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YMCA 사태' 본지 단독보도 이후…

한국뉴스


 

'서울YMCA 사태' 본지 단독보도 이후…

일요시사 0 1225 0 0

반성은커녕 내부고발자 색출 ‘혈안’

[일요시사 취재1팀] 박창민 기자 = <일요시사>가 지령 1040호,(12월15일 한국기사란)에서 단독으로 보도한 ‘내홍 휩싸인 YMCA 스캔들’기사가 화제를 모으고 있다. 보도가 나간 직후 여러 언론이 서울YMCA에 대한 비리기사를 쏟아내고 있다. 최근 서울YMCA 이사회는 문제 제기한 내부고발자들에 대한 보복 인사를 단행하는 등 극심한 내홍을 겪고 있다. 

지난 12월23일 <일요시사>는 표용은 서울YMCA 명예이사장의 비리 의혹을 보도했다. 이후 서울YMCA의 ‘불법투자 의혹’ ‘안창원 서울YMCA 회장의 공금 사적 유용’ ‘문제 제기한 감사 제명’ 등 다른 비리 의혹도 고구마 줄기처럼 드러나고 있다.

‘양파껍질’ 비리

<일요시사>는 서울YMCA 내홍의 근원을 표 명예이사장으로 지목했다. 표 명예이사장은 서울YMCA에서 41년간 이사를 지내고 1 8년간 이사장을 역임하며, ‘장기 집권’을 했다. 지난 보도에서 표 명예이사장이 장기집권을 할 수 있었던 내막과 과거의 전횡을 지적했다.

표 명예이사장은 자신의 지위를 이용해 서울YMCA에 친인척이나 지인을 요직에 앉혔다. 대표적인 예가 안창원 서울YMCA 회장이다. 안 회장은 표 명예이사장의 여동생의 셋째 아들이다. 안 회장은 2009년 취임 당시 자질 논란이 불거졌음에도 표 명예이사장의 입김으로 결국 회장에 올랐다.

안 회장은 2008년 서울YMCA 자산 30억원을 고위험파생상품에 투자했다가 전부 날린 장본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안 회장이 서울YMCA 기획행정국장으로 있을 당시 자산 30억원을 고위험파생상품에 투자했다가 원금을 완전히 탕진해 통장 잔액은 18만원밖에 남지 않은 사실이 드러났다.

탕진한 30억원은 경기도 고양시가 서울YMCA의 기본재산인 토지 일부를 도시계획의 일환으로 사용하면서 보상금 명목으로 준 96억원의 일부다. 원칙적으로 기본재산을 처분해 얻은 돈을 사용하려면 주무관청인 종로구청의 승인을 받아야 하지만 이런 절차를 무시했다.

안 회장은 이 때문에 심규성 서울YMCA 감사에게 업무상 배임 혐의로 고발당했다. 서울YMCA에 대해 서울종로경찰서는 본격적으로 수사에 착수했다. 종로경찰서는 안 회장을 지난 12월19일 소환 조사한 것으로 전해진다.

경찰이 서울YMCA 경영진에 대한 소환 조사에 본격적으로 들어가면서 내부 대립은 한층 격해졌다. 안 회장이 경찰 조사를 받은 지 사흘 만인 지난 12월22일 서울YMCA 이사회는 심 감사를 제명했다. 심 감사의 고발로 서울YMCA의 명예가 실추됐다는 이유에서였다. 서울YMCA는 또 안 회장 퇴진 운동을 주도한 여봉구, 신종원 본부장 등에 좌천성 인사 발령을 냈다.

심 감사는 “서울YMCA 이사회가 해야 할 일은 재단의 기본재산을 탕진한 당사자, 책임자들에 대한 징계조치”라며 “제명에 대한 가처분을 신청해 이사회 결정의 부당성을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장기 집권 명예이사장 풍파 중심에
내부고발자 제명 등 보복인사 단행

겉으로 드러난 문제는 ‘30억원 불법 파생상품투자’이지만 사태의 핵심엔 장기집권한 서울YMCA 운영진과 이사진들의 비리의혹, 이로 인한 재정난이 자리잡고 있다는 지적이다.


 



서울YMCA는 도심 한복판 종로1가 회관을 비롯해 서울 각 지회 부동산, 국제청소년센터를 짓고 있는 경기 고양시 땅 등 자산이 1조원이 넘는다. 하지만 올해 4월 직원 월급과 퇴직급여를 주지 못해 고발당하는 등 재정이 사실상 파탄 상태다.

이 외에도 그 동안 표 명예이사장을 중심으로 주먹구구식 예산집행도 문제다. 표 명예이사장은 친인척에게 수년째 서울YMCA 일감을 몰아주고 있다.

<일요시사>는 안 회장의 첫째 형이 운영하는 청소용역 회사 미환서비스에 일감을 수년간 몰아주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환서비스가 표 명예이사장 일가의 ‘가족사업’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또 서울YMCA가 수년째 일감을 몰아주고 있는 건설업체 도량기업이 표 명예이사장의 절친한 친구의 조카 회사라는 사실도 밝혔다. 표 명예이사장 일가의 이사나 집수리에 시설국 직원들을 동원했고, 법인카드로 자재를 구입한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직원들도 나서고 있다. 지난 12월14일부터 간부 직원인 간사단 37명 중 21명이 안 회장에 대한 사퇴 요구서에 서명했다. ‘새로운 YMCA를 세워가고자 행동하는 간사 일동’은 성명서를 통해 “불법투자 주도자에 대한 징계를 요구한 감사를 제명한 것은 법률과 사회적 상식, YMCA정신에 비추어 용납할 수 없는 후안무치한 작태”라고 이사회를 규탄했다.

간사 일동은 “이는 내부 비리를 은폐하고 진실을 왜곡하려는 불순한 동기가 있다고 보고 이사회의 부당한 결정에 대해 법적, 사회적 책임을 물을 것”이라며 “불법펀드투자와 기타 각종 공사 및 비리 행위를 주도한 책임자 및 당사자들에 대한 사법적 민사적 책임도 끝까지 추궁하겠다”고 밝혔다.

극심한 내홍

심 간사 등 간사 일동은 지난 28일 서울중앙지법에 서울YMCA 이사회의 내부고발 감사 회원제명에 대한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을 접수했다. 심 감사는 “이사회에 감사 제명 권한이 없어 ‘선출임원의 정회원 요건’을 이용해 감사직을 박탈했다”며 “당사자에게 징계 절차와 징계 이유도 알리지 않고, 최소한의 소명 기회도 부여하지 않아 이는 명백한 절차상의 하자로 무효다”고 말했다. 

<min1330@ilyosisa.co.kr> 

[서울YMCA는?] 

서울 YMCA는 구한말 개화파 청년들과 미국 선교사들이 주축이 돼 1903년 10월 28일 설립한 '황성 기독교 청년회'가 모태다. 초창기부터 YMCA의 멤버들은 근대적 사회개혁 의식에 고취돼 있었기 때문에 직업교육. 농촌운동. 기독교 민권운동에 정열을 쏟았다. 이후 이상재(2대 회장). 윤치호(4대 회장). 김규식. 홍재기 등 독립협회 지도자들이 YMCA에 대거 참여하면서 이미 해체된 독립협회의 정신을 계승하는 기틀을 세웠다.

1919년 2·8독립선언과 3·1운동을 선도했고 1920년대에는 물산장려운동, 농촌계몽운동을 펼치는 등 일제 강점기 시민사회운동을 이끌었다. 1912년부터 일제가 ‘105인 사건’ 등으로 탄압을 시작했지만, 1919년 2. 8 독립선언과 3. 1운동을 선도했고 1922년부터 물산장려운동, 농촌강습소개소운동 등으로 자립 경제 운동을 펼치고 YWCA 및 보이스카우트, 신간회등의 단체도 지원, 창설했다. 이처럼 굵은 족적을 한국근현대사에 남긴 서울YMCA가 논란에 휩싸이자 퇴색한 기독교 정신을 바로 세워 개혁에 착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창>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