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스포츠> 2013년 회원권 시장 전망
희망은 ‘맑음’ 현실은 ‘흐림’
2012년 골프회원권 시장은 ‘공포’와 ‘충격’그 자체였다. 최근 회원권업계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회원권 시세는 연초에 비해 11.5%나 떨어졌다. 전국 116개 골프장의 가격등락지수가 올해 초 845.5에서 743.7(12월11일 기준)로 내려앉았다는 것이다. 2005년 1000에서 출발한 이 지수는 연일 역대 최저점을 경신하고 있다. 격동의 2012년 회원권 시장을 되돌아보고 2013년 시장을 전망해봤다.
바닥장세 연초에도 지속 전망 뚜렷한 호재 안보여
황제회원권 남부 추락 이용 개념으로 바뀐 회원권
연초에도 회원권 시장에 막연한 공포심이 퍼져 있다. 회원권 가격이 하염없이 떨어지면서 합리적인 사고가 사라진 지 오래다. 골퍼들의 현명한 판단이 필요한 시점이 되고 있다. 국내 회원권은 5년 전에 비해 법인회원권이 5분의 1로 줄었다. 그동안 시장을 견고하게 받쳤던 법인회원권 수요 실종이 가격 하락을 이끌고 있다. 이는 거꾸로 해석하면 법인회원권이 다시 살아난다면 시장도 활기를 되찾을 수 있다는 의미지만 기대하기는 이른 시기다.
회원권 시장 퍼진
막연한 공포심
‘황제회원권’의 대명사 남부CC 시세는 2012년 11억원으로 시작했다. 다른 회원권이 추락을 거듭할 때도 남부는 황제회원권 ‘자존심 라인’으로 통하는 10억원 선을 지지하며 버티기에 돌입했다. 하지만 더위가 한창이던 7월 10억원 선이 깨지더니 지금은 8억6000만원까지 밀렸다. 지난해만 회원권 1장당 2억4000만원이 공중에 사라진 셈이다.
지금 흐름이라면 역대 최저시세 아래로 내려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때 23억원에 거래됐던 남부회원권은 2005년 2월 7억6000만원에 거래된 적이 있다. 이제 그 선까지 1억원의 여유밖에 없다.
또 다른 황제회원권 중 하나인 가평베네스트가 2012년 초 7억3500만원에서 현재 6억8000만원으로 5500만원 떨어진 것과도 비교된다.
이렇듯 최근 가격 하락에 따라 ‘투자가치’ 비중이 강했던 골프회원권이 ‘이용가치’ 중심으로 급격히 바뀌고 있다. 사놓기만 하면 가격이 올랐던 투자의 시대가 저물고 철저하게 이용 중심의 시장으로 재편되고 있는 것이다.
회원권 시장이 사실상 고사 상태인 제주지역에는 1000만원 이하의 ‘이용 전용 골프회원권’이 등장했고, 골퍼들도 회원권을 구매할 때 혜택을 꼼꼼히 따지기 시작했다. 예전에는 부킹보장이 회원권 선택의 기준이었다면 이제는 비용을 얼마나 저렴하게 할 수 있느냐로 옮겨가고 있는 것이다.
또한 회원권 가격 하락은 회원제 골프장에서 대중제로의 전환을 가속화했다. 회원권 시장이 침체된 상황에서는 영업이익률이 높은 대중제가 수익 면에서 훨씬 유리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2012년 회원제에서 대중제로 전환한 골프장은 모두 7곳이다. 롯데스카이힐성주, 서라벌, 아리솔, 오너스, 파인힐스는 회원 동의하에 전환을 마쳤고, 더블래싱과 여수경도는 2013시즌 개장에 맞춰 대중제로 전환한다. 이외에도 현재 대중제로 변신을 준비하고 있는 골프장이 꽤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2012년 대부분 종목이 하락했지만 오히려 연초에 비해 가격이 오른 곳도 없지는 않다. 경주신라 주주는 6300만원에서 7250만원으로 올랐고 정산CC는 2억9000만원 하던 회원권이 3억3000만원이 됐다. 수도권의 비전힐스도 4억3000만원에서 4억5000만원으로 2000만원 뛰었다. 골프장별로 호재가 있다거나 지역적인 특수상황에 따라서는 최악의 여건 속에서도 오를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것이다.
회원권 전문가들은 “국내 회원권 시장 시세등락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은 법인이다. 법인회원권이 움직이면 회원권 시장도 다시 상승세로 돌아설 수 있다. 신설 골프장 증가세가 한풀 꺾이는 2013년 회원권 시장은 적어도 전년보다는 나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법인회원권 향방이
가격상승세 이끌어
하지만 2008년 3월을 기점으로 끝없이 추락하고 있는 골프장 회원권 가격이 현재보다 절반 정도 더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서천범 한국레저산업연구소장은 “골프장수가 급증하면서 회원권의 투자가치가 사라졌고, 이용가치가 하락한데 이어 입회금 반환 사태와 맞물려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다”며 “일본처럼 폭락하지는 않겠지만 현재보다 절반 정도 더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일부 “앞으로 더 떨어진다” 입회금 반환 사태 ‘암초’
‘골프=귀족스포츠’ 공식 깨져 회원권 가격 하락 필연
이를 입증하듯 골프회원권 가격은 2012년 들어서도 2~3월을 제외하고는 하락세가 지속됐다.
지난 11월 말 평균 회원권 가격은 1억1941만원으로 2011년 12월보다 16.0% 하락했고, 최고 수준을 보였던 2008년 3월 3억1705만원보다는 62.3%가 폭락했다. 가격대별로는 3억~5억원대의 고가 회원권이 2011년 12월보다 19.3% 떨어져 하락폭이 가장 컸지만 6000만~1억2000만원대의 저가 회원권은 7.8% 하락했다.
지역별로는 고가 회원권이 많이 있는 수도권의 회원권이 같은 기간에 18.7% 하락한 것에 비해 영남권은 2.1% 떨어졌다.
서 소장은 입회금 반환 사태에 직면한 골프장들은 대부분 반환자금이 없어 부도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한다. 여기에 매수자가 나타난다고 해도 분양원금을 되돌려주면서까지 기존 회원들을 인수할 가능성이 없다. 이 같은 이유를 들어 서 소장은 골프장회원권 가격이 현재보다 절반 정도 더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서 소장은 “‘체육시설 설치 이용에 관한 법률’ 제27조(체육시설업 등의 승계)에서 회원승계를 의무화하는 바람에 오히려 회원들의 피해가 더 커지는 역효과가 날 것”이라고 염려했다. 이밖에 회원권의 투자가치가 이미 소멸된 상황에서 2014년까지 매년 30개소씩 골프장이 개장을 앞두고 있기 때문에 회원권 가격이 회복될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예상했다.
서 소장은 “입회금 반환 사태가 진정되고 회원권 값이 절반 정도 폭락한 후에는 이용가치가 있는 골프장에 한해 다소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회원권 가격이 폭락함에 따라 회원권 보유 법인과 개인들이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피해갈 수 없는 상황이다.
그린피·식음료값
동반하락 예상
지난해 1월 기준으로 골프회원권 보유자들은 21만3000명(구좌)에 달한다. 2개 이상의 중복 보유자들을 감안하면 12만명 정도의 보유자들이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 하지만 회원권 보유자들을 제외한 나머지 골퍼들은 오히려 득을 볼 수 있다.
회원제 골프장들이 대중제로 전환하거나 준대중화되면서 고객유치 경쟁이 치열해지고, 이에 따라 터무니없이 비싼 그린피와 식음료값도 하락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서 소장은 “회원권 가격이 떨어짐에 따라 ‘골프=사치성 귀족스포츠’라는 등식이 깨지고 있다”며 “골프대중화에 맞물려 회원권 가격의 하락은 필연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