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블릭 골프장’ 이용료 비싼 진짜이유

Sports/취미


 

<심층취재> ‘퍼블릭 골프장’ 이용료 비싼 진짜이유

일요시사 0 2970

말만 대중화…혜택은 고스란히 사업자에게

“그린피(입장료), 캐디피, 카트피 등 순수비용만 1인당 30만원 넘게 드는데 퍼블릭(대중) 골프장이라고 할 수 있나요? 정부는 골프대중화에 힘쓴다고 하지만 여전히 서민·중산층에겐 문턱이 높은 게 현실이죠.” 정부가 골프 대중화를 위해 퍼블릭 골프장에 각종 세제혜택을 주지만 정작 혜택은 국민이 아닌 사업자에게만 돌아간다는 지적이 나온다. ‘퍼블릭’이란 말이 무색할 정도로 비싼 이용료 때문이다.

   

경상 이익률 12.6% 급락, 캐디선택제 확산
각종 세제혜택에도 비용은 회원제와 비슷
1만원 매출에 4570원 남아…황금알 수익
회원제보다 비싼 퍼블릭 “호시절 다 갔다”

경기침체와 공급과잉에 따른 골프시장 불황 속에서도 퍼블릭 골프장이 20~40% 넘는 영업이익률을 올리고 있다. 최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경기 파주시에 소재한 퍼블릭 골프장인 파주컨트리클럽은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22억원, 56억원으로 영업이익률이 무려 45.7%에 달했다. 1만원의 매출을 올리면 4570원이 남은 셈이다. 순이익은 40억원으로 매출대비 32.9%를 기록했다.

시장 불황 속 나 홀로 성장

경기 포천시에 위치한 베어크리크도 매출 205억원에 영업이익 91억원을 기록, 44.4%의 높은 영업이익률을 올렸다. 매출대비 순이익률은 34.7%(순이익 71억원)로 파주컨트리클럽보다 높았다.
대영힐스&베이스(충북 충주), 진양밸리(충북 음성), 아리지(경기 여주) 등도 영업이익률이 36~43%를 넘었다. 수도권 골퍼들이 자주 찾는 스카이72(인천 중구)와 레이크사이드(경기 용인)도 각각 20%, 34%가량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퍼블릭 골프장들이 높은 영업이익률을 올리는 것은 각종 세제혜택에도 비싼 이용료를 유지하면서 가동률을 극대화하기 때문이란 게 업계의 설명이다. 정부는 2000년 골프대중화를 위해 퍼블릭 골프장의 개별소비세(2만1120원)를 면제한 것은 물론 재산세, 토지세 등 각종 세금도 감면해줬다.
세제혜택에도 퍼블릭 골프장의 이용료는 회원제와 큰 차이가 없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에 따르면 현재 퍼블릭 골프장의 1인당 평균 그린피(18홀 기준)는 주중 11만8000원, 주말 16만8000원이다. 이는 회원제(비회원 기준, 주중 16만3000원, 주말 21만원)에 비해 4만2000~4만5000원가량 낮은 수준에 그친다. 캐디피나 카트피 차이는 거의 없다.


  
 

골프업계 한 관계자는 “비회원 골퍼들이 그나마 조금 저렴한 퍼블릭 골프장을 주로 찾다보니 회원제는 실적이 급격히 악화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실제 2012년 퍼블릭 골프장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33.7%에 달했지만 회원제는 3.4%로 10분의1에 불과했다. 회원제 골프장은 절반가량이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하지만 그린피가 오히려 회원제보다 비싼 퍼블릭 골프장도 많다. 사우스케이프오너스(경남 남해)는 그린피가 주중 21만원, 주말 37만원에 달한다. 스카이72도 주중 19만9000원, 주말 25만9000원으로 회원제의 평균을 크게 웃돈다. 레이크사이드와 베어즈베스트청라(인천 서구), 소노펠리체(강원 홍천), 블루마운틴(강원 홍천) 등도 마찬가지다.
서천범 한국레저산업연구소장은 “퍼블릭 골프장이 세제혜택에도 회원제보다 높은 그린피를 받는 것은 정부의 골프 대중화 정책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퍼블릭 골프장도 공급과잉으로 더 이상 고마진 수익구조를 유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사실 불과 2년 전만 해도 골프장은 퍼블릭보다 회원제가 많았다. 하지만 지난해 19개가 새롭게 생겨나면서 퍼블릭 231개, 회원제 230개로 역전됐다. 올해도 신설될 예정인 50개 골프장 중 49개가 퍼블릭이다.
서 소장은 “이미 퍼블릭 골프장의 실적은 하향세에 접어들었다”며 “최근엔 경영난에 빠진 회원제 골프장들까지 속속 퍼블릭으로 전환, 실적 둔화가 더욱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공급과잉 등에 따른 경영난을 해결하기 위해선 감소추세인 골프인구를 다시 늘리는 방법밖에 없다”며 “퍼블릭 골프장은 현재에 안주하지 말고 가격인하와 골프장 시민개방 등 대중화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최근 들어 퍼블릭 골프장들의 경영이 어려워지면서 지방 퍼블릭을 중심으로 먼저 캐디와 카트선택제 확산, 식음료 가격 인하 등을 서두르고 있다. 거품을 제거해 돌파구를 마련하겠다는 시도다. 골프장 급증에 불황까지 겹쳐 지난해에는 회원제에 이어 대중제 역시 영업이익률이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사실 대중제의 경우 18홀 그린피는 10만원 안팎이다. 캐디팁은 그러나 팀당 10만원~12만원, 카트비는 8만원~10만원이다. 오히려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셈’이다.
국내 골프장 캐디팁은 지난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인상바람이 불어 지금은 대부분 12만원을 받고 있다. 입장객 수가 줄면서 감소한 캐디 수입을 보전하기 위한 방편에서 출발했다. 골프장 측에서도 캐디의 이직을 막기 위해 눈감아 주는 분위기다. 골퍼들은 그러나 “비용 증가로 대중화를 막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며 “아예 노캐디제를 시행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회원제→퍼블릭 실적 둔화 예상

실제 일부 골프장에서는 ‘캐디선택제’로 호응을 얻고 있는 곳도 있다. 전북 군산이 대표적이다. 동절기 시험 운영한 결과 지난 2월 캐디 없이 라운드한 골퍼가 46%에 육박했다. 1인용 전동카트를 끌고 플레이하는 시스템이다. 골프장 측은 “카트가 부족해 예약을 받을 정도”라고 했다. 3월부터는 아예 전용코스를 운영하는 등 영역을 더욱 확대하고 있다.
대중제 전체의 변화도 감지되고 있다. 현재 운영 중인 9홀 이하 112곳 가운데 캐디 없이 운영하는 골프장은 20.5%인 23개소, 캐디선택제를 도입한 골프장도 3곳으로 늘어나는 추이다.
회원제에 비해 1회 라운드 비용에서 캐디팁과 카트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대중제에서는 캐디선택제가 일단 경영난을 돌파할 신개념 마케팅으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대중제의 수익성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가 집계한 지난해 대중제 경영실적 분석에 따르면 83개소의 영업이익률은 28.3%, 2012년(33.5%)에 비해 5.2% 포인트나 하락했다. 수익성을 직접 체감할 수 있는 경상이익률은 2012년 14.4%에서 무려 12.6% 포인트나 급락해 1.8%다. 회원제의 대중제 전환까지 가세해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회원제의 캐디선택제 도입은 반면 아직 미미하다. 대부분 산악지형에 조성돼 경기진행과 코스 컨디션 유지, 카트 안전사고 예방 등 ‘캐디 효과’가 크다. 골퍼들에게 거리와 골프채 선택, 퍼팅라인 등 플레이에 대한 도움과 공을 찾아주는 등 많은 수고를 덜어주는 부수적인 역할도 만만치 않다. 여기에 슬로플레이, 벙커 정리조차 하지 않는 일부 골퍼들의 부족한 자질도 문제다.

운영형태에 따라 캐디선택제 합리적

결과적으로 코스에 따라, 회원제와 대중제 등 운영형태에 따라, 또 시간대에 따라 캐디를 선택할 수 있는 제도가 합리적이라는 게 중론이다. 황현철 일본 PGM(퍼시픽골프매니지먼트)한국 대표 역시 “모든 골프장이 반드시 캐디선택제를 도입할 필요는 없다”며 “각 골프장의 콘셉트나 마켓, 고객 컬러에 맞게 유연하게 대응해 선택의 폭을 넓혀주는 게 바람직하다”고 했다. 자료제공 : 월간골프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포토 제목