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서 열린 ‘재외동포 통일정책 세미나’… 뉴질랜드 동포들 적극 참여

교민뉴스


 

국회서 열린 ‘재외동포 통일정책 세미나’… 뉴질랜드 동포들 적극 참여

일요시사 0 414 0 0

6cb09448b0525a40f4d75f3086fe18ac_1756248275_62437.jpg
 

국회서 열린 ‘재외동포 통일정책 세미나’… 뉴질랜드 동포들 적극 참여


광복 80주년 기념, 한반도 평화와 재외동포 역할 모색


지난 8월 25일, 서울 국회에서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한반도 평화와 재외동포의 역할’을 주제로 한 특별 세미나가 열렸다. 이번 행사는 국회 차원에서 처음으로 남북한의 재외동포 관련 법제를 비교하며 한반도 평화를 위한 새로운 해법을 모색한 자리로, 특히 전 세계 동포들의 활발한 참여 속에 진행돼 의미가 깊었다.


현장에는 100명 정원에 120여 명이 몰렸고, 아프리카와 대양주를 포함해 전 세계 110여 명의 동포가 줌(Zoom)으로 접속했다. 뜨거운 관심 속에서 치러진 이번 세미나는 경색된 남북 관계 속에서도 재외동포가 한반도 평화의 ‘돌파구’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정치권과 전문가, 재외동포 역할 강조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은 축사에서 재외동포를 “대한민국과 국제사회를 잇는 소중한 자산”이라고 평가하며, 이들의 경험과 역량이 한반도 평화에 대한 국제사회의 이해와 지지를 얻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영배 의원 역시 “전 세계에 뻗어 있는 동포들은 우리 민족의 글로벌 자산이자 남북 관계를 이어주는 연결망”이라며 제도적 기반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재강 의원과 이기헌 의원도 재외동포가 ‘민간 외교관’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제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다며 보완책 마련을 촉구했다.


특히 김성곤 사단법인 평화 이사장은 북한이 해외 동포들에게 ‘해외동포권익옹호법’을 통해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피선거권까지 부여하는 파격적인 우대 정책을 소개하며, 한국도 재외동포 정책 및 법 개정에서 이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통일 의식 약화, 재외동포 참여 더욱 절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김범수 교수는 국민들의 통일 관심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특히 20~30대 젊은 층에서 무관심이 두드러져 통일 담론이 사회적으로 약화되는 현실이 확인됐다.


김 교수는 재외동포들이 남북 교류와 협력을 활성화하고, 북한에 대한 투자와 인재 양성을 통해 ‘통일 비용’을 줄이는 데 큰 기여를 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토론에서는 국가보안법 문제가 쟁점으로 떠올랐다. 과거 재일 동포들이 통일 활동 중 간첩죄로 체포된 사례가 언급되며, 재외동포들이 자유롭게 교류하려면 국가보안법 논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보스턴의 이금주 ‘New England Korea Peace Campaign’ 공동대표는 “재외동포가 평화의 가교 역할을 하려면 국가보안법 개정이나 폐지가 시급하다”고 호소했다.


뉴질랜드 동포들, 현장과 온라인서 적극 목소리


이번 세미나에는 뉴질랜드 동포들의 참여도 두드러졌다. 곽상렬 뉴질랜드 재외국민유권자공동대표는 출국 직전까지도 현장에서 줌 송출을 지휘하며 세미나 진행에 크게 기여해 참가자들로부터 박수갈채를 받았다.


또한 뉴질랜드 동포 송미령 씨는 온라인 채팅창을 통해 “통일 의식의 현주소를 진단해 주는 발표가 매우 유익했다”는 소감을 전했다.


호주 퍼스에서 참여한 최원식 씨는 복수 국적자가 북한을 방문할 때의 법적 지위가 모호하다며 “구체적인 법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새로운 통일 패러다임 요구


이번 세미나는 분단 80년을 맞아 기존의 ‘흡수 통일’ 방식에서 벗어나, 북한 체제를 인정하면서 교류와 협력을 통한 공동 번영을 지향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확인한 자리였다.


특히 국민적 관심이 약화된 지금, 전 세계 동포 사회가 통일 논의와 남북 교류를 활성화하는 데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됐다.


이번 세미나는 김영배·이재강·이기헌 국회의원과 사단법인 평화, AOK한국이 공동주관하고,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김대중재단 재외동포위원회, 재외동포신문방송언론인협회 등 여러 단체가 함께했다.


6cb09448b0525a40f4d75f3086fe18ac_1756248302_851377.jpg
 1f9e4e49f4479ffc622676ee06594dac_1756257343_157615.jpg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