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무원 김치박물관 입찰 의혹

한국뉴스

풀무원 김치박물관 입찰 의혹

일요시사 0 853 0 0

뽑았다 탈락…짜인 각본대로 쇼?

[일요시사 취재1팀] 박창민 기자 = 지난 4월 풀무원은 김치 박물관 ‘뮤지엄김치간’을 개관했다. 풀무원은 한국 김장 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등재를 계기로 기존에 있던 코엑스 김치박물관을 인사동으로 이전해 재개관했다. 풀무원은 박물관 전시 및 시공 업체를 놓고 경쟁 입찰을 통해 선정했다. 하지만 이미 내정된 업체가 있다는 소문이 파다했다. 실제로 소문에 흘러나왔던 업체가 선정됐다. ‘설마’라는 마음으로 입찰에 참가했다가 한 중소기업이 곤욕을 치렀다. 입찰 특혜 의혹이 제기된다.

풀무원이 운영하는 ‘뮤지엄김치간’은 김치박물관이다. 2015년 3월에는 풀무원의 김치박물관이 미국 CNN방송이 뽑은 세계 11대 음식 박물관에 선정되기도 했다. 지난해 4월부터 풀무원은 서울 강남 코엑스에 있던 김치박물관을 인사동으로 옮겨 시공 작업에 들어갔다. 풀무원은 박물관 주제가 김치인 만큼 전문적으로 디자인 및 시공할 업체가 필요했다.

어정쩡한 해명

풀무원 김치박물관 학예사(일명 큐레이터로 박물관이나 미술관에서 전시회를 기획·관리 담당)  C씨는 선정 업체를 물색했다. 그러던 중 A사에게 “뮤지엄김치간을 시공할 입찰 업체로 참여해 달라”고 요청한다. 하지만 이번 박물관 시공 업체는 이미 B사가 내정됐다는 소문이 돌았다. 그럼에도 A사는 ‘설마’라는 생각에 풀무원의 입찰 경쟁에 참여했다.

5월 중순부터 A사는 풀무원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기 위해 사업 제안서부터 PPT자료까지 공들여 준비한다. 이후 A사는 풀무원에게 실사를 받으며 심사위원들의 좋은 평가를 얻는다. 

풀무원은 실사 때 “계약 시 최종가격이 변동될 수 있다”는 등 실무협의까지 논의했다. A사는 풀무원의 제안을 모두 적극으로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풀무원은 A사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A사는 대기업 협력업체가 됐다는 사실에 이미 뮤지엄김치간 시공 계획을 실행에 옮기고 있었다.

하지만 실사 이후 약 한달 동안 풀무원은 A사에게 어떤 내용도 전달하지 않은 채 기다리기만 했다. 그러다 A사는 업체 선정 최종 결과에 대한 답을 정식공문을 통해 요청했다. 풀무원은 그때야 A사가 차 순위로 선정됐다는 답을 했다. 우선협상대상자에서 밀려난 것이다. 그 자리는 이미 내정 업체로 소문이 자자한 B사가 꿰찼다.

 



A사는 풀무원의 행태에 부당함을 느꼈다.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밀려난 이유에 대해 풀무원 측의 사유를 밝힐 것을 촉구했다. 하지만 풀무원은 우선순위협상대상자에서 배제된 이유에 대한 답을 피했다. 다만 풀무원은 “종합적 판단을 고려해 정했다”는 등 두루뭉술한 답만 전했다. 이에 A사는 “구체적인 평가 내용을 밝혀라”라고 촉구하지만, 풀무원은 당사 내규라는 이유로 설명을 거부했다.

이번 풀무원의 입찰에는 석연치 않은 구석이 많다. 먼저 이미 뮤지엄김치간의 시공 업체 선정을 앞두고 B사가 내정돼 있다는 소문은 무성했다. 시공 업체들은 이 소문 때문에 풀무원의 시공 작업 입찰에 참여하지 않았다. 그래서 그런지 시공업체 입찰에 A와 B사를 포함해 3개 업체만 참가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B사가 협력 업체로 선정되면서 소문은 사실이 됐다.

인사동 이전해 뮤지엄김치간으로 재개관
특정업체 특혜?…하청 선정 과정서 잡음

A사가 차 순위 업체로 통보된 이후 풀무원의 행동도 이해가지 않았다. 당시 관계자에 따르면 뮤지업김치간의 학예사 C씨는 A사에게 후한 점수를 줬다. A사에게 우선협상대상자라는 통보를 한 것도 C씨다. 하지만 A사가 차 순위로 밀려났다는 통보를 받았을 때 C씨에게 항의 전화를 했지만 받지 않았다. 이후 풀무원 관계자가 A사에 먼저 연락해 ‘의사소통 과정 오류가 있었다’고 해명했다. 

A사 입장에서는 의사소통 오류라고 보기에는 도저히 납득이 가지 않았다. 풀무원이 먼저 A사에 입찰에 참여하라 요청했으며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까지 했다. 하지만 한참 뒤에서야 차 순위로 밀려났다고 통보했다. 더 나아가 당시 이번 입찰 전 소문만 무성했던 내정업체인 B사가 선정됐기 때문이다.  

실사 때 심사위원들은 A사를 1등 업체로 선정했다. 풀무원도 A사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했다. 그럼에도 소문으로만 들었던 B사가 선정됐다. 풀무원이 심사위원들의 평가를 제대로 반영했는지도 의심스러운 부분이다.


 


풀무원은 A사와 가격이 맞지 않아 차 순위로 밀려났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애초 실사 때 가격은 평가 대상이 아니었다. 마치 풀무원이 A사를 ‘떨어뜨리기 위한 구실이 아니겠느냐’라는 의혹이 드는 부분이다. 

A사는 풀무원 측에 평가 내용을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풀무원은 구체적인 사유를 설명하지 않은 채 회사 내규라는 이유로 평가 내용 공개를 거부했다. 만약 풀무원이 당당하다면 굳이 평가 내용 공개를 거부할 이유는 없을 것이다. 

A사는 풀무원의 처사가 부당하다며 지속적으로 항의했다. 그러자 풀무원 관계자들은 A사에게 “다른 사업을 주겠다”는 등 조용히 묻자는 식으로 A사를 회유했다고 전해진다. 

A사는 억울했다. ‘풀무원은 내정된 업체와 사업을 함께하기 위해 자사를 이용했다’라는 입장이었다. 이 문제로 A사는 풀무원에 내용증명까지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입찰을 준비하면서 발생한 기회비용 손실도 보상하라고 촉구했다.

원만하게 해결?

풀무원은 이번 입찰 특혜 의혹에 대해 “공식적으로 정당하게 경쟁 입찰을 했다”며 “오해가 있었던 A사와 원만하게 문제가 해결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풀무원은 ‘어떻게 원만하게 해결됐느냐’는 질문에 구체적인 답변을 피했다.

피해업체였던 A사도 “풀무원과 문제를 해결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들조차 어떻게 해결했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왜 피해를 당한 A사 조차도 언론에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는 것일까. 반면 풀무원과 A사에서 중간다리 역할을 했던 학예사 C씨는 이 사건 이후 퇴사한 것으로 드러났다.   

<min1330@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심상찮은’ 풀무원 불매운동 왜?

성범죄로 벌금형 이상을 선고받은 의료인의 면허를 박탈하도록 한 의료법 개정안이 발의됐다. 이 개정안으로 일부 의사들이 “면허 박탈까지 거론하는 것은 지나치다”며 반발하고 있다.

하지만 불똥은 풀무원으로 튀었다. 이 개정안을 발의한 사람이 풀무원 창업주 원혜영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기 때문이다. 

일부 의사들은 “법안 발의자인 원혜영 의원이 설립한 풀무원 제품의 불매운동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원 의원이 풀무원의 창업주 일가인 만큼 일부 의사들 사이에서 불매운동 기류가 형성되고 있다.

특히 노환규 전 대한의사협회장은 SNS를 통해 풀무원 불매운동을 주도하고 있다. 하지만 원 의원은 이미 국회의원 출마를 위해 풀무원의 모든 지분을 털었다. 다시 말해 풀무원과 실질적인 관계가 없다. <창>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