‘간신’이란 말이었다. 

대선 단골손님 따로 있어

박 후보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연예인은 단연 가수 은지원이다. 이밖에 문화홍보단에 송기윤, 방형주, 현미, 현철, 김세레나, 전원주, 선우용녀 등이 있다.

자문위원 중에는 ‘서태지와 아이들’로 활동했던 가수 이주노가 눈에 띈다. 그리고 코미디언 이용식, 2002년 대선 당시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를 지지했던 심현섭도 포함됐다. 또한 개그맨 황기순, 가수 이명훈· 이영화도 합류했다. 이 외에도 이서진, 김응석, 설운도, 이수나, 최홍만, 양희승, 이순재, 김애경 등이 박 후보 지지에 나섰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를 지지하는 연예인 중 영화배우 김여진이 가장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그리고 소설가 이외수 또한 우회적으로 지지의사를 표명했다. 영화감독 변영주, 배우 출신 정치인 문성근 등도 문 후보의 지원군이다.

이 밖에도 이은미, 전인권, 문소리, 권해효, 김조광수, 곽현화, 김용, 맹복학, 김기덕, 윤도현, 신해철, 이준익, 이창동, 최명길, 김제동 등과 소설가 공지영 등이 문 후보를 적극 지지하며 유세에 나섰다. 

이렇게 연예인들이 선거판에 대거 합류하기 시작한 것은 1992년 선거부터다. 그 전까지만 해도 연예인들은 자신의 정치색을 드러내길 꺼려했다. 연예인에 대한 정치인들의 편향된 시각 때문에 극히 드물었던 ‘정치참여’ 현상이, 이때 들어 자연스럽게 펼쳐진 것이다.

당시 연예인 유세는 효과적인 청중 동원 방법이었다. 이 같은 대통령 선거 유세장의 ‘연예인 동원’은 논란을 빚고 있었다. 한 언론은 “일관된 정치적 소명 표명이나 정치활동이 없던 연예인들의 유세장 동원은 특히 출연 중인 주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극중 이미지와 인기를 정치에 이용해 정치를 왜곡한다”라고 지적했다.

당시 대선과 총선에서 집권당인 민자당 후보를 지지하고 나섰던 연예인으로는 이순재, 이덕화, 김형곤, 심형래, 그룹 코리아나, 주현미, 남보원, 현철 등이다.

현대그룹 명예회장으로 정치에 참여해 대권에까지 도전했던 정주영 국민당 후보 지지 연예인은 강부자, 최불암 등이 대표적이었다. 두 사람은 훗날 금배지를 달고 국회에 입성하기도 했다. 

이렇게 유세장에 초청되는 연예인들을 보면 대개 친분관계로 참석하는 경우가 많지만 더러는 2~3백만원의 사례금을 받고 참석하는 경우도 있었다. 민주당은 연예인이 유세장에 동원돼 청중에게 직접 특정후보 지지를 부탁하는 일이 없었다.

당시 선거 특수를 노리는 가수도 생겨났다. '성은 김이요'를 부른 가수 문희옥은 이후 트롯부문 인기 정상에 오르는가 하면, '손에 손잡고'의 그룹 코리아나는 정당행사의 단골초청대상 1호였다.

1997년 제15대 대선에서는 연예인이 ‘확실한 표몰이꾼’으로 대활약을 펼쳤다. 당시 한나라당은 남성훈, 이영후, 박은수, 심양홍, 김흥국 등 연예인 8명의 입당 의사를 받았다. 신성일·엄앵란 부부, 최불암, 이정길 등이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의 열렬한 지지자였다.

드리마 <애인>과 <용의 눈물>로 톱스타의 자리를 굳힌 탤런트 유동근과 개그맨 이경규도 입당 1순위로 거론됐지만, 이들은 정치와 거리를 뒀다.

연예인 ‘확실한 표몰이꾼’으로 섭외 1순위
MB 지지 연예인? 위장지지?명의도용까지

당시 국민회의는 김한길 의원의 부인인 탤런트 최명길이 적극 지원에 나섰으며 김대중 후보가 주례를 섰던 영화 <서편제>의 오정해, 개그맨 최양락·팽현숙 부부, 영화배우 남궁원, 김지미, 최종원 등도 대표적인 김 후보 지지자였다.

김대중 후보의 당선과 함께 대선특수를 누렸던 연예인은 다름 아닌 ‘DJ와 함께 춤을’이라는 로고송을 불렀던 그룹 DJ DOC였다. 당시 이 로고송은 젊은 층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으며, 그 해 최고의 히트작으로 꼽혔다. 당선 직후 멤버들은 청와대로 초대돼 식사를 대접받기도 했다.

2002년 제16대 대선에서는 당시 노무현 민주당 후보를 자발적으로 지지하는 연예인이 등장했다. 모임도 만들어졌다. ‘노무현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의 등장에 큰 역할을 한 당시 영화배우 문성근, 명계남은 본업을 접고 각각 선대위에서 중요한 자리를 맡기도 했다.

‘노무현을 지지하는 문화예술인 모임’에는 권해효, 방은진, 정태춘, 안치환, 전인권, 한영애, 크라잉넛, 자우림, 영화감독인 이창동, 정지영, 여균동, 임순례, 시인 안도현, 김용택, 도종환, 음악평론자 강헌, 시사만평가 박재동 화백 등이 활동했다.

‘대선 특수’를 톡톡히 본 연예인도 역시 가수였다. ‘오 필승 코리아’로 2002월드컵 열기를 뜨겁게 달구었던 가수 윤도현이 노 후보 지지를 선언하고 나섰다. 윤도현은 이 노래를 ‘오 필승 노무현’으로 바꿔 불러 노 후보 당선의 일등공신이 됐으며, 이후 윤도현의 주가도 함께 올랐다.

정몽준 국민통합21 후보의 지지 연예인 상당수는 ‘축구’가 연결고리였다. 대표적인 인물은 김흥국이다. 김흥국을 매개로 이승철, 김현정, 탁재훈, 손지창 등이 정 후보 지지를 표명했다. 정주영 후보를 지지했던 강부자도 역시 빠지지 않았다. 박상원, 차인표, 선우재덕도 응원단으로 활동했다.

이 밖에도 남궁원, 백일섭, 윤석화, 노영심, 박경림, 이창명, 이상아, 송채환 등도 정 후보의 선거운동을 도운 것으로 알려졌다. 단연 으뜸가는 ‘초호화군단’이었다.

정 후보보다 더욱 호화스러운 지지를 받은 것으로 알려진 이가 있다. 바로 이명박 대통령이다. 그동안 중립을 선언했던 방송인 이경규가 적극적으로 MB 지지를 선언하고 나서 눈길을 끌었다. 일각에서는 ‘MB의 대변인’이라는 말이 나돌았을 정도다. 단골손님인 이순재, 최불암도 다시 등장했다.

지지를 철회한 것으로 알려진 연예인도 있었다. 안재욱, 차태연, 소유진, 최수종, 김선아, 김원희, 박선영, 성현아, 한재석, 정준호, 에릭, 김정은, 박진희, 홍경민 등이다.

마지막까지 MB를 지지한 연예인으로 김건모, 김민종, 김보성, 김유미, 김응석, 김재원, 박상규, 배한성, 변우민, 신동엽, 유인촌, 유진, 윤다훈, 이지훈, 이창훈, 이휘재, 전혜빈, 정선경, 백일섭, 서세원 등이었다.

이경규가 MB 대변인?

하지만 MB 지지 연예인 명단에는 문제가 있었다. 이 중에서 지지의사를 가지고 지원한 연예인도 있지만, 일부는 ‘위장지지 명의도용’을 당했던 것. 명의를 도용당한 연예인은 원치 않게 정치권에 휩쓸려 적지 않은 고초를 겪었다. 

정치인(politician)과 연예인(entertainer)의 합성어로 정치적 행위를 하는 연예인을 폴리테이너라고 부른다.

아직 정치권은 연예인 등 문화계 인사들의 정치참여에 대해 엇갈린 평가를 내놓고 있다. 한 전문가는 매체를 통해 “중요한 건 직업이나 계층에 관계없이 소견이나 역량이 되는지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그것이 연예인 혹은 스타들의 정치 참여, 정치적 소견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없어지는 출발점이다”라고 말했다.

조아라 기자 <archo@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