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연초 개각 시나리오 추적

한국뉴스


 

MB 연초 개각 시나리오 추적

일요시사 0 3226 0 0
8·8 개각 이후 정부부처 곳곳에 인사 공백
G20·천안함에 밀려 하마평 김칫국만 ‘벌컥’

연초 개각설이 수면 위로 부상하고 있다. 지난 8·8 개각 이후 누적돼 온 인사공백이 한계에 다다른 탓이다. 김황식 국무총리와 이재오 특임장관의 자리 이동으로 몇달 째 공석인 감사원장과 국민권익위원장 자리가 1순위로 거론되고 있다. 개각 대상에 올랐으나 후보자의 낙마로 후임 인사가 이뤄지지 않은 문화체육관광부와 지식경제부도 있다. 여기에 8·8 개각에 포함되지 않았던 부처에서도 개각설이 피어오르고 있다.

정가 안팎에서 개각설이 몸집을 키우고 있다. 중앙부처의 인사작업이 더뎌지면서 국정공백 신호음이 켜지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사실 중앙부처의 인사는 이미 마무리됐어야 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8·8 개각의 끝자락에 멈춰선 채다. 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를 비롯해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이재훈 지식경제부 장관 후보자 등 세 명의 낙마로 받은 충격 탓이다.

때 놓친 인사, 언제쯤?

당장 원활한 국정운영을 위해 김황식 감사원장을 국무총리로 발탁했지만 문화체육관광부와 지식경제부 장관 후임 인선은 ‘보류’됐다. 김황식 총리의 임명으로 감사원장 자리도 공석이 됐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이재오 특임장관의 7월 재보선 출마로 일찌감치 수장 자리를 비워둔 채 항해중이다.

빈자리에 사람을 채우려는 노력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G20 정상회의 개최로 한 고비를 넘기자 연평도 사태, 예산국회가 줄줄이 이어져 타이밍을 놓쳤다. 하지만 인사공백이 3개월 여를 넘기면서 곳곳에서 ‘더 이상 버티기 힘들다’는 신호음이 울리고 있다. 이와 함께 내년 초 소폭 혹은 중폭 개각이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커지고 있다.

연말 개각이 이뤄질 수 있다는 말도 있었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다. 후보자 셋을 낙마시킨 매서운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할 만한 인물을 찾는다고 해도 정부 부처와 국회의 일정이 이들에 대한 인사청문회 개최가 불가능하다고 말하고 있는 것. 정부 22개 부처는 14일부터 29일까지 이명박 대통령에게 내년 주요 업무계획을 보고할 계획이며, 국회는 내년도 예산안 강행처리 후폭풍에 휩싸여있다는 이유에서다.

때문에 정치권은 내년 초 소폭 혹은 중폭 개각에 무게를 싣고 있다. 소폭 개각은 인사 수요가 있는 감사원과 국민권익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지식경제부 등만을 고려한 것이다.

이중 가장 ‘후임’이 급한 건 감사원과 국민권익위원회다. 감사원은 지난 9월 감사원장이었던 김황식 원장이 국무총리로 임명되면서부터 하복동 감사원장 대행 체제로 유지되고 있다. 국민권익위원회의 사정도 비슷하다. 이재오 특임장관이 지난 7월 재보선 출마를 위해 뛰쳐나온 후 내내 수장 자리를 비워둬야 했다.

감사원장에는 강만수 대통령 경제특보, 김경한 전 법무장관, 백용호 정책실장, 윤증현 기획재정부장관, 안대희 대법관, 조무제 전 대법관의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국민권익위원장에는 김경한 전 법무장관과 정동기 전 청와대 민정수석, 박형준 전 정무수석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들 조직은 특히 이 대통령이 국정 후반기 핵심과제로 내세운 ‘공정사회’를 확립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는 곳이어서 후임 인선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지난 8·8 개각에 포함됐으나 후보자의 낙마로 장관 교체가 물거품으로 돌아간 문화체육관광부와 지식경제부도 후임 장관 인사가 급하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이 자리를 지키고는 있지만 원래 물러나기로 했던 이들인 만큼 오래 끌어 좋을 게 없다는 것.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는 이동관 전 홍보수석, 박형준 전 정무수석, 나경원 한나라당 의원, 김장실 전 문화부차관이 이름을 올렸으며, 지식경제부 장관으로는 조환익 코트라 사장과 오영호 G20 비즈니스서밋 조직위 집행위원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중폭 개각은 여기에 지난 8·8 개각 대상에서 제외됐던 기획재정부, 통일부, 법무부, 행정안전부, 환경부, 여성가족부, 국토해양부 등 7개 부처를 포함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이 대통령과 함께 임기를 시작한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과 이만의 환경부 장관 등 ‘장수 장관’과 일부 경제부처 장관이 교체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또한 연평도 사태 이후 정보 수집·판단의 적절성 논란이 일었던 국정원장도 교체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청와대는 개각설을 일축하고 있다.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은 최근 정치권을 중심으로 연초 개각설이 돌고 있는 것과 관련, “지금 청와대 내부에서는 개각 얘기가 전혀 없다”면서 “현재는 공석인 자리가 두 곳(감사원장, 국민권익위원장) 밖에 없다”고 말했다.

청와대 주변에서도 ‘개각’보다는 ‘순차적인 인사’에 더 무게를 두고 있다. 이들은 “G20 이후 공석이 생긴 곳부터 순차적으로 인사를 단행할 계획이었으나 연평도 사태와 예산국회로 적절한 시기를 놓쳤다”며 내년 2월 임시국회에서 인사청문회를 진행하는 방안을 언급했다.

검증작업 진행 중

청와대 관계자들은 “내부 인사 검증작업은 지금도 진행 중”이라면서도 “지난 개각 이후 높아진 인사청문회의 장벽을 넘을 수 있는 도덕성과 능력을 두루 갖춘 이를 찾는 일이 쉽지 않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한 정치평론가는 “더 이상 임시방편으로 막아둘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며 “이 대통령의 집권 4년차가 시작되는 지점을 기점으로 그동안의 어수선했던 분위기를 환기시키고 집권후반기 국정운영에 활력을 불어넣을 인사가 이뤄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향후 인선에서도 ‘쓰는 사람만 쓰는’ 이 대통령의 인사스타일이 또 다시 고개를 들 것”이라며 “자리만 바꿔 중용된 낯익은 인재들을 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