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열수 톱' 대성그룹 사세의 비밀

한국뉴스

'계열수 톱' 대성그룹 사세의 비밀

일요시사 0 1030 0 0

234967517_ff22edcc_blank.jpg
'간당간당' 숨만 붙어있는 좀비회사들

[일요시사=경제1팀] 기업의 목적은 이윤추구다. 사회적 책임도 수익이 나야 한다. 그런데 매출이 전혀 없다면…. 보통 이런 법인은 '좀비회사'라 불린다. 대성그룹이 수상한 계열사들을 끼고 있다. 버는 거 없이 쓰기만 하는 '애물단지'다. 그런데도 쉽게 버리지 못하고 있다. 왜 일까. 대성그룹에 빌붙은 좀비회사들의 실체를 캐봤다.

지난달 기준 재계순위 37위(공기업 제외)인 대성그룹은 총 85개 계열사를 두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대기업)에서 대성그룹이 계열사 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그룹(77개)과 현대차그룹(57개)보다 많다. SK그룹(80개)·LG그룹(62개)·롯데그룹(74개)·GS그룹(78개)·CJ그룹(82개)도 대성그룹에 미치지 못한다.

문제는 대성그룹 계열사 중 상당수가 매출이 전혀 없다는 점이다. 무려 10개나 된다. 100% 내부거래로 유지되거나 실적이 형편없는 계열사도 17개나 있다. 결국 85개 계열사 가운데 '좀비회사'가 27개에 이른다는 결론. 다시 말해 대성그룹 몸집에 30%가 넘는 '거품'이 끼어 있다는 얘기다.

실적 없는 애물

업계 관계자는 "대성그룹은 국내 내로라하는 대기업들보다 계열사가 많지만 알고 보면 허당인 회사들이 많다"며 "돈은 한 푼도 벌지 못한 채 쓰기만 하는 좀비 계열사가 한둘이 아니다. 교통정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실제 <일요시사> 확인 결과 '매출 제로'인 대성그룹 계열사는 영컨설팅·대성초저온이엔지·나우필·파주영농·디에스아이호텔·디에스아이리테일·남곡이지구·제이씨알·대성홀딩스·대성지주 등으로 조사됐다.

1994년 설립, 2008년 대성그룹 계열사로 편입된 영컨설팅은 출판 및 경영자문 업체로, 지난해 매출이 '0원'이다. 유지비용으로 500만원 적자만 났다. 공시를 시작한 2010년부터 실적이 없다. 주주는 김영대 회장(75%)과 그의 장남 정한씨(15%), 부인 차정현씨(10%)로 100% 오너회사다.

김영대 회장의 가족들은 다른 좀비회사 지분도 소유하고 있다. 차정현씨와 세 아들 정한·인한·신한씨(각각 22%)는 대성초저온이엔지 대주주다. 2007년 설립된 엔지니어링 용역업체 대성초저온이엔지도 지난해 매출이 없다. 200만원만 지출했다. 설립 이후 실적을 찾아볼 수 없다.

눈길을 끄는 대목은 대성지주와 대성홀딩스도 매출이 없다는 사실이다. 2000년 설립, 2008년 대성그룹 계열사가 된 대성지주는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SI)업체다. 매년 수천억원의 매출을 올리는 다른 대기업의 SI 계열사와 달리 바닥을 기고 있다. 김영대 회장(52.5%)이 최대주주. 차정현(16.25%)·정한씨(16.25%)도 지분을 쥐고 있다.

대성그룹엔 대성홀딩스 법인이 2개다. 둘 다 지주회사 역할을 하고 있지만 성과는 딴판이다. 김영훈 회장(39.9%)이 이끄는 대성홀딩스는 연 400억원대 매출을 올리는 상장사다. 반면 김영대 회장(100%)이 키를 잡고 있는 대성홀딩스는 산으로 가고 있다.

2005년 설립, 2007년 대성그룹에 소속된 나우필은 김영훈 회장(100%)의 개인회사다. 전시 및 행사·광고대행을 주로 하지만 지난 한 해 동안 손가락만 빨았다. 2010∼2011년 설립된 파주영농과 디에스아이호텔, 디에스아이리테일도 수익이 나지 않았다. 자본금만 까먹고 있는 실정. 작물 재배업체 파주영농은 대성산업(99.93%) 자회사다. 부동산 임대업체 디에스아이호텔·디에스아이리테일도 대성산업(100%) 자회사다. 대성산업으로선 3개 계열사가 골칫거리가 아닐 수 없다.

남곡이지구와 제이씨알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다. 2005년 설립, 2010년 ‘대성 식구’가 된 남곡이지구는 부동산개발 및 공급업체로 부채가 1244억원에 이르는 등 자본잠식 상태다. 가하이엠씨(45%) 자회사다. 2005년 설립된 선박 운송업체 제이씨알도 인권비만 나가고 있다. 대성밸류인베스트먼트(100%) 자회사다.

계열 30% 손가락만 ‘쪽쪽’…사실상 개점휴업
'직원 0명'내부거래로 유지되는 허당 자회사도

이들 10개사 중 2∼3명의 임원만 있을 뿐 직원(종업원)이 없는 곳도 수두룩하다. 영컨설팅·대성초저온이엔지·나우필·디에스아이호텔·디에스아이리테일·제이씨알·대성지주는 공시상 직원이 단 1명도 없다. 파주영농은 4명, 남곡이지구와 대성홀딩스는 각각 3명이 사무실을 지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생력이 전혀 없는 사실상 '뇌사'상태인 대성그룹 계열사도 있다. 내부거래로 유지되는 가하이엠씨·한국물류용역·에스필·대성나찌유압공업·대성쎌틱에너시스·서울도시개발·굿랜드·굿가든·문경새재관광·가하컨설팅·제이헨·포디알에스 등 12개사다. 이들 회사는 '식구'들이 '힘'을 실어주지 않으면 지속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1989년 설립된 가하이엠씨는 부동산 임대업체로 매출의 100%가 내부거래 물량이다. 지난해 매출 22억원을 모두 대성산업과의 거래로 올렸다. 2011년에도 대성산업과 같은 금액을 거래했다. 모회사는 대성합동지주(100%)다. 1988년 설립된 인력 공급업체 한국물류용역도 계열사를 통해 매출을 올리고 있다. 이 회사는 지난해 매출 75억원 중 대성합동지주, 대성산업, 대성아트센터, 대성씨앤에스 등 계열사에서 74억원(99%)을 거뒀다. 2011년의 경우 매출 69억원이 전부 내부에서 나왔다. 모회사는 대성산업(100%)이다.

대성산업은 에스필·대성나찌유압공업·대성쎌틱에너시스도 자회사로 두고 있다. 이들 회사의 지난해 매출 대비 내부거래율은 ▲에스필(실내건축) 98%(매출 47억원-내부거래 46억원) ▲대성나찌유압공업(유압기기 제조) 78%(181억원-141억원) ▲대성쎌틱에너시스(가스보일러 제조) 99%(631억원-624억원)로 조사됐다.

서울도시개발은 서울도시가스, 서울씨엔지, 에스씨지솔루션즈 등 계열사들과 거래해 지난해 매출 148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는 김영민 회장이 지분 97.78%를 보유한 오너 개인회사나 다름없다. 여기에 에이원과 알앤알, 디엔에스피엠씨, 코리아닷컴커뮤니케이션즈, 대성아트센터 등도 계열사들이 일감을 몰아줘 적지 않은 실적이 '안방'에서 나왔다. 이들 회사도 모두 대성일가가 지분을 보유 중이다. 물론 오너의 개인회사도 있다.

굿랜드·굿가든·문경새재관광·가하컨설팅·제이헨·포디알에스 등은 '구멍가게'보다 못한 실적을 냈다. 그나마 이마저도 내부거래 덕분에 가능했다. 서울도시가스의 작물재배 자회사인 굿랜드와 굿가든은 지난해 매출이 각각 7900만원, 1200만원에 불과했다. 이중 내부거래 금액이 7300만원, 1000만원이나 된다.

대성합동지주의 임업 자회사인 문경새재관광은 지난해 고작 1000만원을 벌었는데, 모두 계열사에서 나온 매출이다. ▲가하컨설팅(경영컨설팅) 1억3000만원 ▲제이헨(경영컨설팅) 4800만원 ▲포디알에스(상품중개) 3600만원도 전부 계열사에 의존한 결과다. 가하컨설팅은 김영대 회장(10%)의 지분이 있다. 제이헨은 정한씨와 그의 가족들이 지분 100%를 갖고 있다. 포디알에스도 정한씨(51%)가 최대주주다.

'매출 제로'의문의 계열사 실체는?

그렇다면 대성그룹에 좀비회사들이 많은 이유가 뭘까.

회사 관계자는 "실적이 없거나 적은 계열사들은 이제 막 출범하거나 사업을 확장 중에 있는 회사들"이라며 "매출은 시간이 지나 자리를 잡으면 자연스럽게 발생하거나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업계의 시각은 다르다. 대성일가 '형제의 난'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고 김수근 창업주의 장남 김영대 회장과 차남 김영민 회장, 3남 김영훈 회장 등 삼형제는 김 창업주가 작고한 2001년 지분 다툼을 벌인 뒤 등을 돌려 아직까지 발길을 끊고 있다. 이들은 2006년 모친 고 여귀옥씨가 타계하자 유산상속을 놓고 또 다시 갈등을 빚는 촌극을 벌이기도 했다. 삼형제는 유산정리에 합의했지만 이후 전혀 왕래가 없다. 최근엔 '대성'사명을 두고 법적 분쟁을 벌이기도 했다.

형제 간 과시용?

세 회장은 각각 대성산업, 서울도시가스, 대성그룹을 독자경영하고 있지만 법적으론 계열분리가 되지 않은 상태다. 공정위는 2011년 4월 3개 소그룹을 묶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 포함시켰다. 오너 형제 간 경쟁적으로 계열사를 늘리다 보니 좀비회사들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즉 계열사 늘리기도 사세싸움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김성수 기자 <kimss@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