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공포' 쌍용차 떨고 있는 사연

한국뉴스


 

<단독> '메르스 공포' 쌍용차 떨고 있는 사연

일요시사 0 657 0 0

안전불감증에 애꿎은 노동자만 '벌벌'

[일요시사 정치팀] 김명일 기자 = 메르스 공포가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보건복지부의 허술한 대처가 도마에 올랐다. 복지부가 지난 1일 쌍용차 평택공장에서 메르스 확진자와 접촉한 노동자들을 자가 격리 시키지 않고 단순 귀가조치 시킨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특히 확진 판정을 받은 노동자는 단순 노동자가 아니라 여러 공정에 투입되는 ‘릴리프’ 요원인 것으로 밝혀져 더욱 문제가 심각하다. 복지부의 안전불감증으로 애꿎은 쌍용차 노동자들만 메르스 공포에 떨고 있다.

중동호흡기증후군인 메르스가 국내에 무섭게 확산되고 있다. 첫 확진자가 나온 후 불과 10여일 만에 메르스 관련 격리·관찰 대상자는 1000여명을 훌쩍 넘겼다. 벌써 사망자까지 나왔지만 이런 상황에서도 보건복지부는 여전히 허술한 대처로 구설에 오르고 있다. 

복지부는 지난 1일 쌍용차 평택공장에서 메르스 확진자와 접촉한 노동자들을 자가 격리 시키지 않고 단순 귀가조치 시켰다. 이에 대해 쌍용차 관계자는 “감염됐다는 확신이 없는데 격리를 하고 집에서 못 움직이게 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되지 않느냐? 일단 집에 계시라고 당부는 드렸다”고 말했다. 하지만 복지부는 다른 지역에서 확진자가 발생했을 때는 단순 공간접촉자에 대해서도 자가 격리를 시행했다. 자가 격리 대상자는 하루 두 번 복지부의 확인 전화를 받고 여러 가지 복잡한 생활수칙을 지켜야 한다.

무책임한 정부

그런데 메르스 확진자와 접촉한 노동자들을 “집에 계시라”는 당부만 한 채 단순 귀가 시킨 것은 매우 허술한 대응이었다는 지적이다. 특히 최근에는 자가 격리 대상자가 임의로 외출을 해 복지부가 휴대폰 위치 추적까지 해서 대상자를 찾아낸 사건도 있었다. 

복지부의 관리를 받는 격리 대상자도 이렇게 관리가 어려운 상황에서 단순 귀가자의 경우에는 마음대로 외출을 한다고 해도 확인할 방법이 없고, 제재할 방법도 없다. 이번에 단순 귀가 조치를 받은 사람들은 확진자와 한 공간에서 오랫동안 대기를 하고 일이 끝난 후엔 샤워도 같이 하는 등 밀접한 접촉이 이뤄졌던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확진 판정을 받은 노동자는 단순 노동자가 아니라 공장 내 여러 공정에 투입되는 ‘릴리프’ 요원인 것으로 밝혀져 더욱 문제가 심각하다. 릴리프(※야구 용어로 중간계투를 뜻함) 요원은 평소에는 대기를 하다 특정 생산 라인에 결원이 발생하면 투입되는 인원이다.

확진자 접촉했는데 단순 귀가조치
어느 라인 투입됐었는지 '비공개'

보통 다른 자동차 업체에도 릴리프 요원이 있지만 쌍용차의 릴리프 제도는 좀 더 특이하다. 쌍용차 릴리프 요원은 흔히 ‘전 공장’ 릴리프 요원으로 불린다. 다른 업체의 경우는 특정 생산 라인마다 고정 릴리프 요원이 있지만 쌍용차는 결원이 생기면 어느 라인이든 투입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일례로 한 릴리프 요원은 4개월 동안 7개 부서, 8개의 공정에 투입됐다고 한다. 평균 2주에 한 번씩 전 공장을 상대로 돌아다녔다는 계산이 나온다. 늘 새로운 동료들을 만나야 하고, 새로운 일을 맡아야 하다보니 노동자 입장에서는 노동강도가 더 세게 느껴진다. 때문에 노동계에서는 쌍용차가 운영하는 릴리프 제도에 대해 그동안 뒷말이 많았다. 이 같은 전 공장 릴리프 제도는 쌍용차 파업사태 이후 신설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확진자가 릴리프 요원이었던 만큼 그동안 투입됐던 생산 라인과 근무자들에 대해서도 격리 조치나 최소한 검진 조치가 이뤄져야 하지만 이런 조치는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심지어 복지부가 해당 확진자가 릴리프 요원이었다는 사실을 파악하고 있었는지 조차 의문이다.

<일요시사>는 이 같은 사실을 복지부에 확인하려고 했으나 현재 복지부는 모든 언론 대응을 중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언론 담당 부서는 며칠간이나 전화를 전혀 받지 않았고, 어렵게 연락이 닿은 복지부 관계자는 이 같은 질문을 건네자 답변을 거부하고 아예 전화기의 전원을 꺼버렸다.

복지부에 파견되어 있는 기자들의 전언에 따르며 복지부 공무원들이 갑자기 책상에 엎드려 기자들의 질문 받기를 거부하는 등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행동까지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예 대변인실 문을 걸어 잠그는가 하면 복지부 대책반 앞에서 질문을 하기 위해 기다리고 있는 기자들을 강제로 내쫓았다는 전언도 들려왔다. 기자들 사이에선 ‘메르스 무정부 상태’라는 말까지 나왔다.

복지부 언론 무대응 일관
전국 확산 허브 될 수도

한편 해당 확진자는 지난 달 22일부터 휴가를 내고 회사에 나오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가 지난 달 21일까지 근무했다고 하면 메르스의 잠복기는 최대 2주이기 때문에 오는 6월5일까지는 추가 확진자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쌍용차 측은 “메르스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전체적으로 방역 작업을 하고 직원들에게 주의사항 전파했으며, 이상 증세 직원 발생시 곧바로 연락할 수 있는 비상 연락망 체계까지 구축했다”며 “해당 확진자가 메르스에 감염된 좁은 병원 시설과 달리 쌍용차 공장은 매우 넓고 환풍 시설이 잘되어 있다. 근무자간 배치 거리도 멀기 때문에 같은 라인에 근무했다고 해서 메르스에 전염될 가능성은 없다”고 밝혔다. 

반면 쌍용차 내부 제보자의 증언에 따르면 “라인마다 특성이 있어 배치 거리가 먼 라인도 있지만 근로자들끼리 바로 코앞에서 근무하는 라인도 있다”며 “어느 라인에서 근무했느냐에 따라 다르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쌍용차 측은 처음에는 “해당 확진자가 어느 라인에 투입됐었는지 파악이 안 된다”고 했다가 나중에는 “파악은 하고 있지만 어느 라인에 투입됐었는지 알려지면 해당 라인 노동자들이 동요할 수 있기 때문에 밝힐 수 없다”고 말을 바꿨다.

노동자는 불안

또 쌍용차 측은 “메르스는 보통 고령자들에게 발생하는 데 쌍용차에 근무하는 노동자들은 대부분 젊은 사람들이다보니 더 이상 확산될 우려가 적다”는 주장도 했지만 쌍용차 측의 주장과는 달리 현재 우리나라에는 20~30대 메르스 확진자도 이미 발생했다. 게다가 쌍용차의 경우에는 단체 급식을 하고 있고, 일각에선 해당 확진자가 몸이 아파 휴가를 내기 전 특정 부서 회식에 참석했었다는 증언도 나오고 있다.

복지부는 그동안 메르스 확진자가 나오면 확진자와 접촉한 사람들에 대해 추적 조사를 벌여왔지만 유독 쌍용차 메르스 확진자에 대해서는 이 같은 조치 없이 유야무야 넘어갔다. 쌍용차는 다른 일반 사업장과는 달리 근무자가 수천명이나 되는 대형 사업장인데다가 타지 사람이 많아 주말이면 수도권이나 지방 본가를 찾는 직원도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칫 메르스를 전국으로 확산시키는 허브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더욱 철저하게 방역 조치를 취해도 모자랄 판에 오히려 다른 사업장보다 허술한 조치를 취한 것은 이해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mi737@ilyosisa.co.kr>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